소개글
"4주 수업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어 교재 분석과 평가
1.1. 교재의 분석과 평가 기준
1.1.1. 교재 분석과 평가의 필요성
1.1.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제시
1.2. 한국어 교재 분석: 세종 한국어 2
1.2.1. 외적 특징 분석
1.2.2. 내적 특징 분석
1.3. 한국어 교재 분석: 이화 한국어 3-1
1.3.1. 형식 분석
1.3.2. 내용 분석
1.4. 참고문헌
2. 한국어 발음 교육
2.1.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 체계 비교
2.2. 일본어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자음 발음 오류
2.2.1. 종성 비음 발음 오류
2.2.2. 종성자음 발음 오류 교정 방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 교재 분석과 평가
1.1. 교재의 분석과 평가 기준
1.1.1. 교재 분석과 평가의 필요성
교재 분석과 평가의 필요성은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교재는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 방법, 평가 방법 등을 담고 있으며 교수 변인과 학습 변인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재 분석과 평가를 통해 이상적인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준이 설정되고 적용되며 교육현장에서 교재를 선택할 때 중요한 판단 기준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장단점을 파악해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은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교재 분석과 평가는 교사와 학습자 간 연결고리인 교재의 적절성을 확보하고 교수-학습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1.1.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제시
교재 분석과 평가 기준 제시는 교재를 연구하거나 수업에 맞는 교재를 선정하고 개발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이다. 교재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교재 개발을 위한 여러 기준을 설정하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교재를 선택할 때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교재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수업에서 활용할 때 교재의 장점은 극대화하고 단점은 보완할 수 있다.
교재 평가를 위한 기준은 학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교재의 구성, 내용, 교수법 적합성 등 다양한 영역을 고려한다. 이지영(2004)은 교재를 구성(형식)과 내용으로 나누어 세부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고, 배두본(1999)은 교육과정 적합성, 구성, 교수 적합성 등 6개 영역 50개 항목을 제안하였다. 서종학(2001)은 교육과정, 학습 내용, 학습자, 교수법, 형식 등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이해영(2001)은 교수-학습 상황 분석과 내외적 구성 평가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재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교재 분석과 평가를 위한 다양한 기준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교재가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적인 매개체이자 도구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효과적인 교재 선정과 활용을 위해서는 이러한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을 숙지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1.2. 한국어 교재 분석: 세종 한국어 2
1.2.1. 외적 특징 분석
'세종 한국어 2'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참고 자료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교안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교안
서울대학교 한국어 문학 연구소, 국어교육연구소, 언어교육원 공편.‘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체’.p.471-510
국립국어원, ‘세종 한국어 2’,2021.01.0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교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교안
서종학·이미향·박진욱, 2017, 한국어교재론, 한국문화사
송향근, 『한국어교육론』, 하우, 2016.
허용, 「자음체계대조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언어과학연구55, 2010. pp.305-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