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
1.1. 등교거부 및 학교 부적응 청소년 학교 적응기 Wee 프로그램 사례
무단결석 등이 잦거나 또래관계 부적응으로 학교에 등교거부를 하는 청소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Wee 클래스에서 다양한 검사 및 척도들을 활용한 적응 프로그램들을 진행한다. 교내 Wee 클래스 안에서 아침 시간이나 점심 시간 등을 활용하여 심리 치유를 위한 만다라 그리기, 미술 치료, 독서, 음악 치료, 놀이치료 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구체적인 Wee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업 대체 학교 적응 프로그램은 등교거부 및 학교 부적응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하며, 낮은 자존감 및 또래관계 부적응 학생들의 라포 형성을 위해 자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소개하는 활동을 한다. Wee 클래스 Art time에서는 자아상 및 자유화 그리기, 종이 접기 및 신문지 찢기 활동, 나만의 학교 수첩 만들기 등을 통해 자기표현 및 정서 표출을 돕는다. Wee 클래스 music time에서는 악기 탐색과 자기소개, 악기로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 표현, 음악 감상 및 신체 표현 활동을 진행한다. Wee 클래스 게임 time에서는 불안감과 주의 산만함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게임과 놀이치료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등교거부 및 학교 부적응 청소년 학생들의 학교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1.2. 비행 청소년들을 위한 비행척도(DLQ) 조정 Wee 프로그램
비행 청소년들을 위한 비행척도(DLQ) 조정 Wee 프로그램은 비행 청소년들의 충동성 있는 반항과 불복종하고 싶은 마음을 해소하고, 적대감과 공격성, 거짓말, 교내 규칙 위반 등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전개 단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된다. 먼저 도입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 목표를 함께 하고 자기 이해하기 활동을 진행한다. 자기소개하기, 고정관념 타파하기, 자신의 장점과 단점 알기 등의 활동을 통해 자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올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자기 이해하기 단계에서는 내 삶의 사과나무 만들기, 대화하는 좋은 친구가 되기, 친구에게 엽서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또래 관계와 대인관계 향상을 도모한다. 집단상담에 참여하는 친구들과 라포를 형성하고 친구들의 장점을 모방하며 서로 긍정적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분노 및 충동 조절 단계에서는 나는 이럴 때 화가 나요, 신문지 찢기, 공든탑 무너뜨리기 등의 활동을 통해 비행 청소년들의 충동성, 공격성, 학교나 가정에서의 규칙 위반, 무책임한 행동 등을 감소시킨다. 부모-자녀 의사소통 방법 교육과 멘토링 활동도 함께 진행하여 비행 문제가 유발되지 않도록 돕는다.
목적 의식과 책임감 기르기 단계에서는 내 인생의 설계도 그리기, 나의 시간 관리, 꿈은 이루어진다 등의 활동을 통해 비행 청소년들의 충동성, 공격성, 규칙 위반 등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학부모 상담 및 교육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진로 계획 단계에서는 나의 직업 탐구하기, 직업 사전 만들기, 가고 싶은 곳 탐방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 비행 청소년들의 자신 이해와 감정 조절 능력을 기르고 진로 탐색 및 체험 활동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도록 돕는다.
이처럼 비행 척도(DLQ) 조정 Wee 프로그램은 비행 청소년들의 문제 행동 감소와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 향상, 진로 설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도움을 주고 있다"
1.3.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Wee 프로그램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Wee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교 폭력으로 징계를 받은 청소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상담과 더불어 진행된다. 이를 통해 학교 장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청소년 학교 폭력의 위험성과 심각성에 대해 인지하고 재발되지 않도록 상담 및 교육이 실시된다.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 자녀의 보호자와 함께 상담 및 교육을 진행하여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을 풍성하게 하고,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도록 한다.
Wee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너의 또래 친구야?"를 통해 또래상담자를 임명하고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 친구 말 듣기와 반응 연습을 진행한다. 둘째, "Apple day"에서는 학교폭력 가해학생 선도 교육, 학교폭력 가해학생 인지행동 치료 상담 및 교육, 비행 및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