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성의 분만은 하나의 생명이 탄생하는 과정으로 신비롭고 경이롭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율이 높은 빈도를 차지하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크기도 하고 실습기간 동안 제왕절개술을 시행하는 산모를 많이 보았기에 관심이 생겨 간호사를 준비하는 학생으로서 많이 시행되는 제왕절개를 이론 및 실제적으로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방법을 공부하여 제왕절개 산모의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고자 CASE로 선정하게 되었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연구기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기간은 2017년 4월 3일부터 2017년 4월 10일까지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상자와의 면담, EMR 확인, 간호기록지 검토, 문헌고찰 등을 활용하였다.
2. 본론
2.1. 아두 골반 불균형(Cephalo Pelvic Disproportion)
2.1.1. 정의
아두골반 불균형이란 아두(태아의 머리)와 산부의 골반 크기와의 관계를 말하며, 아두의 크기와 산부의 골반의 크기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분만이 정지하고 또는 모아에게 위험이 닥치거나 또는 장애가 당연히 예상되는 경우를 말한다. 상황에 따라 절대적일 수도, 상대적일 수도 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질분만이 불가능하다면 절대적이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궁수축의 효율성, 연조직의 탄력성, 태세, 태위 및 아두의 주형 가능성에 따라 질 분만의 가능성 여부가 결정된다.
2.1.2. 원인
아두 골반 불균형의 원인은 선천적 협골반, 영양실조, 종양, 골반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같은 질병이 원인이 될 수 있다"이다.
경우에 따라 절대적일 수도, 상대적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자궁수축의 효율성, 연조직의 탄력성, 태세, 태위 및 아두의 주형 가능성에 따라 질 분만의 가능성 여부가 결정된다.
선천적 협골반은 골반의 크기가 작아 아두가 들어가기 어려운 경우이고, 영양실조나 구루병, 골연화증 등의 질환도 골반의 크기와 모양을 변화시켜 아두골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외상이나 종양으로 인한 골반골의 기형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모의 골반 구조적 문제나 태아의 크기 문제로 인해 아두와 골반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분만이 지연되거나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 아두골반 불균형의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2.1.3. 증상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 Pelvic Disproportion)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산모는 분만 전 빈맥, 얕고 빠른 과다 호흡, 요통 혹은 복부의 심한 통증, 비정상적으로 강도가 높은 자궁의 수축, 자궁 경부의 개대가 일어나지 않고 분만진행이 안 되는(2~3cm 미만에서 수시간 진통 지속)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태아는 태아의 심박동수 감소, 태동의 감소, NST 검사상의 그래프 이상, 도플러(doplar ultrasound) 초음파상 이상 소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머리가 산모의 골반으로 잘 내려오지 못하며, 자연 분만 진행 시에 회음부가 외상이 생기기도 하며, 분만 중 제대가 태아보다 먼저 밖으로 나오는 제대 탈출이 되기 쉬워 태아의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산후 출혈과 감염의 위험도 높아진다"
2.1.4. 진단
산모의 아두골반 불균형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산모의 과거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난산,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의 과거력을 확인하여 이전에 아두골반불균형이 있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내진 시 골반강의 심한 긴장력이 있는지, 천골이 넓고 잘 굽어져 있는지, 천골갑의 돌출 정도 및 좌골극이 튀어나오지 않고 완만한지, 치골궁으로 두 손가락이 쉽게 들어가는지 확인한다"" 임신 37주경 임부를 양 팔꿈치로 기대어 눕게 한 후 아두를 골반으로 밀어 넣어 보아 진입되는가를 보는 방법도 있다"" 마지막으로 임신 37주 이후 X선 골반계측법이나 초음파 촬영을 통해 산모의 골반 및 태아의 두위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2.1.5. 치료
협골반이거나 아두골반 불균형이 의심될 때는 시도분만을 할 수 있다. 시도분만은 태아의 선진부나 태향에 이상이 없고 골반의 크기가 협골반을 겨우 벗어난 상태일 때 질강 분만을 시도해보는 것이다. 시도분만 동안에는 자궁수축상태, 경관의 소실 및 개대, 진행 정도, 선진부 하강 및 태아상태를 사정하고, 산모의 방광이 차지 않도록 한다. 한정된 시간(6~8시간) 내에 분만 진행이 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