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 아민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Co2 아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탄소중립을 위한 폐기물 분야의 대응과 CCUS 기술
1.1. 탄소중립에 있어서 폐기물분야의 역할
1.2. 자원 순환·폐기물 처리에 있어서의 CCUS 기술의 도입
1.3. 소각로의 CCUS기술
1.3.1. 이산화탄소 분리 회수 공정
1.3.2. 화학 흡수법
1.3.3. 시설 규모와 에너지 균형
1.4.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CCU기술
1.5. 결론 및 제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탄소중립을 위한 폐기물 분야의 대응과 CCUS 기술
1.1. 탄소중립에 있어서 폐기물분야의 역할

폐기물 분야의 탄소중립을 위한 대응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2020년 12월 2050년까지 실질적인 탄소배출량을 제로화하는 2050 탄소중립 비전을 선포했다. 이에 따라 폐기물 분야에서도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폐기물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은 연간 약 1,710만 톤-CO2(2018년 기준)로 추정되며, 이 중 약 80%가 폐기물 소각 및 열 회수 등의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폐기물 분야의 탄소중립을 위해 제품 소재의 라이프 사이클 탈탄소화, 탈탄소형 폐기물 처리 시스템, 폐기물 처리 시설·차량의 탈탄소화 등 3대 중점 대책을 수립했다.

특히 이산화탄소 포집·이용·저장(CCUS) 기술의 활용은 폐기물 분야 탄소중립을 위해 주목받고 있다. CCUS 기술은 소각 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저장하거나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시나리오 분석에 따르면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90%를 회수할 경우 연간 200만 톤-CO2의 감축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CCUS 기술은 폐기물 분야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수단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1.2. 자원 순환·폐기물 처리에 있어서의 CCUS 기술의 도입

CCUS는 화력발전소 등으로부터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를 분리·회수(Capture)하고, 유효이용(Utilization), 또는 지하에 저장(Storage)하는 기술이다. 탄소 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하여 폐기물을 대상으로 한 CCUS기술의 역할은 폐기물의 철저한 발생억제, 재사용과 분리배출, 제품소재별 원료로의 재활용, 원료로서 이용이 불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연료로서 이용, 연료이용이 불가능한 것은 중간처분(소각)하면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여 이용하고, 배기가스 중의 CO2를 회수하여 연료, 소재 등으로 재활용하거나 지중 등에 저류하는 것이다.

폐기물의 중간 처리는 감용화(양을 줄이고, 안정화시키는 것)가 중요한 목적이며, 중간처분 기술은 크게 나누어 열적처리와 생물학적 처리로 분류되고, 열적처리는 소각, 열분해·가스화 등의 기술, 생물학적처리는 바이오가스화(메탄 발효), 퇴비화 등의 기술이 있다. 이러한 중간처분 기술과 CCUS 기술의 각 방식을 조합한 시스템은 ① 폐기물 처리에 수반하는 생성 가스의 처리, ② 생성 가스로부터의 CO2의 분리·회수, ③ CO2를 저류·이용하는 장소로의 수송, ④ CO2의 소재·연료 등으로의 변환 또는 저류 등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다양한 요소 기술이 제안되었지만, 각 기술의 성숙도는 기초 연구 단계에서부터 상용화된 기술까지 다양하다. ①에 관한 가스의 처리나 ③에 관한 파이프라인 기술은 상용화 수준이다. ②, ④에 관해서는 매우 폭넓은 종류의 기술이 존재하고 있지만,...


참고 자료

Lee, J. G. (2015). 멤브레인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의 특허정보분석과 기술전략. In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pp. 526-539).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서성일. (2011).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순산소 연소를 통한 이산화탄소 회수 기술. NICE. 29권 5호.
Gkotsis, P., Peleka, E., & Zouboulis, A. (2023). Membrane-Based Technologies for Post-Combustion CO2 Capture from Flue Gases: Recent Progress in Commonly Employed Membrane Materials. Membranes, 13(12), 898.
우대식, 남성찬, 정순관, & 윤여일. (2012). MEA 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모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1), 431-438.
Karimi, M., Shirzad, M., Silva, J. A., & Rodrigues, A. E. (2023). Carbon dioxide separation and capture by adsorption: a review. Environmental Chemistry Letters, 21(4), 2041-2084.
최형철, 문흥만, 조정호.(2018). 순산소 연소를 위한 초저온 공기분리장치의 최적공정 설계 연구. 화학공학. 제56권 제5호.
Yadav, S., & Mondal, S. S. (2022). A review on the progress and prospects of oxy-fuel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 technology. Fuel, 308, 122057.
정재흠, 임영섭, 정영수, 이웅, 양시엽. (2011). 모노에탄올아민(MEA)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공정: 배가스 분할 유입을 통한 흡수제 재생 에너지 저감 연구. 화학공학. 제49권 제6호
환경부. IV. 악취물질 측정 분석.
김기현, 김공언 외 3명(2024). 대기오염관리. 서울: 향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