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몽골어의 인칭종결어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몽골어와 한국어의 인칭 종결어미
1.1. 서론
1.2. 본론
1.2.1. 몽골어 인칭 종결어미
1.2.1.1. 1인칭 종결어미
1.2.1.2. 2인칭 종결어미
1.2.1.3. 3인칭 종결어미
1.3. 결론
1.4. 참고문헌
2. 한국어와 몽골어의 시제 종결어미의 공통점과 차이점
2.1. 서론
2.2. 본론
2.2.1. 한국어의 시제 종결어미
2.2.2. 몽골어의 시제 종결어미
2.2.3. 한국어와 몽골어의 시제 종결어미의 공통점
2.2.4. 한국어와 몽골어의 시제 종결어미의 차이점
2.3. 결론
2.4. 참고문헌
3. 국어의 문법적 특성
3.1. 서론
3.2. 본론
3.2.1. 유형적 특성
3.2.1.1. 형태적 특성
3.2.1.2. 통사적 특성
3.2.2. 담화언어적 특성
3.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몽골어와 한국어의 인칭 종결어미
1.1. 서론
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두 언어의 인칭 종결어미와 시제 종결어미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특히 몽골어의 인칭 종결어미와 한국어의 청유형 종결어미, 설명법 종결어미 간의 대응 양상, 몽골어와 한국어의 시제 종결어미 체계와 공통점 및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몽골어와 한국어는 같은 알타이어족 언어로 분류되어 유사한 문법적 특성을 공유한다. 하지만 각 언어마다 고유한 문법 체계를 갖고 있어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혀내어 언어 간 대조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몽골어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한국어 학습자의 몽골어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본론
1.2.1. 몽골어 인칭 종결어미
1.2.1.1. 1인칭 종결어미
몽골어의 1인칭 종결어미에는 '-я³'와 '-сугай²'가 있다."
'-я³'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я, -ъ, -ё'의 형태로 연결된다. 이 어미는 희망, 결의, 이행, 의도, 의향의 의미로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Би одoo сurguu'ld yav'ya"는 "제가 지금 학교로 갈게요"로, "Bid oyutunadag tusul'ja"는 "우리가 학생들을 도와줄게"로, "Hamtdaa duugaa sonso'yё"는 "우리 같이 노래 들읍시다"로 해석된다. 이처럼 '-я³'는 한국어의 청유형 종결어미에 대응된다."
'-сугай²'는 모음조화에 따라 남성 모음일 경우 '-сугай', 여성 모음일 경우 '-с?гэй'가 연결된다. 이 어미는 고전 몽골어에서 문어와 구어체에 사용되었지만 현대 몽골어에서는 주로 판결, 법령, 결의안 등의 공식적인 문어체 표현으로 한국어의 설명법 종결형인 '-ㅁ'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Surguu'l oyutuand bayryn bichig olgo'sugay"는 "학교가 학생에게 상장을 수여함"으로 해석된다.
1.2.1.2. 2인칭 종결어미
몽골어의 2인칭 종결어미에는 영형태, '-аач⁴', '-аарай⁴', '-гтун²', '-уузай²' 5가지 형태의 어미가 있다. 이 어미는 주로 화자가 문장의 행위를 2인칭에게 수행시키기 위한 명령, 허용, 요청, 존재, 호소 등의 양태 의미를 나타낸다.
먼저, 영형태는 '먹다'를 뜻하는 동사 'идэх'의 어간인 'ид'만 사용한다. 즉, 아무 어미를 연결하지 않은 형태로, 화자와 청자의 상하관계가 드러나게 된다. 화자의 권위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아랫사람에게 단호한 명령을 내릴 때 쓰인다. 이는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 '-어/아'에 대응된다.
다음은 '-аач⁴'이다. '-аач⁴'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서 '-аач, -ээч, -??ч, -ооч'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аач⁴'는 영형태와 결합한 동사에 2인칭 단수 대명사 'чи'에 부가음소 '-аа⁴'가 결합해 형성된 어미이다. 이와 더불어, 2인칭 종결어미 '-аач⁴' 뒤에는 양태첨사 '-даа⁴'가 연결이 되어서 더욱 강조 또는 부드러운 요청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한국어로 해석 될 때에는 주로 부사 '좀'을 사용하여 청자에게 행위를 재촉하거나 영형태 표현에 비해 부드러운 명령 혹은 요구할 때 쓰인다.
세 번째는 '-аарай⁴'이다. '-аарай⁴'는 모음조화에 따라서 '-аарай, -ээрэй, -оорой, -??р?й'가 있고 허락, 명령, 충고, 요청, 권유, 요구, 청탁 등의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аарай⁴'는 한국어의 'ㅂ시오.', '-거라', '-오', '-렴'에 대응된다. 특히 '해라'는 한국어 직접명령문 '-어/아라'의 형태로 주로 자기보다 낮은 상대에게 행동을 실행하도록 요구할 때 사용된다.
네 번째는 '-гтун²'이다. '-гтун²'는 명령.원망법 어미 중 청자를 가장 높여 대우하는 상대 경어법 즉, 존대법의 아주 높임에 대응되는 표현이다. '앉으시다'라는 주체존대법에 사용되는 존대어 'морилох'에 '-гтун'이 붙어 '앉으십시오'가 된 것이다. 따라서 화자가 청자에게 문장의 동사를 행동할 것을 아주 높여 명령할 때 쓰인다.
마지막으로 '-уузай²'도 경계, 주의, 염려 등의 양태 의미로 다양하게 정의되며 한국어에서는 '-라'로 해석된다. '-уузай²'는 1인칭, 3인칭 주어와는 결합할 수 없으며 오직 2인칭 주어와만 결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1.2.1.3. 3인칭 종결어미
몽골어의 3인칭 종결어미에는 "-г", "-тугай²", "-аасай⁴"가 있다. 주로 화자가 제3자의 행위 수행을 허용, 축원, 기원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첫 번째 3인칭 종결어미 "-г"는 서법 의미로서 동의, ...
참고 자료
김기선 교수와 함께하는 디아스포라 몽골어 노마드 문화, 2019.1.2.
김기선 외4인, 『현대 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 비교 연구』, 한국문화사, 2009
김기선.Ulziibat Dorj,『몽골어 표준교재A1』,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2020)
김기선.Ulziibat Dorj,『몽골어 첫걸음』,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2017)
김기선(2018) 한국외국어대학교,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의도법 비교 연구(52호)」. 한국몽골학회
김기성(2004) 단국대학교, 「현대 몽골어의 시제 연구(몽골학 제16호)」, 한국몽골학회
김수태(2005) 신라대학교, 「‘-느-’와 종결어미의 융합(16권, 16호)」, 우리말글학회
임지영(2021) 인하대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교육 방안 연구 학습자의 말뭉치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기선, 2018.12.24., 031. 몽골어 시제종결어미 (1) -과거시제-, 네이버 오디오클립, 검색일 2021.10.12., 출처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1034/clips/32
김기선, 2018.12.26., 032. 몽골어 시제종결어미 (2) -비과거시제(현재, 미래시제 종결어미)-, 네이버 오디오 클립, 검색일 2021.10.12., 출처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1034/clips/33
이익섭․채완,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조성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한민족문화연구 제7집 p5-16, 2000
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