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술부위와 관련된 간호
1.1. 급성통증
1.1.1. 기대되는 결과(단기목표)
1.1.2. 간호중재
1.1.3. 이론적 근거
1.1.4. 평가 계획 및 수행, 관찰한 내용
1.2. 감염위험성
1.2.1. 기대되는 결과(단기목표)
1.2.2. 간호중재
1.2.3. 이론적 근거
1.2.4. 간호수행 및 평가
2. 감염의 위험
2.1. 간호과정
2.1.1. 간호 사정
2.1.2. 간호진단
2.1.3. 간호목표
2.1.4. 간호계획
2.1.5. 간호수행
2.1.6. 간호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술부위와 관련된 간호
1.1. 급성통증
1.1.1. 기대되는 결과(단기목표)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NRS 4점이하로 감소된다.
대상자의 급성 수술부위 통증 정도를 평가하고자 NRS(Numeric Rating Scale)를 이용하여 통증을 사정하였다. NRS는 0점에서 10점까지의 점수로 통증 정도를 측정하며, 0점은 "통증 없음", 10점은 "견딜 수 없는 통증"을 의미한다. 대상자가 초기에 NRS 8점이라고 호소한 것을 고려할 때, 4시간 이내에 4점 이하로 감소되도록 비약물적 및 약물적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2. 대상자는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 한 가지 이상을 말한다.
통증 관리에 대한 대상자의 지식 수준을 확인하고자,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대상자가 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통증 관리에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1.2. 간호중재
간호중재"는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사가 수행하는 직접적인 간호활동을 의미한다. 급성통증과 관련된 간호중재로는 첫째, 비약물적 통증완화중재를 실시한다. 명상과 심호흡을 하게 하거나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들려주거나 방문자와의 대화를 시행하는 등 대상자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한다. 둘째, 통증정도를 사정하며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진통제 투여 전후의 호흡수를 측정하여 약물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마약성 진통제의 경우 그 부작용에 대해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셋째, 통증유발요인과 완화요인을 확인한다. 질문과 관찰을 통해 통증 유발요인을 파악하고 제거하며,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느낌과 통증을 말하도록 격려한다."
1.1.3. 이론적 근거
통증의 강도를 줄여주는 이완요법은 근골격계 긴장을 줄여주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근육의 긴장을 해소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명상이나 심호흡으로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통증양상에 대한 지식과 통증정도를 아는 것은 효과적인 통증관리 중재를 하도록 돕는다". 통증의 유발 요인, 완화 요인 등 통증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적절한 중재를 선택할 수 있어 통증 관리에 도움이 된다.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에 대한 지식도 필요한데, 호흡저하, 변비, 구역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간호중재를 계획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는 통증 관리에 있어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증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재를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인 통증 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1.1.4. 평가 계획 및 수행, 관찰한 내용
대상자는 4시간 후에 NRS 3점이라고 말했다. 이는 비약물적 통증완화중재와 진통제 투여로 통증의 강도가 감소되었음을 나타낸다. 대상자는 통증완화를 위해 심호흡, 음악듣기를 한다고 말했는데, 이는 통증완화를 위해 자신에게 효과적인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통증관리를 위한 간호중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대상자의 단기목표가 달성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대상자는 2일 후에 CRP 수치가 4mg/L로 감소하여 감염의...
참고 자료
원종순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 2판」 , 현문사, 2018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1」,수문사, 2019
성인간호학 상,하, 황옥남 외 4명, 2018. 현문사
기본간호학 1,2, 양선희 외 8명, 2018,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장효순 외 3명 저, 현문사, 2013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이동숙 저, 포널스 출판사, 2016
NANDA의 Defination and Classificant of Nursing Diagnoses 2018-2020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고성희 외.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김양호. (2010). 기본 병리학. 현문사
홍영혜 외. (2011). 최신 간호진단. 수문사
성미혜 외. (2014). 간호과정. 정문각
송경애 외. (2014). 최신 기본 간호학(하). 수문사. 서울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Ⅱ.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