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군주론, 대한민국, 현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키아벨리의 리더십과 군 조직
1.1. 마키아벨리의 리더십 이론
1.1.1. 결과는 수단을 정당화한다
1.1.2. 리더는 머리에 뿔이 달려야 한다
1.2. 군대와 마키아벨리의 리더십
1.2.1. 마키아벨리가 생각한 군사력
1.2.2. 군대의 리더십
2. 황종희의 『명이대방록』
2.1. 『명이대방록』의 내용
2.2. 원문 감상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키아벨리의 리더십과 군 조직
1.1. 마키아벨리의 리더십 이론
1.1.1. 결과는 수단을 정당화한다
마키아벨리는 군주가 권력을 얻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때로는 권모술수를 써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악한 행위라도 서슴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결과가 수단을 정당화한다고 보았는데, 이는 권력을 차지하고 안정된 통치를 하게 되면 과거의 권력을 얻기까지의 과정의 부도덕이나 사악함 등은 치유된다는 내용으로 요약될 수 있다.
마키아벨리는 이러한 논리를 통해 군주는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때로는 잔인하고 비윤리적인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군주가 권력을 행사하는 데 있어서는 도덕이나 윤리적 고려 없이 결과만을 중시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로 인해 이러한 사상은 '마키아벨리즘'이라는 용어까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는 당시 유럽 사회가 교황청을 중심으로 한 윤리를 중요시했던 것과는 상반되는 사상이었기 때문에 큰 충격을 주었다. 마키아벨리는 이러한 사상을 통해 자신이 살던 시대의 혼란한 정치 현실을 극복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군주에 의해 강력한 국가가 통일되어야만 이탈리아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1.1.2. 리더는 머리에 뿔이 달려야 한다
마키아벨리는 군주가 국가의 이익을 위해서는 때로 잔인한 행동도 서슴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군주는 자기네 백성을 단결시키고 충성을 지키게 하려면 잔인하다는 악평쯤은 개의치 말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는 군주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백성들의 신뢰보다는 공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정도의 강압적...
참고 자료
임병철, 2022.5.28.‘실체적 진실’ 좇았던 마키아벨리, 시대의 철창을 열다,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044737.html
고현석, 2020.10.11. 마키아벨리와 마키아벨리즘, 대학지성 In&Out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6
리기용(2019), 마키아벨리와 율곡의 리더십 비교-군주론과 성학집요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99-133, 율곡학회
김상근, 2012.8. 지도자는 공포의 대상이 돼야 할까? 동아비즈니스, 동아일보 https://dbr.donga.com/article/view/1306/article_no/5095/ac/magazine
류종렬 외, 『동서양 고전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