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혈압 중재 논문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에 관한 연구
1.1. 이론적 배경
1.2. 질병 관련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
1.3.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자가간호 이행
1.4. 고혈압 환자의 건강신념과 자가간호 이행
1.5. 농촌지역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요인
2. 심방세동 환자의 항응고제 복용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2.1. 임상질문 도출
2.2. PICO 정리
2.3. 관련 문헌 고찰
2.4. 문헌 특성 요약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에 관한 연구
1.1. 이론적 배경
고혈압은 국내 30세 이상 성인인구 3명 중 1명 수준인 31.2%가 겪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의 발생 및 사망의 위험요인으로 분류되고 있다. 고혈압 환자의 효율적인 혈압 관리는 처방된 약물의 꾸준한 복용과 함께 식이, 운동, 체중조절, 금연, 절주 등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이루어진다. 올바른 생활습관을 지속해서 유지하면 고혈압약 한 알을 복용하여 혈압을 떨어트리는 것과 같은 효과의 혈압 강하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 고혈압 유병자 기준 조절률은 45.6%로 절반 이상의 고혈압 환자가 혈압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염분 제한, 체중조절, 운동, 절주와 금연 등의 자가간호 이행 정도는 21~57%로 낮아 지속적인 자가간호 이행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을 위하여 질병 관련 지식과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건강신념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혈압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수준과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1.2. 질병 관련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
질병 관련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은 고혈압 환자의 효과적인 혈압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고혈압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수준은 자가간호 이행 정도와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은 고혈압의 특성, 기준, 치료방법 등을 포함하며, 자가간호 내용에 해당하는 식이, 운동, 기호식품 조절, 약물 복용 등에 대한 지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질병 관련 지식이 높을수록 고혈압 환자들은 효과적인 자가간호 행위를 실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혈압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은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건강신념, 자가간호 이행 정도와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질병 관련 지식이 높을수록 인터넷 건강정보를 잘 이해하고, 건강신념이 높으며, 자가간호 이행 정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고혈압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수준은 실제 임상에서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국내 고혈압 유병자의 기준 조절률이 45.6%에 불과한 것은 이들의 질병 관련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 정도가 부족함을 시사한다. 염분 제한, 체중조절, 운동, 절주와 금연 등의 자가간호 이행 정도가 21~57% 수준에 그치고 있어, 고혈압 환자의 효과적인 혈압 관리를 위해서는 질병 관련 지식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을 위해서는 질병 관련 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
참고 자료
고혈압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자가간호 이행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 효과, 조규영, 하명남, 성인간호학회지 31(6), 2019.12, 638-649(12 pages)
성인간호학, 윤은자 외, 수문사, 2019
박영임(1997), 일부 농촌지역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요인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8권(1호), P45-60
소향숙,김애영,김은아,and 김수미.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약물교육프로그램이 약물에 대한 지식과 약물복용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7 (2006): 1135-1144.
이수진,박향숙,한진희,김해진,서민원,최은아,임은영,최미란,최선숙,박광옥,and 김경옥.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역할불이행 혈액투석환자의 투석관련 지식 이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5.3 (2009): 5-16.
전원희 ( Won Hee Jun ),박정순 ( Jeong Soon Park ),and 정안순 ( An Soon Jeong ). "질환별 교육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및 약물지식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2011): 110-116.
이종경(Lee Jong Kyung).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의 약물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2 (2013): 267-275.
김효정,and 김건희. "이미지 활용 약물교육이 노인환자의 약물지식, 복약자기효능감 및 복약오류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4.1 (2018): 56-66.
장소라. “항응고요법 환자의 약물지식과 환자역할행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