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군자와 소나무
1.1. 사군자(四君子) - 매란국죽(梅蘭菊竹)
사군자(四君子)는 매화(梅花), 난초(蘭草), 국화(菊花), 대나무(竹)를 일컫는 말이다. 이 네 가지 식물은 동양 문화권에서 군자(君子)에 비유되어 왔으며, 군자란 완전한 인격을 가졌다는 뜻이다. 이 네 가지 식물들은 동양화의 대표적인 소재가 되어 왔다. 각각은 봄(매화), 여름(난초), 가을(국화), 겨울(대나무)을 상징한다. 전통적인 수묵화를 통해 이들이 묘사되어 왔으며, 새와 꽃 그림에 속한다. 이들은 정직, 순결, 겸손, 인내와 같은 가치를 상징한다.
매화(梅花)는 봄을 상징한다. 서리, 시련과 핍박, 환경, 고통을 두려워하지 않고 추위를 무릅쓰고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매화는 청초한 아름다움과 굽힐 줄 모르는 선비의 정신을 상징한다. 매화는 꽃이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홍색이 도는 흰빛으로 향기가 강하다. 꽃말은 기품, 품격, 고결, 충실, 인내, 맑은 마음이다. 매화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이다. 매화는 난초, 국화, 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라 불리며, 선비의 절개를 상징한다. 매실은 매화의 열매이며 신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1.2. 매화의 의미와 상징
매화의 의미와 상징은 다음과 같다.
매화는 봄을 상징하며, 서리, 시련과 핍박, 환경, 고통을 두려워하지 않고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특성으로 인해 청초한 아름다움과 굽힐 줄 모르는 선비의 정신을 상징한다. 백화가 피기도 전에 제일 먼저 피어나는 매화는 '화형' 또는 '화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일지춘색', '철간선춘', '한향철간'이라 불리기도 한다. 선비들은 매화의 곧고 맑은 성품을 노래한 글을 지어 일편단심의 심정을 나타냈고, 아름다움과 함께 정절을 상징하였다. 매화의 꽃말은 기품, 품격, 고결, 충실, 인내, 맑은 마음이다. 꽃이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홍색이 도는 흰빛으로 향기가 강한 것이 매화의 특징이다. 매화는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매화 열매인 매실은 건강과 심신 안정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이처럼 매화는 선비의 절개와 맑은 정신을 상징하는 사군자 중 하나이다.
1.3. 난초의 의미와 상징
난초는 여름을 상징한다. 난초에서 나는 은은한 향기는 상대방을 교화시키는 힘이 있다고 보았다. 난초는 비록 꽃이 단 한 송이만 피지만 향이 넘쳐나 열흘이 되어도 그 향기가 지속되어 그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옛날 부유한 집에서는 난을 향초로 삼기도 하여 화려하지 않고 꽃도 작으나 향이 깊어 그 향을 고귀하게 여겼다. 깊은 산중 청초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로 뜨거운 여름에도 피는 난초는 선비의 충성심과 절개를 상징한다. 난초는 뿌리가 굵고 잎은 홑잎이며, 꽃은 좌우 대칭이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난초는 속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