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부모가족의 현황과 한부모가족지원정책
1.1. 한부모가족의 개념
"한부모가족이란 만 18세 미만의 미성년 자녀(1995년 이후 출생)를 둔 가족에서 부모 중 한명이 사망·이혼·유기·미혼모(부) 등의 이유로 혼자서 자녀를 키우며 부모 역할을 담당하는 한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이다. 김익균(2003)는 한부모가족은 "가족 형태상 모친 또는 부친과 자녀로 이루어지는 가족을 말한다. 이전에는 양친이 없는 가족도 포함하여 결손가정이라 하였으나 최근에는 단친 가족 한부모 가족이라고 부르고 있다."고 하였다. 서영숙·황은숙(2003)은 이혼, 사별, 유기, 미혼으로 인하여 발생한 가정으로 현재 만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살면서 자녀를 부양하고 부모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한부모와 자녀의 집단이라고 정의하였다. 조흥식 외(2008)에 의하면 "한부모 가족은 부(父)나 모(母) 중에 한사람이 부재중이라 한사람이 단독으로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족"으로 인식되고 있다. 모자복지법에 의하면 모자가정은 '모가 세대주(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세대원을 사실상 부양하는 자를 포함한다.)'로서 18세 미만(다만, 취학 시에는 20세 미만)의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을 말하고, 부자가정이란 '부에 의하여 양육되는 18세 미만(다만, 취학 시에는 20세 미만)의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을 말한다."
1.2. 한부모가족의 유형
1.2.1. 형성원인에 따른 유형
형성원인에 따른 한부모가족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집단의 유형이다. 이는 부모가 결혼을 한 사람들이거나 아니면 동거를 하다가 한부모가족이 된 사람들의 유형이다.
둘째, 가족해체형태에 따른 유형이다. 이는 해체의 유형이 부(父)나 모(母)의 사망에 의한 것인지, 부모의 별거나 이혼에 의한 것인지, 배우자의 장기입원이나 장기 구속에 의한 것인지, 미혼모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셋째, 아동보호 유형이다. 이는 아동의 보호를 누가 맡느냐 즉 부모역할을 누가 맡느냐에 따라 모(母)가 자녀에 대한 보호를 맡고 있는 모자(母子)가족과 부(父)가 자녀를 보호하고 있는 부자(父子)가족으로 분류될 수 있다.""
1.2.2. 생활유형에 따른 유형
한부모가족의 생활유형에 따른 유형은 다음과 같다.
멘데스(Mendes)는 생활 유형에 따라 한부모가족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한부모의 단독책임 유형은 부모 중 한쪽이 자녀에 대한 의식주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의 사회화 등 모든 것을 책임지고 단독으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직업과 가사책임의 이중부담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가중되기 쉽다. 둘째, 공동책임 유형은 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보조부모, 즉 이혼의 경우 부(父)가 보조부모역할을 하는 등 부모역할과 책임을 함께 나누는 것을 말한다. 셋째, 친족책임 유형은 아동의 실질적인 책임유형은 아니지만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이 혈연관계나 법적인 친척관계에 있는 경우로서, 주로 조부모나 사촌, 형제 등이 결손 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통례이다. 넷째, 비가족책임 유형은 한부모가 가족과 관련이 없는 사람과 부모역할을 함께 하는 유형으로서, 자녀가 엄마처럼 느끼는 가정부와 함께 사는 경우나 한부모의 친구나 연인이 부모역할과 책임을 수행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다섯째, 유기유형은 한부모가 알코올이나 약물에 중독되어 있거나 유아적인 사람이거나 혹은 심한 정신적 문제가 있는 경우처럼 사실상 부모역할을 유기한 경우의 가족을 들 수 있다.
1.3. 한부모가족의 문제점
1.3.1. 부자가족의 문제점
부자가족의 문제점은 "경제적 문제", "역할갈등", "정서적인 상황", "사회심리적 상태" 등이 있다.
첫째, 경제적 문제이다. 남성 한부모의 경우에는 대부분 양친가족으로 있을 당시의 직업을 계속 하게 되어 경제적인 문제를 여성 한부모보다는 적게 겪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혼으로 인해 발생된 부자가족 중에는 남성 한부모가 알코올 중독과 건강상의 이유로 경제력을 상실한 경우도 적지 않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둘째, 역할갈등이다. 부자가족의 부가 일차적으로 직면하는 어려움은 그동안 배우자에 의해 관리되던 가사문제를 자신이 처리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점이다. 대리 관리자도 없고 자녀는 어리고 일을 계속해야할 경우 부자가족의 부는 당혹감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한 스트레스 상태에 처하게 된다.
셋째, 정서적인 상황이다. 배우자를 잃은 부자가정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정서적 문제에 부닥치게 된다. 경제적 빈곤으로 보호자가 느끼는 불안·우울·무기력·좌절을 느끼며 자녀양육으로 가정에서 모를 대신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며 자녀에게도 보호자의 정서적 불안이 전해진다.
넷째, 사회심리적 상태이다. 부자가정에서는 자녀 양육이 가장 큰 스트레스로 꼽을 수 있다. 특히, 우리 사회는 남자 혼자서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가사 문제나 자녀 양육은 이혼 남성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