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생식기 건강문제를 가진 여성 - 생식기 수술
1.1. 자궁절제술
1.1.1. 부분자궁절제술
부분자궁절제술은 자궁의 체부(fundus)만 제거하고 자궁경부(cervix)는 남겨두는 수술이다. 이 방법은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전자궁절제술(total hysterectomy)에 비해 수술 후 월경은 없어지지만 난소는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 호르몬은 계속 분비되어 폐경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부분자궁절제술은 자궁근종, 자궁경부상피내종양, 자궁탈출증 등의 치료를 위해 시행된다. 자궁이 비대해져 있거나 복부에 자궁내막증식증, 유착과 같은 문제가 있을 때 적용되며, 난소와 난관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수술 방법으로는 복식 자궁절제술(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과 질식 자궁절제술(transvaginal hysterectomy, TVH)이 있다. 복식 자궁절제술은 복부를 절개하여 자궁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질식 자궁절제술은 질을 통해 자궁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복식 자궁절제술은 악성 종양이나 악성이 의심될 때 병변을 광범위하게 탐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술 후 통증이 심하고 회복이 느리며 수술 후 반흔이 남는 단점이 있다. 반면 질식 자궁절제술은 마취와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입원 기간이 짧으며 수술 후 불편감이 감소하고 반흔이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감염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부분자궁절제술 후 간호중재로는 수술 전 자궁절제술과 관련된 정보 제공, 수술 전 신체 및 정서적 준비, 수술 후 출혈 및 감염 예방, 통증 관리, 심리적 지지 등이 필요하다. 또한 폐경 증상 관리와 성생활 적응에 대한 교육도 중요하다.
1.1.2. 전자궁절제술
전자궁절제술은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자궁 경부는 남겨두고 체부만 제거하는 수술을 부분자궁절제술이라고 하며, 자궁의 체부와 경부를 모두 제거하는 수술이 전자궁절제술이다. 전자궁절제술을 시행하면 수술 후 월경은 없어지나 난소는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 호르몬은 계속 분비되어 폐경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전자궁절제술은 주로 양성, 악성종양, 자궁내막 증식증, 기능 불능성 자궁출혈, 골반 내 염증성 질환, 자궁탈출 등의 치료를 위해 시행된다. 복부를 절개하여 자궁을 적출하는 복식 전자궁절제술과 질을 통해 자궁을 제거하는 질식 전자궁절제술, 그리고 복강경을 이용한 복강경 보조 질식 전자궁절제술 등의 방법이 있다.
복식 전자궁절제술은 자궁이 비대해져 있거나 복부에 자궁내막 증식증, 유착과 같은 문제가 있을 때 적용되며, 난소와 난관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장점은 악성종양이거나 악성으로 의심될 때 병변을 광범위하게 탐색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광범위한 절개로 인해 수술 후 통증이 심하고 회복이 느리며 장기적으로 장기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질식 전자궁절제술은 자궁탈출, 질 이완증, 직장탈, 탈장 등의 문제로 인해 자궁을 제거할 때 적용되는데, 마취와 수술시간이 단축되고 입원기간이 짧으며 수술 후 불편감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수술 후 감염 위험성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복강경을 이용한 방법은 피부를 약간만 절개하고 복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