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상에서 플로우 경험 및 조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플로우(Flow)의 개념과 특성
2.1. 플로우의 개념
2.2. 플로우 상태에서 나타나는 특성
2.2.1. 긍정적인 정서의 경험
2.2.2. 지속적인 발전의 가능성
2.2.3. 능동적 행위
3. 플로우 경험의 조건
3.1. 도전수준과 기술의 조화
3.2. 명확한 목표와 규칙의 존재
3.3. 목표 달성 시 차별화되는 보상적 자극
4. 일상에서의 플로우 경험
4.1. 독서 경험
4.2. 운동 경험
4.3. 스포츠 활동 경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플로우(Flow)란, 행위에 깊게 몰입하면 시가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서는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게 될 때의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명확한 목표가 주어져있고, 활동의 효과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과제의 난이도와 실력이 알맞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면 누구나 어떤 활동에서도 몰입을 맛보면서 삶의 질을 끌어올릴 수 있다"(몰입의 발견, 1997). 몰입(flow)이란, 미하이 칙센트 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가 1970년대 고안한 개념으로서, 그는 미국 클레어몬트대학교 교수이자 창의력 전문가이다. 그는 긍정심리학, optimal human functioning 연구의 선구자로서 몰입이로는 발전시켰다. 사람들은 언제 가장 행복한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행복은 외부적 동인보다는 내적 동인(internal forces)의 결과로 사람들이 삶의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에 달려있다고 본다. 따라서 내적 경험 통제를 통해 행복을 개발하고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다고 본다.
2. 플로우(Flow)의 개념과 특성
2.1. 플로우의 개념
플로우(flow)란 "어떤 활동에 고도로 관여하고 집중한 상태에서 느끼는 엄청난 기쁨과 성취감을 동반하는 정신적 상태"이다. 이러한 플로우 상태에서는 그 외의 다른 것들이 중요하지 않게 여겨지며, 그 경험 자체가 너무 즐거워서 많은 대가를 치루면서도 이를 계속하고자 한다.
플로우는 1970년대에 헝가리 출신의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가 제시한 동기이론으로, "몰입"이라고도 불린다. 칙센트미하이에 따르면, 플로우를 경험한다는 것은 개인의 내재된 욕망, 충동, 외부환경의 자극, 잡념 등이 극도로 낮아지거나 차단되어 모든 주의가 한 분야에 집중되는 것을 의미한다. 플로우에 몰입한 사람들은 자신이 하는 행동을 매우 즐겁게 여기며, 그것에 완전히 흡수되는 모습을 보인다.
플로우를 경험한 사람들의 경험을 종합해보면, 편안하고 자유로우며 시간의 개념이 왜곡되어 실제로는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매우 짧게 느껴지는 특성이 있다. 이처럼 플로우는 인간이 특정 활동에 전념하여 심리적으로 완전히 몰입하는 최적의 경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2.2. 플로우 상태에서 나타나는 특성
2.2.1. 긍정적인 정서의 경험
플로우(flow) 상태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 '긍정적인 정서의 경험'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플로우 상태는 그것을 경험하는 사람에게 긍정적인 정서를 불러일으키는데, 이는 모든 플로우 상태에서 나타나...
참고 자료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 한울림, 2004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재발견, 한국경제신문, 2009
Ubion 원격평생교육원 <심리학개론, 교재>
위키백과, <몰입>, https://ko.wikipedia.org/wiki/%EB%AA%B0%EC%9E%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