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항균제 감수성 검사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1.2.1. 항생제 내성의 종류
1.2.2. 항생제의 작용 기전
1.3. 항생제 종류 및 스펙트럼
1.4. 항생제 감수성 검사 방법
1.4.1.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1.4.2. Disk diffusion method
1.5. 실험 재료 및 방법
1.5.1. 균주 및 배양
1.5.2. 항생제 처리
1.5.3. 배양 및 관찰
1.6. 실험 결과
1.6.1. 1번 균주와 2번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1.6.2. 저지대 크기 측정
1.7. 실험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항균제 감수성 검사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그람염색, API test와 PCR을 통해 확정 진단한 균이 감수성을 가지는 항생제를 알아보기 위해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하는 것이다.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에 특정 항생제가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효과가 가장 큰 항생제를 찾아 질병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하고자 함이다.
균이 내성을 가지는 항생제가 존재한다는 것은 곧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후천적으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균들이 등장하면서 One health 개념의 중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One health는 사람의 건강, 동물의 건강, 환경 건강의 상호 의존성을 인식하고, 감염병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동해야 한다는 접근법이다.
따라서 이번 실험에서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적절한 항생제 선택을 위해 그람염색, API test, PCR 등을 통해 확인한 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1.2. 실험 원리
1.2.1. 항생제 내성의 종류
항생제 내성에는 자연 내성과 획득내성이 존재한다.
자연내성은 세균의 본질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대표적으로 그람음성 세균이 그람양성 세균보다 상대적으로 내성을 가지는 항생제가 많다. 이는 그람음성 세균의 세포벽 구조에서 기인한다. 그람음성 세균에는 외막의 바깥쪽 면에 일부 지질이 내독소로 작용하는 지질다당류 복합체를 포함하고 있어, 항균제의 투과에 영향을 끼친다. 또한 혐기성 세균의 경우 세균의 기본적인 생화학적 기구의 차이에 의해 내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주로 aminoglycoside 제제에 대한 내성기전이 대표적이다.
획득내성이란 감수성을 나타내었던 약제에 내성을 가진 경우로, 세균의 DNA에 돌연변이가 발생했거나 새로운 DNA를 획득하는 등의 두 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세균은 기본적으로 DNA repair system을 가지고 있어 DNA 복제 시 발생하는 실수를 다음대에 전달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적은 빈도로 자연돌연변이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돌연변이는 필수적인 단백질 기능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어 해당 돌연변이 균주는 사멸하게 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새로운 영양물질의 사용 능력, 내열성 또는 항생제 내성 등의 유리한 기능을 획득하기도 한다.
획득내성의 다른 경로는 새로운 DNA의 획득인데, 이는 형질전환, 형질도입, 접합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접합은 세포 대 세포의 접촉을 필요로 하며 내성 유전자가 전달되는 가장 흔한 기전이다. 획득내성은 지속적인 노출을 필요로 하므로 항생제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1.2.2. 항생제의 작용 기전
항생제의 작용 기전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대표적인 예로 β-lactam계와 Vancomycin이 있다. 세균은 세포벽을 합성할 때 PBP(Penicillin Binding Protein)이라는 효소를 필요로하는데, 이 PBP에 항생제가 결합하면 PBP가 기능을 하지 못해 세포벽이 약해지고 세균이 터져 죽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세균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사람에게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둘째,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Aminoglycoside와 Tetracycline 등이 이에 해당한다. Aminoglycoside는 mRNA 합성을 방해하여 단백질 합성을 원천적으로 저해하고, Tetracycline은 tRNA의 mRNA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 단백질 합성 과정의 다른 단계를 저해하는 항생제도 존재한다. 세균과 동물세포의 리보솜이 다르기 때문에 세균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셋째, 핵산 합성 및 활성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퀴놀론계 항생제가 여기에 해당...
참고 자료
국민건강 확보를 위한 한국형 원헬스 추진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8년 11월 27일)
One Health 항생제 내성균 「One Health 접근의 중요성」
https://www.kdca.go.kr/nohas/aboutOH/OHimportanceOfaccess.do
One Health Basics, CDC (2022년 2월 7일)
https://www.cdc.gov/onehealth/basics/index.html
그림1: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One Health”: everything is connected ,Tania Perálvarez Puerta (2022년 1월 25일)
https://aboutsmallruminants.com/antimicrobial-resistance-one-health/
정선식. (1995). 항생제의 내성기전. 가정의학학회지, 16(3), 258-271.
강창수.(2004).항생제 내성과 대응방안 연구.Patent 21,(54),37-43.
이동건 and 신현호. (2008). 항생제의 약동학/약역학 : 기본 개념 및 임상응용. Infection and Chemotherapy, 40(3), 140-147.
최신 실험미생물학/미생물 및 면역한 분과회/신일북스/pp.227~228
표준 병원미생물학/이광배 외/고려의학/pp.112~114
숙명여자대학교 의약정보연구소/암피실린/ampicillin/작용기전 참고
(http://sdic.sookmyung.ac.kr/drug_monograph/view.asp?id=81)
수산생명 고급실습1, p109-117, 강소영 외 6명 공저, 2008.8.30., 바이오사이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