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삼포 가는 길
1.1. 소설의 배경
이 소설의 배경은 1970년대 한국의 급격한 산업화 시기이다. 당시 한국은 1960년대부터 추진되어 온 경제개발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가 근대 공업국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하게 다진 시기였다. 물론 근대화는 경제 발전과 소득 수준의 증대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지만, 부정적인 면모도 적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농어촌의 해체와 그로 인한 농어민의 고향 상실, 도시로의 유입으로 인한 노동자로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인구의 도시 집중, 공해 문제, 빈부 격차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소설은 바로 이와 같은 1970년대 한국 사회의 어두운 면모를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농어촌의 해체 과정은 정씨의 고향 삼포가 관광지로 변해 가는 모습을 통해 드러나고, 농어민의 고향 상실은 뿌리를 내릴 곳을 찾지 못하고 유랑만 거듭하는 백화, 정씨, 영달 세 인물의 삶을 통해 표현된다. 또한 농어민의 노동자화는 시골 출신인 영달과 정씨가 막노동자가 되어 전국의 공사판을 떠도는 데서 단적으로 나타난다.
1.2. 작가 황석영의 작품 세계
작가 황석영의 작품 세계는 70년대 사회가 산업화·도시화 하는 과정에서 야기된 노동자, 빈민 계층의 소외와 열악한 생활상, 소득 분배의 불균형, 도시적인 삶이 지닌 인간관계의 불구적 양상 등에 사실주의의 시선으로 접근한다. 그의 작품들은 삶의 생득적인 것을 바탕으로 쓰여지고 있으며, 상황과의 부딪침에서 한발 짝도 물러서지 않으려는 작가의식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작가의식은 그의 문학을 행동적이고 사실주의적 수법으로 전개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소설 「삼포 가는 길」에서는 급속한 산업화 속에서 고향을 상실하고 떠돌아 다니는 뜨내기들의 애환과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고향을 상실한 민중들의 궁핍한 삶을 그려내고 있다. 이처럼 황석영의 작품 세계는 당시 한국 사회의 어두운 면모를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구성 요소
1.3.1. 플롯
플롯의 단계부터 먼저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발단: 공사판이 있는 마을에서 밥값을 떼어먹고 도망 나온 노영달은 들판에서 귀향하는 정씨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 전개: 정씨는 고향 삼포로 가는 길이었고 영달은 삼포에서 일자리를 얻을 생각으로 정씨와 함께 동행하게 된다. 위기: 읍내에 들렀다가 작부(백화)를 붙잡아 달라는 부탁을 받은 두 사람은 눈밭을 걸어가다가 백화를 만나게 된다. 절정: 백화와 영달은 서로 호감을 갖게 된다. 백화는 영달에게 같이 자신의 고향으로 가자고 제안했지만 영달은 백화를 행복하게 해 줄 자신이 없어 이를 거절한다. 결말: 정씨는 감천역에서 자신의 고향 삼포가 자신이 예전에 살던 환경과 많이 변해버렸다는 소식을 듣고 망연자실한다. 이 소설에서는 어떠한 특정의 갈등 구조가 없다. 다만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우연히 동행하게 되면서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플롯의 유형은 단순구성이다. 또한 작가는 이 소설을 열린 결말로 꾸며 그 후에 등장인물의 상황을 독자 상상에 맡긴다.
1.3.2. 인물
이 작품에서는 3명의 인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