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거식증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거식증의 이해
1.1. 거식증의 정의
1.2. 거식증의 유형
1.3. 거식증의 발생과 원인
1.4. 거식증의 증상과 합병증
2. 거식증의 진단과 평가
2.1. 진단적 검사
2.2. 신체 사정
2.3. 정신사회적 사정
3. 거식증 환자에 대한 간호
3.1. 영양 관리
3.2. 정신적 증상 대응
3.3. 환자 교육
3.4. 상담 및 옹호
3.5. 지역사회 정보 제공
4. 거식증 환자의 사례 연구
4.1. 환자 A의 사례
4.2. 환자 B의 사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거식증의 이해
1.1. 거식증의 정의
거식증(anorexia nervosa)은 체중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자발적 구토, 단식이나 과도한 운동 등의 부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과식 통제감이 생기고 음식 섭취에 대한 문제가 반복되는 질병이다. 거식증의 정의에 따르면, 거식증 환자들은 기대 체중보다 상당히 낮은 체중을 유지하면서도 체중 증가에 대한 강렬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객관적으로 마르다고 평가되더라도 자신의 체중과 외모에 집착하여 과도하게 살이 쪄 보인다고 지각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로 인해 거식증 환자들은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다양한 부적절한 보상 행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거식증은 치료하지 않을 경우 매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만성적인 질환이며, 주로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에 주로 발생하며 여성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1.2. 거식증의 유형
거식증에는 제한형과 폭식/배출형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제한형(Restricting Type)은 지난 3개월 동안 폭식이나 해소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유형이다"" 이 유형의 경우 체중 감소의 원인이 주로 극단적인 단식, 다이어트, 과도한 운동 등을 통한 것이다""
폭식/배출형(Binge-Eating/Purging Type)은 지난 3개월 동안 폭식 행동과 자발적인 구토, 하제 남용, 이뇨제 남용 등의 해소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이 유형의 경우 체중 감소의 원인이 폭식과 이를 해소하려는 행동에 있다""
두 유형 모두 자신의 체중과 모습에 대해 극도로 불만족스러워하며, 체중 증가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1.3. 거식증의 발생과 원인
거식증의 발생과 원인은 크게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거식증의 약 60%에서 유전적 취약성이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유전적 소인으로 인해 정서와 충동 조절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세로토닌 신경전달물질의 기능 이상이 나타나 식욕, 기분, 충동 조절에 장애를 일으킨다. 또한 식욕조절 중추인 시상하부의 기능부전으로 배고픔과 포만감을 인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인지행동이론에 따르면 체중 조절을 시도한 후 주변 사람들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인해 건강에 위협이 되는 부적응적인 행동이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가족이론에서는 혼란스러운 가족관계, 과보호, 경직성, 갈등해결의 어려움 등이 거식증의 요인으로 지적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요인으로는 날씬한 몸매를 이상적인 아름다움으로 여기는 서구문화의 영향이 거식증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주변 사람들의 외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언어적 비난은 대상자의 신체 불만족감을 심화시킨다.
종합하면, 거식증은 생물학적 취약성, 심리적 특성, 사회문화적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1.4. 거식증의 증상과 합병증
거식증 환자들은 체중변화, 잘못된 식이행동, 손과 손가락의 변화, 치아 문제, 호흡 시 악취, 내과적 문제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먼저 체중변화의 경우, 거식증 환자들은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고 정상범위를 유지하기도 한다. 이들은 부적절한 보상기전인 자발성 구토, 좌약을 이용한 자발성 설사, 이뇨제 사용, 지나친 단식 등을 통해 체중 증가를 예방하려 한다. 이러한 행동 후에는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것이 재발하기도 한다.
손과 손가락에서는 굳은살이 생기거나 피부 변화가 나타나며, 치아의 경우 자발성 구토로 인해 에나멜이 소실된다. 또한 호흡 시 입에서 악취가 나거나 구강청정제 냄새가 날 수 있다.
내과적 문제로는 저체온증, 무월경, 림프절 부종, 저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수분과 전해질 이상, 비만 또는 신경성 식욕부진, 치아 침식, 식도열상 또는 위 파열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거식증 환자들은 단순히 체중 감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적 증상과 합병증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거식증의 진단과 평가
2.1. 진단적 검사
거식증의 진단적 검사는 거식증 환자들의 신체적 상태와 건강 위험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혈액 검사와 심전도 검사가 대표적인 진단적 검사로, 이를 통해 환자의 영양 상태와 심혈관계 기능을 확인할 수...
참고 자료
임상간호학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 (수문사)
서울 아산병원 섭식 장애 식사요법
http://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66
손숙미, 임현숙, 김정희, 이종호, 서정숙, 손정민 (2006). 임상영양학. 교문사.
모수미, 이연숙, 구재옥, 손숙미, 서정숙 외 (2002). 식사요법 (2판), 교문사.
김화영, 조미숙, 장영애 원혜숙, 이현숙 (2001). 임상영양학. 신광출판사.
인제대학교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섭식장애 예방,
http://eatingresearch.kr/prevention/prevention.asp
삼성서울병원, 식사장애,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19634&CONT_SRC=CMS&CONT_ID=989&CONT_CLS_CD=001020002
한국건강관리협회. (1997).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탐식증. , 21(10), 35-37.
김영완, 이주연, 김율리. (2010).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특징적인 신경인지기능 결함 ; 예비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16(2), 141-147.
김상헌. "식사 장애의 내과적 합병증." 생물치료정신의학 10.1 (2004): 104-112.
영양표: https://www.fatsecret.kr/Default.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