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봉준호 영화 살인의추억 미장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살인의 추억"
1.1. 영화 소개
1.2. 주요 등장인물
1.3. 미장센 기법
1.3.1. 미장센이란?
1.3.2. "살인의 추억"에서 사용된 미장센 기법
1.4. 몽타주 기법
1.4.1. 몽타주란?
1.4.2. "살인의 추억"에서 사용된 몽타주 기법
1.5. 쇼트의 종류
1.5.1. 쇼트의 종류
1.5.2. "살인의 추억"에서 사용된 쇼트
1.6. 메인플롯
1.6.1. 플롯이란?
1.6.2. "살인의 추억"에서의 메인플롯 변화 및 서브플롯
1.7. 참고문헌
2. "기생충" 감상문
2.1. 서론
2.2. 본론
2.2.1. 계층 간 격차 표현
2.2.2. 미장센을 통한 대비
2.2.3. 소외계층의 외침
2.3. 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살인의 추억"
1.1. 영화 소개
영화 "살인의 추억"은 2003년 한국에서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범죄스릴러 작품이다. 실제 경기도 화성시에서 일어났던 연쇄강간살인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봉준호 감독은 "괴물", "설국열차" 등 다양한 흥행작을 탄생시킨 유명 감독이다. 이 작품은 당시 정부의 무능함과 형사들의 수사 방법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인 시골 형사 박두만과 도시형사 서태윤의 수사 방식과 가치관의 차이로 인한 갈등이 이 영화의 주요 스토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영화에서는 촬영기법들이 돋보이는데, 영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주고 관객들에게 몰입감과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2. 주요 등장인물
'1.2. 주요 등장인물'은 영화 "살인의 추억"에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들에 대한 설명이다.
먼저 주인공인 박두만 형사와 서태윤 형사를 들 수 있다. 박두만 형사는 시골 출신의 형사로 직감과 신념을 중요시하며, 서태윤 형사는 도시 출신의 형사로 과학적 수사 방법을 고집한다. 두 사람은 수사 방식과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계속해서 갈등을 벌이며, 이들의 관계 변화 또한 영화의 주요 스토리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경찰서장 역할의 등장인물이 있다. 그는 술주정뱅이로 묘사되며, 부패한 경찰 조직의 단면을 보여준다. 그 외에도 연쇄살인범 용구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그는 범죄의 주범으로 영화 내내 수사의 대상이 된다.
이처럼 "살인의 추억"에는 형사 두 명, 경찰서장, 연쇄살인범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들의 성격과 행동을 통해 영화의 메시지와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미장센 기법
1.3.1. 미장센이란?
미장센이란 연극과 영화 등에서 연출가가 무대 위의 모든 시각적 요소들을 배열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미장센은 공간을 통해서 인물의 심리나 사건 등을 보여준다. 화면 속에 등장하는 소품, 세트, 색감, 조명, 의상, 제스쳐 등 모든 것이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미장센 기법을 활용할 땐. 롱테이크 등을 통해 긴 호흡으로 장면을 보여주는 기법이 많이 사용된다.
1.3.2. "살인의 추억"에서 사용된 미장센 기법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는 미장센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지루하지 않고 역동적인 연출을 만들어냈다"이다. 이 영화에서 사용된 대표적인 미장센 기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장면에서 전경, 중경, 후경을 자세히 보여줌으로써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 전경에서는 형사 두만과 태윤의 갈등하는 모습이 드러나고, 중경에서는 술에 취한 경찰서장이 잠들어 있으며, 후경에서는 또 다른 취객인 용구를 볼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요소들을 한 화면에 배치하여 역동적인 장면을 연출하였다.
또한 이 영화에서는 긴 호흡의 롱테이크를 활용하여 미장센 기법을 드러냈다. 위의 장면처럼 여러 요소들이 잘 구성된 화면을 긴 호흡으로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의 몰입감을 높였다. 이는 일반적인 수사극 영화와는 차별화된 연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살인의 추억"에서는 공간의 활용과 롱테이크를 통해 미장센 기법을 효과적으로 드러냈으며, 이를 통해 관객들에게 역동적이고 몰입감 있는 영화 경험을 제공하였다.
1.4. 몽타주 기법
1.4.1. 몽타주란?
몽타주는 프랑스어로 '조립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영화에서 이러한 몽타주는 따로따로 ...
참고 자료
doopedia, 『두산백과 』, 미장센, 202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몽타주, 2021
조성규, 『[영화이야기] 숏의 종류 - 가까이 찍기, 멀리 찍기』, 온돌뉴스, 2015.07.22.
propaganda, 『영화사전』, 쇼트, 2004. 9. 30.
propaganda, 『영화사전』, 클로즈업, 2004.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