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진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진균 감염증
1.1. 진균 감염증의 정의
1.2. 진균 감염증의 발생 조건
1.2.1. 면역력 저하
1.2.2. 진균의 환경 적응력
1.3. 진균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
1.3.1. 개인 위생 관리
1.3.2. 항진균제 사용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진균 감염증
1.1. 진균 감염증의 정의
진균 감염증은 "진균(곰팡이)이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이나 손발톱, 머리카락 등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즉, 진균이 인체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모든 질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진균 감염증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노령자나 면역저하 환자들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는 면역력이 약화된 집단에서 진균 감염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균 감염증은 숙주의 면역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진균 감염증의 발생 조건
1.2.1. 면역력 저하
면역력 저하는 진균 감염증 발생의 주요한 요인이다.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 특히 노인이나 장기 입원 환자, 면역억제제를 투여받는 환자, 당뇨병 환자 등은 진균 감염에 매우 취약하다. 이들은 세포성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진균에 대한 방어력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최근 면역억제제의 사용 증가와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기회감염성 진균증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장기 입원 및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암, 장기이식, 에이즈 환자들에게서 아스페르길루스증, 칸디다증, 크립토콕쿠스증 등의 침습성 진균 감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은 정상인에 비해 진균에 감염될 위험이 10-1...
참고 자료
조성훈, 국내발생 기회감염 진균증의 역학적 특성연구, 건양대학교, 2014.
윤희정 외, 한국의 진균 유병률 - 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한 지난 5 년간 자료분석(Prevalence of fungal infections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from 2009-2013, South Korea)
서울대학교 병원 홈페이지
www.snuh.org/%20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