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심장은 흉골 아래 왼쪽 옆구리 쪽으로 향해서 위치한 기관으로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 등 네 개의 방으로 나뉜다"" 우심방, 우심실이 약간 앞쪽으로 나와 있고 좌심방 좌심실은 약간 뒤로 누워있는 형태를 보인다"" 피를 쥐어짜서 전신으로 보내야 하므로 심방보다 심실이 크다"" 판막은 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 승모판막, 삼천판막 등 4개의 판막으로 이루어져있다""
1.2. 심장의 기능
심장의 기능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하게 하는 것이다. 심장은 1분에 60~100회 정도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 우심방은 상대정맥, 하대정맥으로부터 들어온 정맥혈을 받아들이고, 우심실은 우심방으로부터 받은 혈액을 폐동맥으로 내보낸다. 좌심방은 폐에서 가스교환이 완료된 동맥혈을 받아들이고, 좌심실은 좌심방으로부터 받은 동맥혈을 대동맥으로 내보낸다. 따라서 심장은 폐와 전신을 순환하는 혈액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판막은 피가 역류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1.3. 심장판막
심장판막은 심장의 네 개의 방(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여 혈액의 역류를 막고 심장 내에서의 정상적인 혈액 흐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심장판막에는 삼첨판, 폐동맥판, 승모판, 대동맥판 등 총 4개의 판막이 있다.""
삼첨판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폐동맥판은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한다.""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대동맥판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한다.""
이들 판막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규칙적으로 열리고 닫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좌심실이 수축할 때 대동맥판이 열리면서 좌심실로부터 대동맥으로 혈액이 흘러나가고, 좌심실이 이완할 때 대동맥판이 닫혀 대동맥에서 좌심실로 역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심장판막은 심장의 기능에 필수적이며, 이들 판막의 이상이 발생하면 심각한 심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1.4. 심장벽
심장벽은 심장바깥막, 심장근육층, 심장내막으로 구성되어있다. 심장근육의 두께는 힘에 따라 변화하는데 전신으로 혈액을 펌프질해줘야 하는 좌심실을 둘러싸는 근육층이 가장 두껍고 심방의 벽은 상대적으로 얇다.
심장바깥막(심낭막, pericardium)은 심장을 감싸고 있는 얇은 섬유질 막으로 심장을 보호하고 마찰을 줄여줌으로써 심장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심장근육층(근심막, myocardium)은 심장을 움직이고 혈액을 펌프질하는 역할을 하며, 심방과 심실의 두께가 달라 효율적인 심장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심장내막(심내막, endocardium)은 심장강 내부를 감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혈액이 잘 흘러갈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심장벽의 각 구성 요소는 심장의 원활한 기능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심장바깥막은 심장을 보호하고 마찰을 줄여주며, 심장근육층은 심장운동과 혈액 펌프질을 담당하고, 심장내막은 혈액 흐름을 도와준다. 이러한 심장벽의 구조와 기능은 심장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되는 것이다.
2. 대동맥판막 협착증
2.1.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정의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대동맥판막의 개구부가 좁아져서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는 상태를 일컫는다. 이 질환은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선천성 기형, 류마티스성 심장 질환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대동맥판막이 좁아짐에 따라 좌심실에서 전신으로 혈액을 펌프질하는 데 어려움이 생기며, 중증의 경우 심장이 비대해지고 심부전이 진행될 수 있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심장 판막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