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전신허약감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과정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다리에 힘이 없어서 움직이는 것도 힘들어. 그래서 지팡이 사용하잖아."라고 피로감과 허약감을 호소하였다.""대상자는 "예전에 침대에서 내려오다가 미끄러졌었어. 다치진 않았고..."라고 과거 낙상 경험을 언급하였다."
1.1.2. 객관적 자료
81세 고령의 나이로 근력과 감각기능(시력)이 저하되어있다"는 내용이다. 이는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로 인해 신체기능이 약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높은 연령은 낙상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근력 감소와 감각기능 저하는 균형과 보행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객관적 자료를 통해 대상자의 전신허약감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을 확인할 수 있다.
1.2.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전신허약감과 관련된 낙상위험성(Risk for Falls)"이다. 이는 낙상 용이성의 증가로 인해 신체적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에 따르면, 대상자는 "다리에 힘이 없어서 움직이는 것도 힘들어" 하며 지팡이를 사용하고 있고, 과거에 침대에서 미끄러져 낙상한 적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늙어서 힘이 없어...걷다가 또 넘어질 것 같아"라고 표현하여 전신허약감과 낙상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냈다. 보호자 또한 "잠깐 걸으실 때도 불안해서 뒤에 꼭 붙어 다녀요"라고 하여 대상자의 보행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다.
객관적 자료로는 대상자가 81세의 고령이며 근력과 감각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Morse 낙상위험 사정도구 점수가 70점으로 고위험군에 해당된다는 점, 좌측 하지의 근력저하로 독립보행이 어려워 보조기구를 사용한다는 점, 보행 시 멈춰 서는 모습이 관찰된다는 점, 낙상 과거력이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관적, 객관적 자료를 종합해볼 때, 이 대상자는 전신허약감으로 인해 낙상의 위험이 증가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즉, "전신허약감과 관련된 낙상위험성(Risk for Falls)"이라는 간호진단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1.3. 간호목표
1.3.1. 장기목표
장기목표는 "'퇴원 시 까지 대상자는 더 이상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입니다.
이를 위해 퇴원 후에도 대상자와 돌봄 제공자가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본 장기목표는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퇴원을 위한 것입니다.
낙상 예방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낙상 위험 요인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이에 맞는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대상자와 돌봄 제공자에게 낙상 예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퇴원 후에도 낙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낙상 없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1.3.2. 단기목표
단기목표는 대상자가 퇴원 전까지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교육 후 대상자는 낙상 예방의 필요성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이는 대상자가 낙상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이다. 둘째, 1일 이내에 대상자는 스스로 side-rail을 올릴 것이다. side-rail은 낙상 예방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상자가 스스로 이를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셋째, 3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에 대해 2가지 이상 알고 실천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낙상 예방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5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을 예방하는 안전한 방법을 사용하여 휠체어로 이동할 수 있다. 휠체어 이용 시 안전한 방법을 사용하도록 하여 낙상 위험을 줄이는 것이 목표이다. 마지막으로, 7일 이내에 대상자는 낙상 위험평가도구(MFS) 점수가 50점 이하로 감소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전반적인 낙상 위험도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1.4. 간호계획
1.4.1. 진단적 계획
매 근무 시 낙상 위험도 사정 도구(MFS, morse fall scale)를 사용하여 낙상 위험성 수준을 평가한다"이다. 내적, 외적 요소를 포함하는 낙상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위험수준과 차후 낙상 예정조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1.4.2. 치료적 계획
치료적 계획은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낙상위험군 표시를 통해 의료진이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인지하고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한다. 대상자의 침상 난간에 "낙상주의" 팻말을 부착하고, 전자의무기록과 간호사실에도 낙상위험군 표시를 해둠으로써 의료진이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낙상예방 중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