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부갑상샘 기능장애
1.1. 구조와 기능
부갑상샘은 갑상샘의 뒤에 위치하는 4개의 작은 선이다"" 부갑상샘은 부갑상샘호르몬(PTH)을 분비하며, 이는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상승시킨다"" 부갑상샘 호르몬은 뼈에서 골재흡수를 촉진시켜 칼슘이 혈액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인다"" 또한 신장에서는 칼슘을 재흡수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고, 인의 배설을 촉진하여 혈중 인의 농도는 감소시킨다"" 부갑상샘 호르몬은 신장에서 비타민 D를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비타민 D인 calcitriol을 생성하는데, 이것이 PTH와 함께 칼슘을 위장관으로 흡수시킨다""
1.2. 진단검사
혈청 칼슘 농도는 이온화된 칼슘과 단백질과 결합한 비활동성의 혈청 칼슘을 합한 것을 나타낸다"" 혈청 내 단백질의 증가는 혈청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므로 혈청 칼슘 농도를 평가할 때, 혈청인과 혈청단백질 농도를 고려해야 한다""
혈청 칼슘의 농도는 원발성과 속발성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신장질환, 뼈의 생산이 증가한 상태, 장기간의 phenytoin 치료 시 감소한다""
혈청 인 농도의 증가는 원발성과 속발성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만성신부전, 성장호르몬 과잉분비 상태, 장기간 많은 양의 제산제나 비타민D 혹은 헤파린 복용 등에서 볼 수 있다""
PTH의 증가는 부갑상샘이 아닌 부위의 이소성 PTH 생성종양(기관지, 신장, 난소, 직장의 종양)과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저칼슘혈증(신부전, 비타민 D 결핍증)에 대한 정상보상기전으로 PTH가 증가한다""
1.3. 부갑상샘질환
1.3.1.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1.3.1.1. 원인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의 주요 원인은 부갑상샘 자체의 이상으로 인한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과 다른 질병에 의한 이차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으로 구분된다.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양성 선종(adenoma)이다. 부갑상샘 4개 중 1개 이상의 선종이 과다하게 증식하여 PTH를 과다 분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혈청 내 칼슘 농도가 상승하고 뼈에서 칼슘이 용출되어 나오게 된다. 이러한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전체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환자의 80~90%를 차지한다.
그 외에도 부갑상샘 과형성(hyperplasia)과 부갑상샘 암종(carcinoma)이 원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을 유발할 수 있다. 부갑상샘 과형성은 부갑상샘 4개 모두가 과도하게 증식하는 경우이며, 부갑상샘 암종은 악성 종양이 부갑상샘의 과다한 호르몬 분비를 초래한다.
한편, 이차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만성 신부전, 골형성 부전증, 비타민 D 결핍증, 골전이 암 등과 같은 기저 질환으로 인해 유발된다. 이러한 경우 지속적인 저칼슘혈증으로 인해 부갑상샘이 보상적으로 과다하게 활성화되어 PTH 분비가 증가하게 된다.
1.3.1.2. 병태생리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에서는 부갑상샘 호르몬(PTH)의 분비가 증가하여 뼈와 신장에 작용한다. PTH의 과도한 분비로 인해 뼈에서의 칼슘 유리가 증가하고 혈중 칼슘 농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PTH는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신장에서의 인산 배출을 촉진한다. 또한 PTH는 비타민 D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기전으로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에서는 혈중 칼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 고칼슘혈증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뼈에서 칼슘이 과도하게 유리되어 뼈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장에서의 과도한 칼슘 재흡수와 인의 배출 증가로 신결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폐, 근육, 심장, 눈 등 다른 장기에도 칼슘이 침착되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종합하면,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에서는 PTH의 과다 분비로 인해 뼈, 신장, 장 등에서의 칼슘 대사가 항진되어 고칼슘혈증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다양한 합병증이 유발된다고 볼 수 있다.
1.3.1.3. 임상증상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환자의 대부분은 증상이 없으나, 고칼슘혈증에 대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