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요로결석(Urinary calculi or stone)은 비뇨기과의 대표질환 중 하나로 고령화가 될수록 발생이 증가하고 재발이 잘 되기 때문에 환자의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요로결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요로결석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등 요로결석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환자의 사례를 통해 요로결석 환자의 간호진단과 중재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임상에서 요로결석 환자를 간호할 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중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2. 요로결석(Urinary calculi or stone)
2.1. 정의
요로결석(Urinary calculi or stone)은 소변이 만들어지고 수송, 저장, 배설되는 길에 결석(돌)이 생긴 것이다. 돌이 생기는 곳에 따라 신장결석, 요관결석, 방광결석, 요도결석으로 나눌 수 있다. 소변에 칼슘 및 염분 종류(인산염, 인산 마그네슘 암모늄염, 요산, 수산염, 시스틴 등)가 고체로 쉽게 분리될 만큼 다량 용해되어 있는 경우에 어떤 원인에 의해 균형을 잃으면 염분의 결정체가 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2.2. 원인
요로결석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그 중에서도 수분섭취 감소가 가장 중요한 발병 원인이다""
요로결석은 한 가지 원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로 인하여 형성된다""
수분섭취 감소는 요로결석의 발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소변이 농축되면서 요로결석 생성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온도와 계절의 변화도 요로결석 발병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여름철에 땀을 많이 흘리면서 소변이 농축되면 결석 생성이 용이해진다""
완전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결석환자의 90% 이상에서 다음과 같은 위험요인들이 발견되고 있다""
첫째, 요중 침전물이 많은 경우 수분이 고갈되거나 용질의 양이 증가하면 용질의 농축으로 인해 칼슘, 요산, 인산 등의 결정이 침전되기 쉽다""
둘째, 요의 산도가 비정상적인 경우 산독증이나 탄산탈수효소억제제 투여 시 요소분해 세균의 출현, 만성 설사 등으로 인해 결석이 형성되기 쉽다""
셋째, 정상적인 요중 결정 응집 억제제인 피로인산염, 구연산염,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결핍이나 알루미늄, 철분, 실리콘 등의 항 억제제 증가로 인해 결석 형성이 촉진될 수 있다""
넷째, 아세타졸아마이드, 탄산칼슘, 중탄산나트륨 같은 약물이나 비타민 C 과다 섭취 등이 요중 결정 농도를 높여 결석 생성을 유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로폐색과 부동으로 인해 소변이 정체되면 결정들이 더욱 쉽게 침전될 수 있다""
2.3. 병태생리
2.3.1. 칼슘결석
칼슘결석은 요로결석의 80%를 차지하며, 크기가 모래알 크기의 소결석에서부터 콩팥 전체를 메우는 거대한 사슴뿔 결석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주로 20대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남성에게 더 많다.
칼슘결석은 과칼슘뇨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과칼슘뇨증은 뼈에서 칼슘이 과도하게 유리되어 소변으로 배출되거나 음식물에서 과도한 칼슘이 흡수되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원인으로는 부갑상샘 기능항진, 부동, 악성종양, 쿠싱증후군, 비타민D 중독 등이 있다.
소변 내 칼슘 농도가 높아지면 다른 물질들과 섞여 칼슘결정이 형성되고 이것이 점점 응집되어 결석이 생성된다. 결석이 요관을 통과할 때 통증을 유발하며, 결석 크기가 커질수록 요관폐쇄와 요정체를 일으켜 신부전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칼슘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섭취, 저염식이, 저칼슘식이 등의 보존적 치료와 함께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이나 비타민D 중독 등 기저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2.3.2. 요산결석
요산결석(uric acid stone)은 요산염 배설의 증가, 수분결핍, 낮은 요산도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요산염 배설이 증가하는 경우는 요산생성 또는 요산뇨증 물질 투여로 인한 것이며, 원발성 통풍 환자의 약 25%와 속발성 통풍 환자의 50%에서 요산결석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퓨린식이는 요산결석 형성의 소인이 되며, 종양질환의 치료제 중 세포를 빠르게 파괴하는 약물은 소변의 요산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2.3.3. Struvite 결석
Struvite 결석은 감염 관련 결석으로, 요로감염으로 인해 나타난다"" 요소 분해 균이 요로감염을 일으켜 소변이 알칼리화 되면서 암모니아, 마그네슘, 요산 등이 과포화 되어 결석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Struvite 결석은 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여성의 경우 요로감염이 더 흔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체도뇨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Struvite 결석이 발생할 수 있다""
2.3.4. Cystine결석
Cystine결석은 상염색체장애로 열성 유전되는 선천성 대사장애로 인해 신요세관에서 시스틴의 재흡수가 감소하여 시스틴뇨증이 발생하는 것이 원인이다"" 시스틴뇨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