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은 예방접종의 보편화로 인해 감염 빈도수가 급격하게 줄어들었지만 학교생활 등 집단생활을 하게 되는 아동 중 한명이 걸리게 되면 집단감염의 우려가 있고 예방접종을 하더라도 걸리는 경우가 있어 새학기가 시작되는 시기가 되면 유행성 전염병에 관한 뉴스도 자주 접하게 되어서 궁금증이 생겼었다"". 질병의 치료는 자연치유가 되는 질병이라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로 증상을 잡으면 되지만 제대로 치료가 되지 않았을 시에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이 결코 무시 못 할 수준인 것 같다"". 가장 중요한건 성인의 경우에도 옮는 경우가 생기는데 아주 드문 경우지만 볼거리의 합병증의 하나인 뇌수막염으로 진행될 경우 볼거리 질병에 대한 문제보다 뇌수막염으로 인한 2차 합병증이 환아에게 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1.2. 문헌고찰
볼거리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이하선(귀밑샘)에 발생한 염증이다. 원인균은 파라믹소 바이러스(paramyxo virus)이며, 감염원은 감염자의 타액이다. 전파는 감염자의 직접 접촉이나 비말 감염으로 이루어진다. 잠복기는 14~21일이며, 전염기간은 종창이 시작된 전후가 가장 전염력이 강한 시기이다.
증상은 전구기에 발열, 두통, 권태감 및 식욕부전이 나타나며 이후 이하선염으로 진행된다. 이하선이 셋째 날부터 커지면서 통증과 압통을 동반한다. 다른 외분비선(하악골 등)의 종창이 나타날 수도 있다.
진단은 특징적인 임상 소견과 바이러스 검출, 볼거리 특이 항체 검출, 혈청 아밀라아제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바이러스 검출 시 검체는 타액, 소변, 혈액, 뇌척수액을 사용하며, 볼거리 특이 항체 검사 시에는 혈액을 검체로 사용한다. 혈청 아밀라아제는 이하선(귀밑샘) 비대와 비례하여 증가하며 2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온다.
볼거리 항체는 볼거리 바이러스의 감염이나 예방 접종에 대한 면역 체계의 반응으로 인해 생산되는 바이러스 특이 단백이다. IgM과 IgG의 2가지 항체가 생성되는데, IgM 항체는 수 일간 최대 농도까지 증가하고 다음 수 주에 걸쳐 점점 감소하며, IgG 항체는 나타나는 데 약간 시간이 더 걸리지만 한번 나타나면 평생 혈류 속에 잔류하며 재감염에 대해 방어한다.
그 외에도 필요한 검사로는 Mumps virus culture, Mumps virus RT-PCR, Anti-Mumps IgM 검사가 있다.
치료는 주로 증상 및 지지요법이다. 예방을 위해 아동기에 MMR(홍역-볼거리-풍진) 예방접종을 하며, 통증 완화를 위한 진통제와 열을 내리기 위한 해열제 투여 등의 대증요법을 시행한다. 전염기간 동안에는 격리, 입원 기간 동안에는 비말감염과 접촉예방을 주의해야 한다.
볼거리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감각신경성 청각장애, 감염후 뇌염, 심근염, 관절염, 간염, 부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불임, 뇌수막염 등이 있다. 특히 뇌수막염으로의 진행은 치명적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 본 론
2.1. 간호사정
2.1.1. 일반 정보
대상자의 이름은 손00이며, 성별은 여자, 나이는 5세이다. 출생일은 2019년 6월 23일이다. 입원일은 2023년 3월 5일 10시 35분이며, 진단명은 Mumps NOS이다. 출생 시 정보를 살펴보면, 분만형태는 제왕절개였고, 출생 체중은 3.3kg이었다. 부모의 교육 수준은 모두 대학교 졸업이며, 직업은 부-회사원, 모-회사원이다. 혈액형은 부-AB+, 모-B+이며, 종교는 기독교이다.
입원과 관련된 정보를 보면, 입원 경로는 외래이며, 입원 방법은 도보로 왔다. 입원 시 활력징후는 혈압 110/70mmhg, 맥박 72회/분, 호흡 24회/분, 체온 37.2℃, 체중 22kg, 신장 117cm이다. 발병일은 2023년 2월 28일이며, 주 증상은 우측 볼 발적과 발열이다. 입원 동기는 3일 전부터 증상이 있어 local Tx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OPD를 통해 입원하게 되었다.""
2.1.2. 건강과 관련된 정보
건강과 관련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병력에서 손00 환아는 만 5세의 여자 어린이로, 22년 1월에 황달로 인해 3일간 모유수유를 중단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 외에 특이 병력이나 수술력은 없었다. 예방접종의 경우 스케줄에 맞춰 진행 중이며, 마지막 접종이 로타, A형 간염-2차, B형 간염-3차, BCG, DPT-3차, MMR-2차, 소아마비-3차, 수두, 폐렴구균-3차 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아는 발병 당시 5월 8일부터 콧물 증상이 나타났으며, 5월 10일에는 38.0℃의 발열 증상이 있었다. 이후 해열제 투여 후에도 5월 14일 밤 10시와 5월 15일 새벽 3시에 다시 38℃ 이상의 발열이 지속되었고, 5월 15일 오후 1시 30분에는 38.2℃까지 올랐으며 입술이 파래지고 오한 증상도 함께 나타났다고 한다. 이에 당일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