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의 사회적 책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1. 간호전문직 표준
1.1.1. 간호 표준의 개념 및 중요성
1.1.2. 간호 표준의 구성: 간호실무 표준과 전문직 수행표준
1.2.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1.2.1. 간호 전문직의 법적 기준
1.2.2. 간호사의 법적 의무
1.3. 간호실무의 윤리적 기준
1.3.1. 간호사 윤리강령의 내용
1.3.2. 간호사의 윤리적 책무
1.4. 핵심기본간호술 적용 간호 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4.1. 경구투약 시 적용되는 5 Right
1.4.2. 배출 관장 적용과 관련된 환자의 사생활 보호
1.4.3. 입원 환자 관리와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법
1.5. 자기 성찰
1.5.1. 잘한 내용
1.5.2. 보완할 내용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
1.1. 간호전문직 표준
1.1.1. 간호 표준의 개념 및 중요성
간호 표준(standards of nursing practice)은 간호사 자신과 대상자, 그리고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기관을 보호하면서 간호사가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준이다. 간호 표준의 개념은 간호실무에서 바람직하고 성취 가능한 업무수행 기준을 의미하며, 의료의 질과 적정성을 포함하여 설정된 세부기준을 근거로 한 달성가능한 성과의 기대수준을 말한다. 이러한 간호 표준은 간호실무 표준과 간호전문직 수행표준으로 구성된다.
간호 표준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 자신과 대상자, 그리고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기관을 보호한다. 둘째, 간호사가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셋째, 임상간호실무의 수월성을 증진시키고 지원한다. 넷째, 간호사들이 발휘하는 탁월한 간호실무능력의 기준이 된다. 다섯째, 간호사 개인의 업무를 측정하고 업무의 결함을 교정할 수 있는 준거가 된다. 따라서 임상에서 간호실무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간호에 대한 표준과 간호사들의 업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1.1.2. 간호 표준의 구성: 간호실무 표준과 전문직 수행표준
간호 표준의 구성은 간호실무 표준과 전문직 수행표준으로 이루어져 있다. 간호실무 표준은 직접 간호 제공 시에 적용되는 자료수집, 진단, 계획, 수행, 평가 등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간호진단을 내리며, 대상자의 건강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간호중재를 계획 및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전문직 수행표준은 간호사의 책임과 역할에 관한 윤리, 업무수행평가, 교육, 연구, 협동, 자원활용, 간호의 질 관리 등 8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간호사가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세를 규정한 것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전문직 수행표준에 따라 간호 실무를 수행하고, 자신의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며, 타 전문직종과 협력하고 간호 실무의 질을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 표준의 구성은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실무적 측면과 전문직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1.2.1. 간호 전문직의 법적 기준
간호 전문직의 법적 기준은 의료법에 명시되어 있다. 2017년 2월부터 간호사는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간호...
참고 자료
정면숙 외 (2016). 「간호관리학」. 현문사 p.641-653
고명숙 외 (2015) 「간호학개론」 수문사 p.67-87, p.419-430
장금성 외 (2013)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p.20-27, p.44-52, p.75-83, p.180-182, p.242-243
김동희외 10명(2021), 보건의약관계법규, 수문사, 서울특별시
정면숙(2015), 간호학개론(제2판), 현문사
장금성(2015), 간호윤리학과 전문직(제3판), 현문사
고명숙, 고유경 외 7명(2019). 간호학개론. 수문사
장금성, 이명하 외 2명(2015).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개인정보보호위원회(2021).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의료기관편, 2020.12.). https://www.pipc.go.kr/np/cop/bbs/selectBoardArticle.do#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