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안전관리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국토안전관리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재난관리 기구의 종류와 역할
1.1. 국내 상설 재난관리 기구
1.1.1.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
1.1.2. 해양안전심판원
1.2. 국제 상설 재난관리 기구
1.2.1.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
1.2.2. 캐나다 교통안전위원회
1.2.3. 핀란드 안전조사청

2. 건설기술 진흥법의 안전관리
2.1. 안전관리 개요
2.1.1. 목적
2.1.2. 위반 시 처벌 기준
2.1.3. 점검
2.1.4. 품질관리
2.1.5. 안전관리계획
2.2. 안전관리의 실행
2.2.1. 안전점검
2.2.2. 소규모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2.2.3. 안전관리비용
2.3. 안전관리 조직
2.4. 안전교육과 사고조사

3. 산업 재해의 구조적 원인과 대책
3.1. 직접적인 원인
3.2. 구조적인 원인
3.3. 구조적인 예방 대책
3.3.1. 발주자와 시공사에 관한 대책
3.3.2. 감리자에 관한 대책
3.3.3. 제재 강화에 관한 대책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재난관리 기구의 종류와 역할
1.1. 국내 상설 재난관리 기구
1.1.1.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는 2006년 7월 설립된 상설 재난관리 기구이다. 이 기구는 2002년에 설립된 항공 사고조사위원회와 2005년에 설립된 철도 사고조사위원회를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는 항공 및 철도 관련 사고의 원인을 면밀히 규명하여 향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고 신속한 전후처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궁극적으로 이 기구는 인명과 재산을 보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는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상임위원이 2명, 비상임위원이 10명이다. 상임위원 2명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비상임위원 10명은 국토교통부 장관이 위촉한다. 현재 상임위원 자리는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과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이 겸임하고 있다. 비상임위원은 항공분과위원과 철도분과위원으로 구분되며, 관련 분야의 교수, 연구원, 변호사 등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사무국은 사무국장을 포함하여 총 26명의 인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5개의 팀(기준팀, 운영지원팀, 사고조사분석팀, 항공조사팀, 철도조사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준팀은 전체 업무계획과 교육계획 수립, 국회·법령·ICAO CMA 대응, 성과관리 등의 역할을 한다. 운영지원팀은 예산, 인사, 민원, 보안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사고조사분석팀은 사고 자료 분석, 사고분석 기법 연구, 사고 통계 관리 등의 역할을 한다. 항공조사팀과 철도조사팀은 각각 항공과 철도 분야 사고 조사를 담당한다.

이처럼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는 항공 및 철도 분야의 사고 조사와 예방을 위한 상설 기구로, 국내 재난관리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1.2. 해양안전심판원

해양안전심판원은 해양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해양 사고에 대한 심판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해양안전심판원은 "사고 없는 깨끗한 바다"를 비전으로 하며 세계 제일의 해양 사고 조사 및 심판기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해양 사고에 대한 조사와 심판의 고유화를 지향하면서 대내외 협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하고 있다.

해양안전심판원은 중앙해양안전심판원 1기관과 지방해양안전심판원 4기관, 총 5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해 있으며, 지방해양안전심판원은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목포시, 동해시 등 우리나라의 주요 항구가 위치한 4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각 심판원에는 1인의 원장과 1인의 심판관이 존재하며, 중앙심판원장과 지방심판원장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중앙심판관은 대통령이, 지방심판관은 해양수산부 장관이 임명한다.

해양안전심판원은 조사관실과 심판관실로 구분된다. 조사관실에서는 해양 사고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며, 심판관실에서는 조사관실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건에 대한 심판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지방해양안전심판원에서 먼저 조사와 심판을 진행하고, 추가적인 조사·심판이 필요한 경우 중앙해양안전심판원으로 넘어와 2심 조사·심판을 진행하게 된다.


1.2. 국제 상설 재난관리 기구
1.2.1.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는 항공기, 운송 등의 분야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조사하는 연방 기관이다. 이 위원회의 주요 임무는 네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교통 관련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발생한 사고와 유사한 사고가 다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권고를 하는 것이다. 셋째, 사고 조사를 위한 관련 기술 개발 및 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고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을 위한 지원 및 사후 처리를 담당하는 것이다.

연방교통안전위원회는 위원장과 부위원장, 그리고 3인의 상임위원으로 총 5명의 이사회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성원은 대통령이 지명하고 상원의 인사청문회를 거쳐 임명된다. 위원회의 임기는 5년으로, 이는 미국 대통령 임기 4년보다 길어 정부로부터의 독립성을 보장받고 있다.

위원회 산하에는 총 13개의 사무국이 있다. 주요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로는 재정 수석 사무국, 법률 사무국, 고용 기회 균등·다양성 및 포용성 사무국, 안전 권고 및 교류 사무국, 상무이사 사무국 등이 있다. 상무이사 사무국 산하에는 사고 조사를 담당하는 조사 담당 부상무와 인적 자원 관리를 담당하는 경영 및 운영 담당 수석 부상무가 있다. 조사 담당 부상무 아래에는 항공, 고속도로, 해양, 철도 파이프라인 조사 사무국이 포함되어 있어, 연방교통안전위원회가 교통 관련 사고 전반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미국 연방교통안전위원회는 교통 관련 사고 조사에 있어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기관이라고 볼 수 있다. 사고 원인 분석, 유사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권고, 기술 연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희생자 지원 등 사회적 책임도 함께 이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교통 안전 확보와 국민의 생명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국내・외 재난조사기구 현황과 시사점: 재난조사기구의 독립성・전문성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배재현, 국회입법조사처, 2023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위원회소개,
https://araib.molit.go.kr/USR/WPGE0201/m_34548/DTL.jsp
중앙해양안전심판원, 기관소개,
https://www.kmst.go.kr/web/page.do?menuIdx=74
NTSB: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NTSB Organization,
https://www.ntsb.gov/about/organization/Pages/default.aspx
Transportation Safety Board of Canada, Organizational structure,
https://www.tsb.gc.ca/eng/qui-about/org.html
건설기술 진흥법 안전관리 강의교안
국토교통부. (2022). 아파트 붕괴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부실시공 근절 방안. 국토교통부.
https://www.korea.kr/news/policyBriefingView.do?newsId=156500977
신주열. (2015). [특집기획] 최근 건설사고 사례 분석 및 예방대책. 특집 : 최근 건설공사 안전사고 현황 및 대책방안, 10–16.
https://www.auric.or.kr/User/Rdoc/DocRdoc.aspx?returnVal=RD_R&dn=329570
이동훈. (2022년 3월 14일). 광주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고, 원인은 무단구조변경-콘크리트 품질. 뉴스핌. https://www.newspim.com/news/view/*************5
최종훈 & 김용희. (2022년 3월 14일). 광주 화정아이파크 외벽 붕괴 원인은 무단 구조변경.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1034707.html
홍행기. (2022년 3월 28일).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 수사경찰, 현대산업개발 본사 겨눈다.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