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알코올 금단 증후군
1.1. 문헌고찰
1.1.1. 알코올 관련 장애
알코올은 중추신경억제제로 혈류 내로 빠르게 흡수되며 혈중농도에 비례하여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알코올의 효과는 음주량, 체격, 위의 공복 여부, 스트레스 상황, 피로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알코올은 식사 때 음식 맛을 돋우거나 사교적인 여흥과 이완을 돕지만, 손쉽게 구할 수 있어 습관적 사용의 가능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술은 물, 알코올, 그리고 맛과 향을 내는 소량의 아미노산과 미네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음료용 알코올은 50%의 순수 에틸알코올을 함유한다. 알코올은 위벽 혈관을 통해 약 20%가 즉각적으로 흡수되며, 약 80%는 소장을 통해 서서히 흡수된다. 흡수된 알코올은 간에 있는 효소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고, 이어서 간뿐만 아니라 전신에 존재하는 ALDH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산화된다.
알코올의 섭취는 다양한 신체적 문제를 초래한다. 알코올은 수면 구조에 악영향을 끼치고,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기억, 인지, 판단 등의 사고기능과 반응시간, 운동조화, 언어 등에 장애를 야기한다. 또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질환, 췌장염, 위장장애, 저혈압, 심박출량 증가, 빈맥, 산소소모량 증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장기간의 반복적 알코올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신체적 문제로는 알코올성 심근염, 베르니케 증후군, 코르사코프 증후군, 말초신경염, 췌장염, 식도염, 알코올성 간염, 간경화, 복수,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성기능 부전 등이 있다.
또한 알코올 중독(Alcohol Intoxication)과 알코올 금단(Alcohol Withdrawal)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는데, 알코올 중독은 신경학적, 심리적 증상과 부적응적인 행동이 특징이며, 알코올 금단은 만성 알코올 의존자가 알코올 섭취를 갑자기 중단하거나 감량한 후 나타나는 증상이다.
1.1.2. 알코올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은 중추신경억제제로 혈류 내로 빠르게 흡수되며 혈중농도에 비례하여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알코올의 효과는 음주량, 체격, 위의 공복 여부, 스트레스 상황, 피로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알코올은 영양적인 가치는 없이 열량을 발생하는 이른바 empty calory로서, 식사 때 음식 맛을 돋우거나 사교적인 여흥과 이완을 돕는다. 그러므로 절제해서 사용하면 문제가 없지만 다른 물질에 비해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습관적 사용의 가능성이 높다.
알코올은 위벽 혈관을 통해 약 20%가 즉각적으로 흡수되어 비선택적이고 가역적으로 중추신경을 억제하며, 약 80%는 소장을 통해 서서히 흡수된다. 이때 함께 먹는 음식은 알코올의 흡수를 더디게 하는데 그중에서도 지방과 단백질이 더욱 그렇다. 흡수된 알코올은 간에 있는 효소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고, 이어서 간뿐만 아니라 전신에 존재하는 ALDH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산화된다. 또한 알코올이 아세트산으로 산화되는 과정에서 DPN이 DPNH로 환원되면서 수소이온이 제거됨에 따라 체내 젖산 증가로 인한 불안발작이 유발되기 쉽다. 또한 요산의 증가로 통풍과 지질단백질과 트리글리세리드 대사 장애를 야기하고, 지방간과 간염, 간경화 등의 합병증이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음주는 췌장염, 저혈압, 위장장애(소화흡수장애, 식도염, 위염, 위궤양), 비타민 결핍 등 영양장애를 일으키며, 혈압상승, 심박출량 증가, 빈맥, 산소소모량 증가 등을 야기하고, 암 발생 빈도를 높인다.
알코올은 소량을 섭취했을 때 중추신경계에서 흥분작용을 하지만, 대체로 비특이성 억제제로서 복합적 기능을 가진 망상계나 대뇌피질을 특이적으로 억제하여 기억, 인지, 판단, 주의, 정보처리 등 사고기능과 반응시간, 운동조화, 언어 등에 장애를 야기한다. 동시에 중추신경계의 통제기능을 억제함으로 흥분, 고양, 공격성, 충동성 등 정동의 장애가 드러나고 사회적으로 통제되어 왔던 행동들도 통제를 벗어나게 된다. 사망 원인은 호흡과 심장기능에 대한 대뇌기관의 억제 때문이다.
또한 알코올은 필름이 끊겼다고 말하는 일시적 기억상실이 있다. 이는 취한 상태에서 일어났던 일에 대해 단기간의 진행성 기억장애가 오는 것이다. 알코올은 수면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술을 마시면 쉽게 잠들 수 있으나 REM 수면과 4기 수면이 감소해 수면구조에는 악영향을 끼친다. 이 외에도 장기간의 반복적 알코올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신체적 문제로는 알코올성 심근염, 베르니케 증후군, 코르사코프 증후군, 말초신경염, 췌장염, 식도염, 알코올성 간염, 간경화, 복수,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성기능 부전 등이 있다.
1.1.3. 알코올로 유발된 장애
알코올 중독(Alcohol Intoxication)은 신경학적, 심리적 증상과 부적응적인 행동이 나타나는데 초기에는 흥분상태를 보이며, 혈중농도가 100~200mg/dL 이상이면 급성 알코올 중독 상태이다. 과음을 지속할 경우 마취나 혼수상태가 되며, 400~700mg/dL에 이르면 사망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언쟁과 시비, 성적 충동과 공격성 증가, 판단 결여, 직업적 기능장애, 의무의 불이행 등 부적응적 행위를 보이고 기분의 변화와 흥분, 안절부절, 자제력 상실 등의 행동장애를 보인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발음이 불분명하고 보행 장애, 안구진탕증, 얼굴의 홍조 등이 나타나며 저체온과 호흡 감소를 동반하는 혼수, 서맥, 동공 축소 및 이완, 청색증, 반사작용의 감소, 소변정체나 실금 등이 나타난다.
알코올 금단(Alcohol Withdrawal)은 만성 알코올 의존자가 알코올 섭취를 갑자기 중단하거나 감량한 후 나타나는 증상으로 중단 후 4~12시간 이내에 시작되고, 단주 후 2일에 가장 극심하며 5일이 경과하면 소멸된다. 하지만 1~2주 계속될 수도 있다. 손, 혀, 눈꺼풀이 심하게 떨리고, 오심, 구토, 발한, 혈압상승, 불면, 불안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환각, 간질발작 같은 전신경련, 알코올 금단섬망/진전섬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이처럼 알코올 중독과 알코올 금단은 신체적, 심리적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알코올 의존 환자의 치료와 재활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의료 개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 MSE 사정
일반적인 기술(General Description)은 56세 남성으로 183cm 84kg의 보통의 체형을 가지고 있으며, 표정을 찡그리고 있고 위생이 좋은 상태이다. 침대에 걸터 앉아있으며 얼굴에 홍조를 띠고 있다.
언어양상(Speech Patterns)은 목소리가 크고 또박또박 말하며 격양되어 있다.
일반적 태도(General Attitude)는 면담 시 협조적이며, 간호사의 눈을 마주치며 적극적으로 대답한다.
행동양상(Motor Behavior)은 배를 움켜잡고 있으며 특별한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
정서상태(Emotional State)에서 기분(Mood)은 "집에 있으면 기분이 좋아질 것입니다."라고 하였으며, 정동(Affect)은 표정을 찡그리고 있어 기분이 좋지 않아 보인다.
사고흐름(과정)과 내용에서 사고과정(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