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산,그에게로 가는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1.2. 정약용의 교육사상
1.2.1. 실용인 추구
1.2.2. 평등한 인간애
1.2.3. 자주 주체인
1.3. 정약용 사상의 현대적 의의
1.3.1. 전인지향 교육
1.3.2. 실용과학 교육 강조
1.3.3. 평등한 인간애와 평생교육
1.3.4. 수준별 교육과 교재개발 필요성 제안
1.3.5. 국학 중요성 강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정약용의 생애
정약용은 1762년(영조 38년) 6월 16일 서울 근교의 마재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아버지 정재원은 진주목사로 봉직하였고, 정약용은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를 따라 관리로서의 자질과 역할을 자연스럽게 학습하였다. 4세 때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6세에는 이미 경전을 읽을 수 있었다. 1767년 정재원이 연천에 현감으로 가면서 정약용도 함께 갔는데, 이때부터 그는 관리들의 업무에 대해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배웠다.
1776년, 정약용은 15세의 나이에 부친을 따라 서울로 상경하였고, 같은 해에 풍산 홍씨와 결혼하였다. 이듬해인 1777년, 그는 성호학파의 핵심 인물인 이가환을 만나면서 학문의 방향을 정립하게 된다. 정약용은 22세에 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고, 7년 후인 27세에 장원급제를 하여 희릉직장(7품)에 제수되었으며, 초계문신이 되었다. 이후 그는 28세에 성균관시에서 수석을 하였고, 같은 해 3월에는 대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서게 된다.
하지만 정약용은 천주교를 배격하는 공서파로부터의 지탄을 받아 29세 때 처음으로 충청도 해미로 유배를 떠나게 되었고, 곧 열흘 만에 풀려났다. 이후 31세 때 홍문관 수찬이 되었지만, 그해 5월 부친이 별세하자 벼슬을 내려놓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고향에 있던 중 왕의 명을 받아 수원성제(水原城制)를 올리며 국가 재정 절약과 공정 단축에 기여하기도 하였다.
이후 33세에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경기도 연천지방을 암행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농민들의 궁핍한 삶과 지방관들의 부정부패를 목격하면서 백성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개혁의 필요성을 깊이 느끼게 된다. 그러나 그는 다시 천주교 선교활동과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좌천과 복직을 반복하게 된다.
정조 22년인 1798년에 그는 형조참의로 임명되었지만, 계속되는 모함으로 인해 1799년 7월에 사직하고 39세의 나이로 고향으로 돌아갔다. 1800년 정조가 세상을 떠나고, 1801년 신유년에는 천주교 배척 요구가 커지면서 정약용은 이가환, 권철신, 정약전(친형) 등과 함께 투옥되어 국문을 받게 된다. 결국 정약용은 경상도 장기로 유배되었고, 이후 황사영의 백서사건으로 인해 다시금 서울로 올라와 의금부에 투옥되었다가 이번에는 형이 나주 흑산도로, 정약용 자신은 강진으로 유배를 가게 된다. 그는 18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유배 생활을 하며 후반부를 보냈지만, 이 기간 동안에도 약 500여 권의 저술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57세가 되던 해에 마침내 강진에서의 유배 생활을 청산하고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
참고 자료
김은미, 김영우 지음, ‘다산, 그에게로 가는 길, 동녘, 2014
한겨례신문, ‘어게인 1974’…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리 40년전과 판박이, 2015.10.7.
경향신문, ‘이토 을사조약 성공’ ‘의병 소탕’… 기막힌 국정교과서, 2014.12.9
박영순(2003)「조선시대 자녀교육에 대한 고찰」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송혜영(2007)「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장동순(2004)「다산 정약용과 존 듀이의 교육사상 비교 및 현대적 의의 탐색」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백승윤(2005) 「다산의 교육사상 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남호근(2005)「다산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성낙범(2007)「목민심서에 나타난 다산의 교육사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