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1.1. 중추신경계의 이해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된다""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다"". 중추신경계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신경 활동을 조절한다""중추신경계는 acetylchol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dopamine, serotonin(5-HT), histamine 등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추신경계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한다"". 특히 중추신경계는 시냅스가 많이 존재하여 신경전달물질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자가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다""중추신경계는 시냅스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신경전달물질들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자가조절 기능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1.2. 진정 수면약
진정 수면약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신경을 진정시키고 수면을 유도하는 약물이다. 진정 수면약은 크게 barbiturate계 약물과 benzodiazepine계 약물, 그리고 기타 약물로 분류된다.
Barbiturate계 약물은 작용 시간에 따라 초단시간형, 단시간형, 중간형, 장시간형으로 구분된다. Barbiturate계 약물은 뇌간 망상체에 작용하여 대뇌 피질로의 신경 자극을 감소시키고, GABA 수용체에 결합하여 Cl- 통로의 개방 시간을 연장시켜 GABA의 작용을 증가시킴으로써 진정 수면 작용을 나타낸다. 과량 투여 시 호흡 억제로 인한 사망의 위험이 있다.
Benzodiazepine계 약물은 GABA 수용체와 인접한 benzodiazepine 결합 부위에 강하게 결합하여 Cl-의 세포 내로의 유입을 증가시킴으로써 GABA의 신경전달 억제작용을 강화하여 진정 수면 작용을 나타낸다. Benzodiazepine계 약물은 근이완약으로도 사용된다.
기타 진정 수면약에는 zolpidem, hydroxyzine, diphenhydramine, doxylamine, chloral hydrate 등이 있다. 이들 약물은 각자의 고유한 기전으로 진정 수면 작용을 나타낸다.
종합해보면, 진정 수면약은 다양한 계열의 약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약물들은 고유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양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진정 수면약을 선택하여 투여해야 한다.
1.3. 중추신경 흥분약물
중추신경 흥분약물은 중추신경계에서 뇌 내 다른 부위로의 흥분성 전달을 일으키거나 억제성 전달을 감소시키는 약물들이다. 중추신경 흥분약물에는 각성 흥분약과 정신운동성 흥분약이 있다.
각성 흥분약에는 pentylenetetrazole, strychnine, caffeine 등이 있다. 이들은 중추신경 억제약 과다복용 시 호흡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보조 치료에도 사용된다. 각성 흥분약은 중추신경 자극을 통해 의식과 각성 수준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정신운동성 흥분약에는 dextramphetamine 등이 있다. 이러한 약물은 어린이들의 주의력 결핍 과다활동 장애에 의한 안절부절하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정신운동성 흥분약은 주로 중추신경 자극을 통해 행동 활성화, 식욕 억제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정신운동성 흥분약 외에도 기타 식욕억제약으로 norepinephrine계 약물(phentermine, phendimetrazine, mazindol 등), serotonin계 약물(lorcaserine, fluoxetine 등), glutamate계 약물(topiramate 등)이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종합적으로 중추신경 흥분약물은 의식 수준 상승, 주의력 개선, 행동 활성화, 식욕 억제 등의 다양한 효과를 통해 중추신경계에 작용한다. 이러한 약물들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 행동장애 개선, 비만 치료 등에 활용되고 있다.
1.4. 정신병 치료약
정신병 치료약은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신경이완약(neuroleptics)이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증상은 환각, 망상, 사고장애, 공격성 등의 양성증상과 감정결여, 무관심, 무쾌락 등의 음성증상으로 나눠진다.
이러한 정신병 증상은 도파민 수용체, NMDA 수용체, 세로토닌 수용체의 비정상적인 현상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정신병 치료약은 이러한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을 억제하는 것을 주 기전으로 한다.
정신병 치료약은 크게 전형적 정신병 치료제(1세대)와 비전형적 정신병 치료제(2세대)로 구분된다. 전형적 정신병 치료제는 도파민 D2 수용체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도파민이 신경을 자극하는 것을 차단한다. 대표적으로 클로르프로마진, 할로페리돌 등이 있다. 이 약물들은 추체외로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반면, 비전형적 정신병 치료제는 도파민 D2 수용체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5-HT2A 수용체도 함께 차단하여 1세대 약물보다 효과 범위가 넓고, 추체외로 부작용도 적게 발생한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리스페리돈, 클로자핀 등이 있다. 클로자핀은 도파민 D2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낮아 기존 약물에 효과가 없었던 환자에게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정신병 치료제의 부작용으로는 항콜린성 효과에 의한 구갈, 변비, 소변정체 등과 추체외로 증상인 흥분, 근긴장, 떨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체중증가, 당뇨, 성기능 장애, 무과립구증 등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증상과 특성에 맞추어 적절한 정신병 치료제를 선택하고,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신사회적 치료법의 병행이 중요하다.
1.5. 우울증 치료약
우울증 치료약은 노르에피네프린(NE)과 세로토닌(serotonin) 작용을 증가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크게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s), 비정형 항우울제 등으로 분류된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는 세로토닌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재흡수를 억제한다. 이에 따라 시상하부, 변연계, 척수 등에 분포되어 있는 세로토닌의 농도가 증가되어 우울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SSRIs로는 citalopram, escitalopram, fluoxetine, fluvoxamine, paroxetine, sertraline 등이 있다. SSRIs는 우울증 외에도 불안장애 등 다양한 정신과적 질환에 효과적이며, 심박동수 및 혈압 증가와 같은 교감신경 효과와 구강 건조, 변비 등의 항콜린성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오심, 두통, 체중 증가, 불면증 등의 부작용과 더불어 성기능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s)는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우울증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SNRIs로는 duloxetine과 venlafaxine이 있으며, 신경성 통증 완화 효과도 있다. 하지만 성기능 장애, 고용량 투여 시 심박동수와 혈압 증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비정형 항우울제는 다양한 부위에 작용하여 각각의 약물이 상이한 효과를 나타낸다. bupropion은 세로토닌 재흡수를 막고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금연 보조제로도 사용된다. mirtazapine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를 차단하고 분비를 촉진하며 강력한 히스타민 작용으로 인해 진정 효과가 높고 식용 증가에 따른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nefazodone과 trazodone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효과가 약하지만 항히스타민 작용으로 인해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삼환계 항우울제는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신경말단으로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시냅스 부위의 신경전달물질 농도를 증가시켜 정신 활동을 증가시킨다. imipramine, amitriptyline, clomipramine, doxepin 등이 대표적이며, 혈관의 알파수용체 차단으로 인해 체위성 저혈압, 어지러움, 빈맥이 발생할 수 있고 항콜린 효과로 인해 녹내장 환자, 뇨저류 환자 등에게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MAO 억제약과 병용 시 고혈압, 경련, 고열 등의 위험이 있다.""
1.6. 뇌전증 치료약
뇌전증(간질)은 두뇌 특정 부위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방전에 의해 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