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특기·적성 교육의 정의
1.2. 특기·적성 교육이 등장하게 된 배경
1.3. 특기·적성 교육의 목적
2.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현황
2.1. 교육부 자료에서 나타난 운영 현황
2.2. 현실에서의 운영 현황
3. 특기적성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1. 학부모, 학생, 교육 담당자의 인식 전환
3.2. 우수 강사 확보
3.3. 학교의 독특한 프로그램 개발·운영
3.4. 교사의 지도 능력 신장
3.5. 지역사회 시설 활용
3.6. 발표 기회 제공
3.7. 진로와 연계
3.8. 교과 관련 프로그램 운영
3.9. 유사 교육 활동과의 연계 방안 모색
4. 특기적성 교육의 기대효과 및 전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특기·적성 교육의 정의
특기·적성 교육이란 학생의 소질 및 적성을 계발하고 취미와 특기를 신장할 수 있도록 수요자 부담의 원칙으로 정규 교과 외에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다. 예체능 분야에서의 소질 계발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학습활동들이 그 범위 안에 포함된다. 고1 학생들에게는 우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특기·적성 수업을 경험함으로 자신의 적성을 찾을 수 있도록 하며, 고2, 3 학생들은 고1 특기·적성 수업을 통해 찾아진 적성을 보다 깊고 전문적으로 학습하여 특기로 계발시키도록 한다. 즉, 특기·적성 교육이란 학생들이 자신의 특기와 적성에 맞는 진로 및 진학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특기·적성 수업을 통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1.2. 특기·적성 교육이 등장하게 된 배경
특기·적성 교육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추진 배경 및 경위로 1995년 5월 31일에 제안된 제2차 대통령 보고서의 제1차 교육개혁 과제 중 하나로 "방과 후 교육 활동 활성화"라는 항목으로 출발하였다. 이후 1997년 6월 2일에 발간된 제5차 대통령 보고서에서 "과외 대책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방안"이라는 개혁과제의 6개 방안에 "방과 후 교육 활동의 확대 제공"이 포함되었다. 1999년 1월에는 "특기·적성 교육 활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2학년도의 대학입학제도 개선안을 발표하여 학생의 개성을 살리는 선발 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적성과 흥미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러한 배경에서 특기·적성 교육이 등장하게 되었다.
1.3. 특기·적성 교육의 목적
특기·적성 교육의 목적은 첫째, 초·중·고교에서의 특기 적성 교육이 반드시 그 분야의 전문인으로 나가는 예비 교육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소질 및 적성의 탐색을 위한 다양한 경험을 체험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심미적 정서 함양이나 한 악기를 다루기 위해 필요한 인내와 같은 인성 교육에 목표를 둘 수 있다."
둘째, 특기·적성 교육이 강조될 때, 함께 나오는 논리의 하나가 학부모의 과중한 사교육비 부담을 줄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초·중·고교에서의 특기 적성 교육은 상당 부분 학원 강사들을 학교로 데려다가 낮은 가격에 교육을 담당하게 하고 있다. 그렇다고 강사 수준이 높은 것도 아니고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운영되는 것도 아니다. 여기서 지적하고 싶은 점은 사교육비 경감이 필요한 일이지만, 그것이 학교교육에 별도의 특기 적성 프로그램을 설치·운영해야 할 목적 자체가 될 수는 없다. 학교교육을 정상화시킴으로써 사교육비가 경감되도록 해야지,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해서 학교 교육과정을 가감한다면, 본래의 학교 교육과정이 담당해야 하는 일을 소홀히 하거나 왜곡시킬 수 없다."
2.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현황
2.1. 교육부 자료에서 나타난 운영 현황
전국적인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현황을 밝힌 99년도 자료가 있으나 시대적으로 뒤떨어지는 느낌이 있어 비교적 최근의 자료인, 경기 교육청이 밝힌 관내 초·중·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2001년 5월의 현재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내 1,563개교 중 98.6%인 1,541개교가 특기적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참여학생 비율은 2000년도에 비해 3.7%가 증가한 32.7%이다. 학교 급별로 보아 고등학교, 초등학교, 중학교의 순으로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초등학교, 중학교의 참여율은 전년도에 비하여 큰 변화가 없는 반면 고등학교의 참여율은 24%나 증가하였다. 이는 2000년 이후 교과 관련 특기적성 교육이 허용되면서 관련 프로그램의 개설 및 운영이 활발히 이루어진 때문으로 판단된다.
참여도가 높은 프로그램은 초·중학교에서는 컴퓨터>영어회화>회화>일어회화>기악>전통예술 등이고, 고등학교는 수학>과학>영어회화>컴퓨터>논술 등의 프로그램이다. 컴퓨터는 초·중·고 공히 높은 참여도를 보이고 있다. 초·중학생이 특기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도가 높은 반면, 진로에 대한 부담이 큰 고등학교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진학 및 직업선택과 직접 관련이 있는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담당강사는 현직교사가 58.7%, 외부강사가 41.3%로 현직교사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담당강사는 학급별로도 차이가 나는데 초등학교의 경우는 외부강사가 75.1%로 매우 높은 반면, 중학교는 27.7%, 고등학교는 6.6%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초·중학교는 특기지도가 주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지도영역에 따른 현직 교사의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프로그램 운영을 외부강사에 주로 의존하는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 교과관련 프로그램이 다수 운영되기 때문에 현직교사의 담당비율이 높은 것이다.
2.2. 현실에서의 운영 현황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패적인 측면으로는 먼저, 교육부가...
참고 자료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편, [정책연구97집],p.2.
교육부,(교육통계,2000) p 480-481
이성주, 「방과 후 교육으로서의 음악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음악연구, 한국 음악학회, 제17
권덕원·석문주·최은식·함희주 「개정판 음악교육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2015) p.27
민사윤 : 초등학교 특기·적성을 위한 바이올린 지도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년)
김미선 : 바이올린 특기·적성 교육의 학습지도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년)
강은미 : 초등학생 바이올린 특기·적성 지도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3년)
․『특기․적성 교육』 의 발전 방안 -서기남/나주금천중․호남원예고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의 활성화 방안- 조철규/전라남도교육청 중등교육과
․한민석 교육학 p.21~p.26
※ URL
․전라남도 교육청 홈페이지(http://www.jne.go.kr/home2003/index.php)
․네이버 지식검색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601&docid=10520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814&docid=102049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docid=141808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docid=10383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814&docid=73323
․뉴스
-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0080000480891012&s=922&e=1166
-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0080000165496044&s=873,1232,1777&e=1006,1262,1817
-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52600000022013&s=6522,6816&e=6662,6905
-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12700006837017&s=0&e=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