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해리 장애 개요
해리 장애는 의식, 기억, 정체성, 감정, 지각, 신체 표상, 운동 통제에서 평소 통합된 기능이 단절되는 상태이며, 그 기능의 일부가 상실되거나 변화된 것이다. 즉, 한 사람 안에 둘 이상의 각기 다른 정체성과 인격을 가지고 있는 정신질환이다.
과거에는 다중성격장애라고 일컫었으나, 현재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정신, 신체, 신체 일부에 대해 외부 관찰자인 듯한 느낌을 받고, 심각한 기억상실을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의 과거나 이름, 직업 등에 대한 기억을 상실하여 가정이나 직장을 떠나 방황하기도 한다. 또한 현실과 자신의 모습에서 분리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는 이인증과 비현실감을 경험할 수 있다.
해리 장애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급격한 심리적 충격에 대한 방어기제로 해리증상이 나타나며, 둘째, 신경생리학적 및 신경화학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 셋째, 완고하고 폐쇄적이며 학대적인 가족환경에서 주로 발생한다. 특히 아동기 학대나 방임 경험은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해리 장애의 치료는 개인치료, 집단치료, 약물치료, 예술치료, 환경치료 등 다각도로 이루어진다. 개인치료에서는 최근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기억력을 회복하고, 증상 형성과 관련된 감정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집단치료는 신중하게 고려되며, 약물치료는 심한 불안 관리를 위해 단기적으로 사용된다. 예술치료는 파괴적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환경치료는 일상적 기능을 방해하거나 위험요인이 되는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종합하면, 해리 장애는 정체성과 기억의 단절로 인해 발생하는 복잡한 정신질환이며, 다각도의 치료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2. 영화 '미스터 브룩스' 줄거리
사업가인 브록스는 외모, 재력, 두뇌 모두 뛰어난 완벽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연쇄 살인마이다. 브록스에게는 또 다른 인격인 '마샬'이 존재하는데, 이 인격은 브록스에게 끊임없이 살인을 유혹한다. 브록스는 공포와 죄책감으로 인해 집단 상담을 받으며 살인욕구를 억누르고 있지만, 결국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
브록스의 딸도 살인충동을 가지고 있어 살인을 저지르지만, 증거를 많이 남겨 경찰에 체포된다. 브록스는 딸을 보호하기 위해 직접 다른 연쇄 살인을 저지르고, 그 과정에서 사진작가를 살해한다. 브록스는 자신의 살인을 모든 증거를 사진작가에게 뒤집어씌움으로써 완벽한 범행을 완성한다.
이처럼 영화 '미스터 브룩스'는 한 사람 안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인격이 존재하는 해리장애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브록스의 완벽한 이미지 뒤에 숨겨져 있던 또 다른 인격 '마샬'로 인해 끊임없이 살인을 저지르는 모습은 해리장애의 핵심 증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2. 본론
2.1. 해리 장애의 정의
해리 장애는 의식, 기억, 정체성, 감정, 지각, 신체 표상, 운동 통제에서 평소 통합된 기능이 단절되는 상태이며, 그들 기능의 일부가 상실되거나 변화된 것이다.""
해리 장애에서는 의식상태 변화가 일어나면서 자기정체성을 일시적으로 상실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갖게 되거나 현실적인 느낌이 비현실적인 느낌으로 바뀌기도 한다. 행동에 변화가 일어나면 의식의 변화와 정체성의 변화도 동시에 일어나서 이곳저곳을 헤매게 된다.""
과거에는 다중성격장애로 불리던 해리 장애는 한 사람 안에 둘 이상의 각기 다른 정체를 지닌 인격이 존재하는 정신질환이다.""
2.2. 해리 장애의 증상
해리 장애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리성 정체성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이다. 한 사람 안에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다른 정체감이나 인격 상태가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각각의 성격은 서로 모순되고 때에 따라서는 전혀 반대되는 성격을 지닌다. 영화 "미스터 브룩스"에서는 주인공 브룩스가 성공적인 기업인의 모습으로 살아가지만, 실제로는 냉정하고 잔인한 또 다른 인격체 '마샬'이 존재하여 연쇄 살인을 저지르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해리성 정체성 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으며 인격의 전환이 빈번하게 나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