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당연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제의 멸망과 신라의 삼국 통일
1.1. 의자왕대의 정치상황과 대외정책
1.2.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
1.3. 백제의 대응과 멸망
1.4. 고구려의 멸망
1.5. 나당전쟁과 신라의 삼국통일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백제의 멸망과 신라의 삼국 통일
1.1. 의자왕대의 정치상황과 대외정책
의자왕대의 정치상황은 의자왕 15년(655)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된다. 의자왕 전기는 안정된 왕권을 바탕으로 대신라전에서 성과를 거둔 시기로 인식되지만, 의자왕 후기에는 의자왕이 주색에 탐닉하고 지배층의 내분이 일어나면서 결국 백제가 멸망하게 된 시기로 파악되고 있다.
의자왕 후기의 정치적 변화는 당과의 밀접한 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당의 고구려 원정 실패로 국제정세가 변화하자 의자왕은 당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거리를 두게 되었다. 이에 의자왕은 고구려와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하게 되었고, 이는 백제와 신라의 적대관계를 발생시켰다.
당은 신라의 요청에 따라 백제 공격에 나서게 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의자왕과의 관계가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당이 백제를 공격하게 되자 의자왕은 당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고구려와의 동맹을 강화하였다. 이에 반발한 좌평 세력이 의자왕의 정책을 반대하면서 정치적 혼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한편 의자왕대에는 새로운 정치세력의 등장도 있었다. 군대부인 은고와 그녀의 아들 효가 등장하면서 기존의 좌평 세력이 축출되고, 의자왕 전기에 소외되었던 왕서자 41명과 달솔 세력이 부각되었다. 이들은 융의 태자 책봉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던 세력으로, 효를 지지하면서 정치적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이와 같이 의자왕대의 정치상황은 대외정책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당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발생한 내부의 정치적 혼란은 결과적으로 백제의 멸망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1.2.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은 신라와 당나라가 조직한 연합군이었다. 648년 김춘추는 신라만의 힘으로는 백제를 점령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고구려를 찾아가 지원군을 요청했으나 실패하자 당나라를 찾아갔다. 당 태종은 신라의 청병을 받아들이고 고구려와 백제를 평정한 뒤에는 평양 이남의 영토와 백제 영토를 신라에게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로써 나당연합군이 결성되었다.
660년, 소정방이 이끄는 당군 13만명과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 5만명으로 구성된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기로 하였다. 당군은 해로로 덕적도에 상륙한 뒤 기벌포로 진격하고, 신라군은 육로로 사비성을 공격하기로 하였다. 두 군대는 7월 10일 사비성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백제는 나당연합군의 이러한...
참고 자료
노종국, 2003,『백제 부흥운동사』, 일조각
양종국, 2004,『백제 멸망의 진실』, 주류성
문안식, 2006,『백제의 흥망과 전쟁』, 혜안
김수태, 2007,『백제의 전쟁』, 주류성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백제의 멸망과 부흥운동』, 아디람
김주성, 1988,「제4회 백제연구 국제학술대회 특집 : 의자왕대 (義慈王代) 정치세력의 동향과 백제멸망」,『백제연구』19
김주성, 1995,「백제의 역사: 제8장 백제의 멸망」,『백제의 역사』
김수태, 1991,「백제의 멸망과 당(唐)」,『백제연구』22
김수태, 2004,「7세기 동아시아 국제 정세와 신라의 삼국통일 전략: 특집논문; 삼국의 외교적 협력과 경쟁-7세기 신라와 백제의 외교전을 중심으로」,『신라문화』, 24 양종국, 2002,「7세기 중엽 의자왕(義慈王)의 정치(政治)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화 - 의자왕(義慈王)에 대 한 재평가(1)-」,『백제문화』31
김수태, 2004,「특집논문2 : 백제 의자왕에 대한 재조명 ; 백제 의자왕대의 대왜외교(對倭外交)-왕족들의 재등장과 관련하여 -」,『백제문화』33
윤진석, 2011,「백제멸망기 ‘태자’ 문제의 재검토 - 관련사료 분석과 기존견해 비판을 중심으로」,『지역과 역사』29.
양종국, 2003,「의자왕(義慈王)과 백제(百濟) 멸망의 역사적 의미-의자왕(義慈王)에 대한 재평가(2)-」,『역사와 담론』36
정동준, 2006,「7세기 중반 백제의 대외정책」,『역사와 현실』61
배근흥, 2008,「특집(特輯):백제(百濟),당(唐),왜(倭)의 국제관계(國際關係); 백제(百濟)와 당(唐) 관계에 관련한 두 문제-웅진 도독 왕문도의 사망과 예식진묘지명에 관하여-」,『백제연구』47
남정호, 2010,「의자왕(義慈王) 후기(後期) 지배층(支配層)의 분열(分裂)과 백제(百濟)의 멸망(滅亡)」,『백제학보』4
박노석, 2010,「백제 황산벌 전투와 멸망 과정의 재조명」,『인문과학조명』27
배성현, 2011,「백제 의자왕의 왕권강화와 대외정책-멸망원인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白種伍, 金炳熙, 申泳文, 「韓國城郭研究論著總攬」, 서경 문화사, 2004.
이상훈, 「전쟁 이후의 한국사」, 추수밭, 2018.
이상훈, 「나당전쟁 연구」, 주류성, 2012.
이상훈, 「신라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푸른역사,
장원섭, 「신라 삼국통일 연구」, 학연문화사,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