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학대 예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학대 개요
1.1. 아동학대의 정의
1.2. 아동학대의 유형
1.2.1. 신체적 학대
1.2.2. 정서적 학대
1.2.3. 성적 학대
1.2.4. 방임
1.3. 아동학대 피해아동의 특성 및 후유증
2. 아동학대 관련 법적 제도
2.1. 관련 법령
2.2. 아동학대 범죄 신고의무 및 절차
2.3. 아동학대 예방 및 방지를 위한 국가와 지자체의 의무
3.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책
3.1.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개선
3.1.1. 부모 교육 프로그램
3.1.2. 신고의무자 교육
3.2. 아동학대 조기 발견 시스템 강화
3.3. 아동학대 가해자에 대한 처벌 강화
3.4.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방지 방안
3.5. 저소득층 고위험군 가족 지원
3.6.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 개발
3.7. 피해아동 및 가족 대상 치료 프로그램
3.8. 관련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4.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전문가 양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학대 개요
1.1.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아동복지법 제3조 제7호에 정의된 바이다. 즉, 아동학대는 아동의 건강과 복지를 해치는 모든 형태의 행위로,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와 방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렇듯 아동학대에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와 방임의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이는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위험한 행위라 할 수 있다.
1.2. 아동학대의 유형
1.2.1. 신체적 학대
신체적 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신체적 학대의 지속기간과 횟수, 발생 연령은 다른 학대 유형에 비해 보통 단기적이며 초기 연령인 5세부터 시작되는 경향이 강하다.
신체적 학대는 아동기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학령기에 접어든 이후에도 언어발달 부진이나 학업 부진 등을 이유로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부모들이 자녀를 훈육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신체적 폭력을 동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부모들은 체벌을 훈육의 일부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신체학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신체적 학대 행위자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양육 지식 및 기술 부족, 부부 및 가족 갈등, 배우자 폭력, 음주 남용, 성격 및 기질 문제 등이 관련되어 있다. 특히 아동학대의 재발과 관련해서는 보호자의 음주, 우울, 사회적 지지의 결여, 가족 기능의 저하 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체적 학대 피해 아동의 경우 남아가 여아에 비해 재학대 경험 비율이 더 높고, 문제행동 및 비행 등의 외현화 문제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동의 자존감이 높고 부모가 인식하는 또래관계가 좋을수록 학대가 중단되거나 저수준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
종합적으로 신체적 학대는 아동 발달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부모의 잘못된 양육태도와 가정 내 여러 갈등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서는 부모에 대한 교육과 지원, 가정 내 환경 개선, 관련 기관들 간의 협력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2. 정서적 학대
정서적 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정신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언어적 모욕, 정서적 위협, 감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 등 언어적, 정신적, 심리적 학대의 형태로 나타난다""
정서적으로 학대하는 부모의 공통된 특성을 살펴보면, 부모 자신이 아동기 때 정서적으로 학대받은 경험이 있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지지 체계가 거의 없고, 아동에 대한 부적절한 기대와 함께 화가 나거나 적대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낮은 양육기술과 대응기술, 우울, 정신분열증, 인격 장애와 같은 정신질환, 결혼 갈등으로 인한 폭력 사용 등의 문제를 겪고 있다""
정서적 학대 피해 아동의 지표로는 낮은 자존감, 낮은 학업성취도, 학교와 지역사회에서의 돌발적 행동, 다른 아동과의 폭력, 친구나 또래집단이 없음, 학교활동과 방과 후 활동이 없음, 우울,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음, 자살생각, 약물/알코올 복용, 개인 위생문제, 자해행동, 어른에 대한 신뢰 결여, 언어 장애, 성숙지연, 신체적 질환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원망적/거부적/적대적 또는 경멸적인 언어폭력, 잠을 재우지 않는 것, 벌거벗겨 내쫓는 행위, 형제나 친구 등과 비교·차별·편애하는 행위, 가족 내에서 왕따 시키는 행위, 아동이 가정폭력을 목격하도록 하는 행위, 아동을 시설 등에 버리겠다고 위협하거나 짐을 싸서 쫓아내는 행위, 미성년자 출입금지 업소에 아동을 데리고 다니는 행위, 아동의 정서 발달 및 연령상 감당하기 어려운 것을 강요하는 행위, 다른 아동을 학대하도록 강요하는 행위 등이 정서적 학대에 해당한다""
이처럼 정서적 학대는 아동의 건강과 복지, 정상적인 발달을 해치는 심각한 형태의 학대로, 아동의 낮은 자존감, 학업 부진, 행동 문제, 우울, 자살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전문적인 예방 및 치료 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3. 성적 학대
성적 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성적 폭력이나 성적 가혹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아동에게 음란한 행위를 시키거나 이를 매개하는 행위, 또는 아동에게 성적 수치심을 주는 성희롱 등의 행위를 포함한다.
성적 학대는 일반적인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아동에 대한 성적학대의 비율은 전체 아동학대 중 아직 미비한 편이다. 둘째, 가해자의 대부분이 부모나 친·인척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아동들이 성적 학대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아동 성 학대는 피해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넷째, 성적 학대는 성인에 의해 계획된 범죄이며 실수에 의해 발생하는 범죄가 아니다. 다섯째, 공통적으로 아동의 성적 학대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가정 내에서 은밀하게 이루어져 범죄가 노출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조기 발견을 통한 해결이 어려운 편이다. 여섯째, 피해 아동들이 성적학대 피해를 주변에 알렸다가 이후 자신의 주장을 부인하고 철회하는 경우가 많아 수사·재판과정에서 피해아동들의 진술에 대한 신빙성을 의심받게 되어 가해자의 처벌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곱째, 상대방의 관심을 받기 위해서 성적인 행동으로 접근하는 양상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성폭력 피해아동이 느끼는 외상강도 보다 피해아동의 부모가 느끼는 외상강도가 더 크다는 연구결과도 있을 정도로 주변 사람들에게도 많은 고통을 안겨준다.
성적 학대를 받은 아이들은 다양한 후유증을 겪는다. 초기 반응으로 수면장애, 신경질, 가해자에 대한 공포심과 분노, 부적절한 성 행동 등이 나타나며, 장기적으로는 기억상실, 공황장애, 애정적 관계를 맺기 어려움, 낮은 자아존중감 및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반사회적 행동, 트라우마 등을 겪게 된다. 또한 복부통증, 요도관 감염, 출혈, 상처, 성병 등의 신체적 증상도 나타난다.
성적 학대의 원인은 개인적, 가족적, 환경적, 사회문화적 요인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개인적으로는 친인척, 지인 등 평소 알고 지내던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가족적으로는 아동 자녀에 대한 성폭력 및 성학대가 있다. 환경적으로는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거나 지역사회와 단절된 경우, 사회문화적으로는 남성우월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 분노와 감정을 잘 통제하지 못하는 공격적인 성향 등이 원인이 된다.
1.2.4. 방임
방임 학대는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행위를 말한다"이다. 방...
참고 자료
e-나라지표(국정모니터링지표), 학대피해아동 보호 건수,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22, (2021-04-07)
아동권리보장원, 아동학대 개입절차,
http://www.korea1391.go.kr/new/page/work_system.php, (2021-04-07)
국가법령정보센터, 아동복지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5%84%EB%8F%99%EB%B3%B5%
EC%A7%80%EB%B2%95, (2021-04-07)
국가법령정보센터,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https://www.law.go.kr/LSW/lsLinkProc.do?lsNm=%EC%95%84%EB%8F%99%ED%95%99%EB
%8C%80%EB%B2%94%EC%A3%84%EC%9D
%98+%EC%B2%98%EB%B2%8C+%EB%93%B1%EC%97%90+%EA%B4%80%ED%95%9C+%ED
%8A%B9%EB%A1%80%EB%B2%95&chrClsCd=010202&mode=20&ancYnChk=0#, (2021-04-07)
박은주, “검찰 “16개월 정인이 고작 9.5㎏…복부 발로 밟혔다””, 국민일보, 2021-04-07,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717854&code=61121211&cp=nv, 정인이 사진만 활용
최강석, “아동학대 신고, 법률에 규정돼 있지만 현실서 못하는 이유는?”, 청년의사, 2021-02-24,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8050
KOSIS 국가통계포털, 학대 피해아동 보호현황: 신고자 유형, 수록기간: 2018~2019, 자료갱신일: 2020-11-10,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64_A003&vw_cd=MT_ZTITLE&list_id=117_11764_00B&seqNo=&lang_mod
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2021-04-07)
신주희, “학대 피해아동 ‘즉각 분리제’…신속한 안전 확보로 재학대 방지”, 정책브리핑, 2021-03-30,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85635
아동학대의 유형 : 신체적 학대
강지영(Kang Jiyoung),and 배화옥(Bae Hwa-ok). "신체정서중복학대의 예측변인과 피해아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63 (2018): 1-22.
배화옥(Bae Hwa-ok),임채영(Lim Chae Young),and 염동문(Yeum Dong Moon). "아동학대의 시간적 변화양상 유형화와 특성." 社會科學硏究 32.4 (2016): 73-91.
이정념. (2018). 아동학대의 유형에 대한 새로운 정의. 저스티스, (166), 209-233.
오정옥, 이경원. (2015). 미취학아동 부모가 인식하고 경험하는 훈육과 학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2), 247-271.
한인영, 이용우, 유서구, 박명숙, 김주현. (2007). 아동 신체학대 발생의 영향 요인 -한부모 가구와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0), 1-30.
한인영(In Young Han),유서구(Seo Koo Yoo),박명숙(Myung Sook Park),박형원(Hyung Won Park),and 이용우(Yong Woo Lee). "학령기 아동의 신체 학대 사정을 위한 척도개발." 한국아동복지학 -.21 (2006): 7-27.
아동학대의 유형 : 정서적 학대
이세화, 장미경, 손금옥, 이여름(2020), 국내외 아동학대 관련법과 처리절차에 반영된 아동 정서학대 및 방임의 정의, 대한아동복지학회, 18(1), 57-78.
김희순, 오진아, 유미애 외.(2019)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 2
아동학대의 유형 : 성적 학대
김지은, 홍해숙. (2016). 아동성폭력 피해특성이 피해부모의 신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15(1), 107-128.
류기환 (2021). 아동학대 현황과 그 대응방안 - 행정조사와 경찰수사를 중심으로 -. 법이론실무연구, 9(1), 9-33.
아동학대의 예방대책
국회전자도서관. 아동학대의 요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강순옥.서울: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2003.2.KDMT1200332332
아동복지법상 아동성적학대 방지를 위한 법적 검토.오삼광.토지공법연구 제73집 제2호 2016.2
아동학대 현황과 예방정책.김은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도미향(2016).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인성 코칭 프로그램 개발. 코칭연구, Vol. 9(No. 2), pp. 81-102
송주미. (2000). 한국 보육정책의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 정책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 20(), 193-219.
김현경, 이주영, 정다빈. (2020). 아동학대 및 방임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와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3), 421-443.
허남순(2003).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3권, p209-230(22 pages)
보건복지부
사진 출처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보건복지부,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