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건으로 보는 옛 이야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허생전을 통해 배우는 국가의 이상향
1.1. 허생전의 선정 이유
1.2. 허생전의 주요 내용
1.3. 허생전의 사회적 의미와 시사점
2. 설화 문학의 이해
2.1. 설화 문학의 개념
2.2. 신화, 전설, 민담의 특징
2.3. 신화, 전설, 민담의 차이점
2.4.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설화 문학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3. 구비문학의 주요 장르
3.1. 신화
3.2. 전설
3.3. 민담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허생전을 통해 배우는 국가의 이상향
1.1. 허생전의 선정 이유
허생전을 선정한 이유는 유년기 시절 동화책으로, 학창시절 문학작품으로 자주 접하여 평소에도 알고 있는 익숙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또한 책을 읽으면서 단순히 글을 읽고 내용을 즐기는 것이 아닌 무릎을 탁 칠 정도의 울림이 있는 독서를 허생전을 통해 느꼈기 때문에 즐겨 읽었고 기억에도 많이 남았기 때문이다. 이 작품을 재밌게 읽은 이유는 두 가지로, 첫째 당대의 정치적 배경을 알 수 있었고 둘째 허생이 착안한 매점매석이라는 시장 경쟁 방식을 통해 시대를 관통하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1.2. 허생전의 주요 내용
허생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산골 골방에서 공부만 하던 허생은 가난에 찌든 부인의 성화에 못 이겨 집을 나가 변 진사에게 돈 만 냥을 빌려 안정성의 과일을 매점하여 석 달만에 열 배의 이익을 남긴다. 허생이 쌀을 매점하라는 강 선달의 권유를 물리친 후 도적들이 돈을 훔치러 온다. 허생은 도적들을 굴복시켜 새 달 보름까지 강경 장터로 모이라 하고 돈을 주어 돌려 보낸다. 허생은 변 진사에게 이만 냥을 갚고, 강경 장터에서 물건을 사들이고, 조직을 갖추어 사천여 명의 사람들을 배에 싣고 강경을 떠난다. 허생은 제주 목사의 횡포를 듣고 그를 제주에서 떠나게 하고 삼 년 동안 제주에 낙천지를 이룬 후 제주를 떠난다. 변 진사가 이완을 데려 오자, 허생은 이완에게 장기적인 북벌계획을 제시한 후 사라진다.
1.3. 허생전의 사회적 의미와 시사점
허생전은 '허울 좋은 구호를 내걸고 조선 내부의 문제점을 은폐하고 있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익과 거리가 먼 허례허식, 겉치레 등 당대의 정치 상황을 알 수 있게 해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비판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허생이 고안한 매점매석은 당시 조선 상업의 시전체제의 부작용과 실태를 꼬집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실학사상이 바라던 조선의 이상향을 엿볼 수 있다. 현대에도 물가 안정과 공정 거래를 위해 관련 법규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허생전은 삐걱거리는 허점투성이의 경제에 대한 반면교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전반적으로 허생전은 무능력한 사회배경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삶의 각성과 실천을 촉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박지원이 생각한 조선의 이상향과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이상향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 설화 문학의 이해
2.1. 설화 문...
...
참고 자료
한국문학개론 교재 참고.
양민정,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국제지역연구』제9권 제4호 참고.
강등학 외,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김태곤, 한국구비문학개론, 민속원, 2003.
손은주, 민간전승문학의 갈래로서 신화, 전설, 민담, 한국뷔히너학회, 2005.
이병찬, 韓國 神話의 敎育的 意義, 반교어문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