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성 담낭염 개요
1.1. 만성 담낭염의 정의
담낭의 만성적인 염증 질환을 말하며 대부분 담석증 때문에 발생한다"이다. 만성 담낭염은 급성 담낭염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급성 담낭염과는 독립적으로 발병하며 대부분 담석과 관련된다. 만성 담낭염 환자의 약 90%에서 담석이 발견된다.
1.2. 만성 담낭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만성 담낭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결석성 담낭염의 경우, 담석이 담관을 폐쇄하여 담즙이 정체되면서 발생한다. 담즙이 담낭 내에 정체되면 재흡수되어 담낭벽을 자극하게 되고, 이로 인한 독성 효과로 인해 염증이 유발된다.
비결석성 담낭염의 경우에는 담낭 혈류의 감소(노화), 해부학적 구조적 문제(대수술, 심한 손상, 화상 등), 세균의 침입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장내세균 등이 있다.
즉, 담낭염은 크게 담석에 의한 경우와 비담석성 원인에 의한 경우로 나뉜다. 담석으로 인한 경우 담즙의 정체와 재흡수로 인한 담낭벽 자극이 주 기전이며, 비담석성 경우에는 혈류 감소나 해부학적 문제, 감염 등이 주된 원인이 된다.
이러한 병인 과정을 통해 만성 담낭염이 발생하고 진행되는 것이다.
1.3. 만성 담낭염의 증상
만성 담낭염 환자들은 통증 재발을 경험한다"고 한다. 급성 담낭염과는 반대로, 만성 담낭염 환자들에서는 열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통증은 급성 담낭염 통증보다 덜 중증이고 그만큼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고 한다. 통증은 고지방식이나 과식으로 인한 통증으로 "오른쪽 위사분면(RUQ)에서 통증, 오른쪽 어깨로 방사"되며, "Murphy's sign: 오른쪽 갈비뼈 아랫부분 촉진 시 공기를 깊이 흡입하면 통증 증가", "반동성 압통: 복막염증 의미", "몸을 보호하려는 자세(guarding), 복부 강직, 복막자극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담낭산통(biliary colic): 담관 폐쇄 시 발생(빈맥, 창맥, 발한, 탈진 동반)"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위장관 증상으로는 "오심, 구토, 식욕부진, 소화불량, 트림, 복부팽만감, 고창, 황달, 점토색 대변, 짙은 색 소변, 지방변(만성담낭염에서 흔함)"이 나타날 수 있다"고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으로 인해 "체온상승(37~39℃), 빈맥, 발열과 구토로 인한 탈수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1.4. 만성 담낭염의 진단
만성 담낭염의 진단은 주로 복부 초음파(담관초음파 촬영술)를 통해 이루어진다. 초음파 소견상 담석증, 담낭의 집중적 압통(초음파상 머피씨 징후), 직경이 3mm보다 더 큰 담낭벽의 비후, 5cm 이상의 담관의 팽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혈액검사상 간기능검사(LFT), 백혈구검사(상승), 혈청빌리루빈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내시경 및 방사선검사인 ERCP(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경피적 간담관조영술(PTC) 등을 통해 담도계 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복부 초음파와 혈액검사를 통해 만성 담낭염을 진단할 수 있으며, 필요 시 내시경 및 방사선 검사를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
1.5. 만성 담낭염의 치료 및 간호
만성 담낭염의 치료 및 간호는 다음과 같다.
안정 유지가 필요한데, 급성기 동안 염증 과정을 줄이고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이다. 식이요법으로는 급성기에는 금식하거나 고지방식이를 제한하여 담낭 자극을 감소시키고 오심, 구토를 예방한다. 비위관 삽입은 위장관 팽만을 감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심한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담낭 수축을 예방하기 위해 콜린제나 항경련제를 투여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