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퇴행성고괸절염으로 고관절치환술 받은 노인 남성 환자의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관절염
1.1. 정의
1.2. 원인
1.2.1. 퇴행성 고관절염
1.2.2. 류마티스 계통 고관절염
1.2.3. 외상에 의한 관절염
1.2.4. 감염성 고관절염
1.2.5. 대퇴골 두 무혈성 괴사
1.2.6.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및 탈구
1.3. 임상증상
1.4. 진단
1.5. 검사
1.6. 치료
1.6.1. 비수술적 치료
1.6.2. 수술적 치료
2. 고관절 전치환술
2.1. 정의
2.2. 수술방법
2.2.1. 피부절개
2.2.2. 근막절개
2.2.3. 대퇴골경 절제
2.2.4. 대퇴골두 제거
2.2.5. 관골구 노출
2.2.6. 관골구내로 보조기구 삽입
2.2.7. 대퇴골 내강 확장
2.2.8. 대퇴골 내강내로 보조기구 삽입
2.2.9. 절개부위 봉합
2.3. 회복실 간호
2.4. 수술 후 간호
2.4.1. 일반간호
2.4.2. 신체 활동
2.4.3. 퇴원교육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관절염
1.1. 정의
고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국소 변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이며 연골하골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고관절은 대퇴골의 둥근 모양의 머리부분과 골반을 연결하는 관절로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이며, 골반을 통해 체중이 전달되어 우리 몸을 지탱하고 걷거나 뛸 수 있게 한다.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에 의한 관절염, 감염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고관절 안의 충격을 흡수하는 연골이 녹아 없어지면 결과적으로 골반과 대퇴골 사이에 표면이 노출되어 마찰이 일어나고 그 과정에서 심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1.2. 원인
1.2.1. 퇴행성 고관절염
퇴행성 고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국소 변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이며 연골하골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로 체중부하와 관련된 고관절, 무릎관절, 생활습관이나 자세, 비만 등과 관계된 경추 및 요천추, 반복되는 작업이나 노동 등과 관계된 손가락 근위지 관절에 나타난다.
퇴행성 고관절염은 일반적으로 55~65세 사이에 85% 정도 나타나며, 남녀별로 특별한 차이는 없으나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에게 더 많고 정도가 더 심하다. 약간의 유전성 경향은 있으며 비만인이 정상인보다 두 배 정도 많고 주로 체중부하 관절에 나타난다.
퇴행성 고관절염의 병태생리는 연골부의 마모 현상에서 시작된다. 연골이 닳게 되어 관절면에 미란이 생기고 연골부가 점차 갈라지고 얇아지면서 뼈가 노출되어 뼈의 마찰로 통증이 발생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뼈의 모양과 관절 구조가 변하고 관절의 가동력이 제한된다. 특징적으로 헤베르덴 결절이 나타나는데, 이는 연골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들이 활액막에 부착하여 활액이 증가된 이상적 비대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초기에는 관절 사용 후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관절강직을 호소하며 쑤시는 듯한 통증을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관절 사용 후에 하나의 관절에 나타나는데 이런 증세는 휴식이나 열치료로 쉽게 조절된다. 골관절염은 잠시 악화되어도 이후 상당기간 안정상태가 유지되며 자기관리를 잘 하면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퇴행성 고관절염의 진단은 병력과 신체검진 결과를 기초로 하며, X-선 촬영, 골스캔, 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의 방사선 검사가 유용하다. 임상소견은 대부분 정상이나 활액에 다소의 백혈구 증가와 연골 파편이 있다. 방사선 상으로는 골관절강이 좁아지고, 골경과, 골증식체 등 관절면의 불규칙성을 볼 수 있다.
퇴행성 고관절염의 치료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 보완대체요법이 사용된다. 아세트아미노펜, 살리실레이트, 비스테로이드성항염증제 등의 약물요법과 열치료, 운동요법 등의 비약물요법, 그리고 보조기구 사용, 체중감량 등의 보완대체요법이 시행된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경감되지 않거나 관절기능이 상실되고 독립적인 자가간호수행이 어려울 경우에는 수술을 권장한다.
1.2.2. 류마티스 계통 고관절염
류마티스 계통 고관절염은 주로 류마티스 관절염이 고관절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경우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관절의 활막에 염증이 발생하여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초래하는 만성 진행성 질환이다. 이 질환은 주로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며, 20~50세 사이에 주로 시작된다.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한 고관절염은 다른 원인의 고관절염과는 달리 양측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급성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이며, 전신적인 증상으로 피로감, 발열, 체중감소 등이 동반된다. 관절 주변의 부종, 압통, 관절강직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관절의 파괴와 변형으로 인해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된다.
류마티스 고관절염의 진단은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혈액 검사에서 류마티스 인자, 항CCP 항체 등이 양성으로 나타나며, X-ray 검사에서 관절 간격 감소, 골미란, 골극 형성 등의 소견이 관찰된다.
류마티스 고관절염의 치료는 약물 치료와 비약물적 치료, 수술적 치료로 이루어진다. 약물 치료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며, 비약물적 치료로는 물리치료, 운동 요법, 보조기 사용 등이 도움이 된다.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관절의 기능 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한 고관절염은 다른 원인의 고관절염과 달리 전신적인 증상이 동반되고 양측성으로 발생하며, 급성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류마티스 고관절염 환자의 치료 및 관리에 있어서는 이러한 질병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1.2.3. 외상에 의한 관절염
외상에 의한 관절염은 과거 교통사고나 골절과 같은 외상이 고관절 부위에 발생한 경우, 고관절을 이루고 있는 비구나 대퇴골 골두에 골절이 발생한 적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외상성 관절염은 일반적으로 관절의 구조적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관절내 골절이나 탈구 등의 직접적인 관절 손상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외상으로 인해 관절 연골이 손상되고 변형이 발생하면 점차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어 관절염이 발생하게 된다"" 외상이 있었던 경우 해당 관절 부위에 선천적 또는 후천적 변형이나 불안정성이 생길 수 있어 관절염 발생의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외상성 관절염은 관절에 발생한 직접적인 손상이나 변형으로 인해 관절의 정상적인 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1.2.4. 감염성 고관절염
감염성 고관절염은 고관절 관절낭 내부에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하는 화농성 관절염이다. 이는 주로 피부, 폐, 요로계, 치아 등의 감염이 혈행성으로 전파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절강 내 고름이 고이고 관절의 파괴를 초래한다. 증상으로는 고열, 전신 쇠약감, 관절의 동통, 열감,...
참고 자료
김금순 외, (2017), 성인 간호학 2, 수문사, 1115-1117.
박은영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 현문사, 334~335.
강미경, 김근진, 김혜영(2017), 하지 인공관절 치환술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4(3), 209~218.
김주영.(2018).인공고관절치환술 환자의 신체활동 예측 요인.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경상남도.
권은희.(2018), 구조화된 운동프로그램이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고관절 통증, 신체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연희∙제남경 (2019), 인공관절치환술 후 예방적 항혈전제 사용, 병원약사회지, 36(1), 10 ~ 25.
성인간호학2,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2021, p. 1053~1057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의료정보, 검사/시술/수술정보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의료정보, 의약품정보
인공관절 치환술 환자의 간호, 근관절건강학회지, 이혜숙, 1995
고관절 전치환술 전후의 환자간호, 성정혜,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1980
척추마취하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수술 전 가온이 수술 중 저체온 예방에 미치는 효과, 이민지, 정정희, 병원간호사회, 2020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2012)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2018), p313~p315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하), 현문사(2018), p182~p188
잉글우드 병원/메디컬 센터 부속 관절치환센터 인공 고관절 수술 환자 가이드
윤혜상, 수술실환자간호, 청구문화사(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