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건강가정정책의 개념과 문제점
1.1. 건강가정의 개념
건강가정은 가족구성원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 가족원 개개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가족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가정을 의미한다. 현대사회는 이혼율의 증가,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 등 일련의 현상으로 건강하지 못한 가정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가족이 해체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사회의 근간이 되는 가정을 건강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커지고 있다. 건강가정에서는 역기능적 가족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부부간의 갈등이나 자녀와의 불화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려운 난관을 함께 극복하고 가족의 위기, 심리적 문제, 경제적 기초의 붕괴, 신체적 외상, 질병 등의 고통에서 도움을 주어야 한다. 즉, 가족의 건강한 안녕과 가정의 복지를 최우선적인 목적으로 생각하며, 가정의 건강한 생활 문화를 유지하려는 하나의 관점으로 보고, 모든 가족구성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시키는 하나의 영역이자, 가족집단으로서의 성격을 지닌 가정을 의미하는 '가족 전체성'을 고려한다고 볼 수 있다.
1.2. 건강가정의 구성
건강가정의 구성은 가족 구성원이 부양, 자녀양육, 가사노동 등 가정생활의 운영에 동참하며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는 가운데 이루어진다"" 가정의 경제적 토대, 친밀한 가족관계, 합리적인 가정 역할, 사회와의 연계, 건강한 가족생활문화 창조 등이 건강가정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다"" 가정경제의 안정은 기본적인 물적 토대가 되고, 가족구성원 간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관계 속에서의 열린 대화와 공유된 여가생활은 가족 간 친밀성을 높인다"" 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