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실습 기관 사회복지 변화 부족 문제 개선 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아동센터의 개요 및 특성
1.2.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지역아동센터 역할
2.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제공 현황 및 문제점 분석
2.1. 서비스 제공방식의 한계
2.1.1. 개인상담 및 가족상담 체계의 미비
2.1.2. 맞춤형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2.2. 기관 운영의 불합리성
2.2.1. 재정기반의 취약성
2.2.2. 외부자원 연계의 한계
3. 지역아동센터 실천 현장 개선을 위한 제언
3.1. 아동 참여 프로그램 구축
3.2. 지역사회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자원 다변화
3.3. 사회복지 전문인력 확충 및 역량 강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아동센터의 개요 및 특성
지역아동센터는 방과 후 돌봄에 필요한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을 제공하며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에 대한 건전한 육성을 위해 종합적으로 아동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지역아동센터는 1984년 상계동 '산돌공부방'을 시작으로 하여 1995년 빈민 지역과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공부방이 설립되면서 주로 학습과 특별활동 및 교육활동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보호와 학습, 놀이와 오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등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아동복지 시설로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함께 기능이 확대되었으며 지역사회의 아동복지시설로 확실히 자리를 잡았다. 지역아동센터가 법제화되기 전 공부방 시기에는 부모들의 맞벌이로 인해 방임되어 방치된 아이들을 돌보며 교육하고 식사를 제공하였으며, 최근 노동시장에 맞벌이 부부가 지속해서 늘어남에 따라 비행 아동과 청소년들이 범죄 수 또한 증가하고 비행의 정도가 심각해지고 있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안에서 방치되는 아동들과 함께하기 위하여 자생적으로 생긴 아동복지 실천프로그램으로도 볼 수 있다.
1.2.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지역아동센터 역할
지역아동센터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을 제공하며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에 대한 건전한 육성을 위해 종합적인 아동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지역아동센터는 1984년 상계동 '산돌공부방'을 시작으로 하여 1995년 빈민 지역과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공부방이 설립되면서 주로 학습과 특별활동 및 교육활동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보호와 학습, 놀이와 오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등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아동복지 시설로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었다.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안에서 방치되는 아동들과 함께하기 위하여 자생적으로 생긴 아동복지 실천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 제도와 정책이 뒷받침되지 않는 지난 20년간 아동들의 욕구로부터 출발한 것이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는 실천프로그램이다. 즉, 지역사회 안에서 방치된 아동에 대하여 지역아동센터는 중요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역할을 해왔다고 볼 수 있다.
2. 지역아동센터 ...
...
참고 자료
이레 지역아동센터
이장현, 「찔끔 지원 지역아동센터 너무 열악하네」 주간조선, 2012.12.10
김경태, 2015, 지역아동센터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지역 종사자를 중심으로, 서원대학교
김윤영, 2020, 기초자치단체별 아동복지 재정격차와 이에 대한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격차완화효과, 숙명여자대학교
https://blog.naver.com/vwac7201(참좋은지역아동센터-부산)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함께하는 사랑밭, 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베트남 음식 만들며 '해피쿠킹' 실시|작성자 참 좋은 지역아동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