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산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11.11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아이돌 산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류 아이돌 산업
2.1. 한류의 정의
2.2. 일본을 중심으로 한 한류의 역사
2.3. 일본의 한류 아이돌 현황

3. SWOT 분석
3.1. Strength
3.2. Weakness
3.3. Opportunity
3.4. Threaten

4. SCP 분석
4.1. Structure
4.1.1. 스타 산업 시장
4.1.2. 국내 매니지먼트사의 구조
4.1.3. 일본 매니지먼트사의 구조
4.2. Conduct
4.2.1. 국내 매니지먼트사의 행위
4.2.2. 일본 매니지먼트사의 행위
4.2.3. 스타 산업의 행위
4.3. Performance
4.3.1. 경제적 측면
4.3.2. 문화적 측면

5. 성공사례 분석
5.1. 동방신기
5.2. BoA
5.3. 초신성
5.4. 빅뱅
5.5. 카라
5.6. 포미닛

6. 쟁점 분석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 아이돌 가수들의 해외 진출, 특히 일본 시장 진출은 한류의 발전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주제이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시작된 한류는 이제 아시아 대륙뿐만 아닌 북미, 유럽 등 세계 전역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방탄소년단, 기생충, 미나리, 오징어게임, 킹덤 등 다양한 한류 콘텐츠들이 전 세계에서 많은 사랑을 받으며 2020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 흑자를 이루어냈다. 그리고 그 한류의 중심에는 K-POP 아이돌 산업이 자리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을 대표로 NCT, 세븐틴, 블랙핑크, 트와이스 등이 빌보드 차트에 차트인 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수많은 팬들이 K-POP 아이돌의 공연을 보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아이돌 산업의 미래를 예측하고, 한 발 앞서 대응하는 것은 앞으로 한국 문화 산업을 더 크게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2. 한류 아이돌 산업
2.1. 한류의 정의

한류는 중국을 중심으로 처음 한국 드라마가 수출되기 시작한 1990년 중반 그 흐름이 포착되기 시작해, 아이돌 그룹인 H.O.T의 베이징 공연이 열린 2000년, 중국 매체들에 의해 '한류'라는 용어가 '동아시아 지역을 강타한 한국 대중문화의 커다란 영향력'이라는 현재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한류가 한국 문화산업을 본격적으로 주도하기 시작한 것은 KBS의 <겨울연가>가 일본에 수출되어 드라마의 주연이었던 배용준이 '욘사마'라 불리며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던 2004년부터이다. 한류의 성장 가도는 최근 7년간 방송 프로그램의 수출입 추세에서 뚜렷이 볼 수 있는데, 1990년대 부진을 면하지 못하고 있던 수출 현황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2001년을 기점으로 수출보다 수입이 우위였던 국내 방송프로그램 수출입 현황이 뒤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2001년을 기점으로 수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데, 이런 한국 문화산업과 방송영상산업 시장규모 확대는 2000년대부터 시작된 한류의 영향이 크다.


2.2. 일본을 중심으로 한 한류의 역사

일본을 중심으로 한 한류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① 제1차 한류붐
한국과 일본 두 문화권의 교류는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배우 배용준, 최지우 주연의 겨울연가가 2004년 일본 NHK에 방영되면서부터 일본 아주머니층을 중심으로 본격화되었다. 여러 드라마와 음악계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한류 열풍이 불기 시작하였고 한국 문화는 단순히 드라마나 음악을 넘어서 온라인 게임, 음식 분야 등으로 일본에 진출한다. 하지만 한일 양국 관계가 독도 영유권 분쟁, 일본의 교과서 왜곡, 역사 왜곡 등으로 냉각되는 시점마다 주춤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➁ 제2차 한류붐
이영애 주연의 대장금, 전광렬 주연의 허준, 이재룡 주연의 상도 그리고 송일국 주연의 주몽 등의 한류사극을 중심으로 기존의 아줌마층에 더하여 아저씨층에서도 한류붐에 편승하게 되는 제2차 한류붐이 일어나게 된다.

③ 제3차 한류붐 (네오한류)
동방신기와 빅뱅 등을 비롯한 한국출신 그룹의 일본내 성공과 더불어 이승기와 한효주 주연의 찬란한 유산 및 아이리스의 히트로 기존 한류팬들이 리드했던 일본중년층 한류팬에 더하여 청년층의 일본젊은이들까지 합류하는 일본내 네오한류(Neo-Korean wave)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2.3. 일본의 한류 아이돌 현황

일본의 한류 아이돌 현황은 다음과 같다.""

동방신기는 탁월한 가창력, 장신의 빼어난 스타일 이외에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한 친근감있는 캐릭터로 일본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동방신기는 올해 2월 발매된 동방신기 현지 베스트앨범 'BEST SELECTION 2010'이 50만장 돌파했다. 동방신기 해체된 이후에는 준수, 재중, 유천의 3인 유닛이 새로 결성되어 금년 6월 오사카돔, 도쿄돔에서 빅 콘서트가 개최될 예정이다.

현재 동방신기 뒤를 이어 많은 남성 아이돌그룹이 가창력, 외모 뿐 아니라 일본어 구사로서 일본에서의 인기를 획득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초신성'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초신성'은 여성 아이돌그룹 'T-ara'와 함께 'TTL'이라는 Collaboration Unit명으로 3월부터 방송중인 패밀리 레스토랑 CM에 기용되어 일본어로 노래를 부르며, 일본어로 캠페인 안내를 하고 있다.
이미 많은 일본 여성 팬을 확보하고 있는 SS501의 경우, 현재 주 무대를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더 김현중이 출연한 '꽃보다 남자'가 다채널을 통한 재방송 등의 영향으로 일본 내에서는 여전히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② 여성그룹: 공백영역 진입
처음 일본에 한국 여성 아이돌그룹이 소개된 것은 1998년 'SES'가 에이벡스를 통해 데뷔한 것이 처음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후 2004년 '슈가'가 호리프로를 통해 데뷔, 'Being 그룹의 GIZA studio'를 통해 '쥬얼리'가 데뷔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모두 일본어로 노래를 부르긴 했으나 솔로로 성공한 BOA와 같이 실적을 쌓아가지는 못했다.
지금 제 2의 한국 여성 아이돌그룹의 일본진출이 시작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1)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패션 등에 별 차이를 느끼지 못하여 일본의 젊은 층들이 한국 여성 아이돌그룹을 보고 '귀엽다'고 느끼고 있다는 점, 2) 일본 음악시장에 R&B계열의 여성 댄스그룹의 부족한 점을 들 수 있다.

'T-ara'의 경우 앞서 살펴 보았듯이 '초신성'과 같은 Mnet미디어 소속으로, 일본 정식 데뷔 전 CM을 냈다. 더불어 아직 정식 데뷔 전인 'KARA'의 경우는 아카사카BLITZ에서 1회의 유료 프리미엄이벤트를 기획했었으나, 티켓의 판매가 순조로워서 낮, 저녁 2회 공연을 실시하였고, '4Minute'의 경우도 시부야 SHIBUYA-AX 공연장에서 초청이벤트를 실시하였는데, 10배 가까운 응모가 있었다.

③ 기타 아티스트
한국에서는 R&B계열의 댄스나 발라드가 메인이나, 최근 밴드계열 아이돌 그룹의 새로운 인기 아티스트도 등장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밴드가 크게 히트하지 않아 많은 밴드 그룹들이 일본진출을 노리고 있는 가운데, CN BLUE나 FTIsland의 경우는 한국에서 인기를 굳히고 일본으로의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 반면, 솔로가수들의 활동이 뜸해지고 있기는 하지만 최근 일본에서 소개된 바 있는 인기드라마 '내조의 여왕'의 윤상현은 극중 불렀던 노래의 인기를 토대로 3월 31일 일본 나카니시 야스시의 히트발라드 '최후의 비'의 커버 곡으로 가수 데뷔를 했다.


3. SWOT 분석
3.1. Strength

한류 아이돌 산업의 강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기관의 한국문화콘텐츠에 대한 각별한 지원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0년 예산안 발표에서 한국 문화콘텐츠 국내외 마케팅 활성화 사안에 대해 상당한 예산을 증가시켰다. 특히 해외현지마케팅 활성화와 한류문화산업연구, 음악산업 육성 등 한류 아이돌 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한국 아이돌 가수들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한국 아이돌 가수들은 뛰어난 가창력과 춤실력, 외모, 연기 등 다방면의 재능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를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도 활약하며 자신들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max의 김준은 드라마 출연으로, 동방신기의 영웅재중은 드라마 출연과 함께 연기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며 입지를 넓히고 있다. 이처럼 다방면의 진출은 한국 아이돌이 자신을 알릴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해외에서의 한국 가수들의 지속적인 광고노출, 대중매체의 기사화, 초청 공연 등은 한국 가수들의 인지도를 높이고 이미지를 친밀하면서도 고급스럽게 만들어, 해외 대중들로 하여금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실제로 중국, 일본, 베트남, 대만 등 4개국을 대상으로 한 한국 대중음악 이용의향 조사 결과, 절반 이상의 사람들이 한국 대중음악을 이용하고 싶다고 밝혔다.

넷째, 한국 아이돌 음반의 multi-use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이미 CD 음반 판매 외에도 mp3파일, 벨소리, 통화연결음, 인터넷 배경음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음원을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활용성은 한국 가수들의 음악을 ...


참고 자료

이장우, 한류(K-pop)의 성공과 미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브리프, 2021.06.07.
강신규, 가상과 현실 사이에 놓인 아이돌 : K/DA와 에스파(aespa)를 중심으로, 문학과학 105, 문학과학사, 2021.03, 214쪽.
진상, SM엔터테이먼트의 중국 시장 진출에 관한 연구 : WayV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공연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지난해 K-팝 음반 수출 2억2000만 달러···역대 최고, 해외문화홍보원, 2022.01.17.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40532&page=1&pageSize=10&photoPageSize=6&totalCount=614&searchType=&searchText=%EB%AC%B4%EC%97%AD&cateCode=
이시림, 이수현, 한국 아이돌, 그들은 어떻게 살아남는가?: 한국 아이돌 산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공 요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권익도, (BTS 10주년)"K팝 한계, 다양성 부족·기형적 구조", 뉴스토마토, 2023.06.14.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90838
유승목, "가수가 원하면 정산자료 줘야"…'K팝 부당계약' 고친다, 머니투데이, 2023.01.01.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10109020048491
[사회] 보장받기 힘든 아이돌 노동권, 성공회대 미디어센터, 2022.05.07. https://www.skhumedia.co.kr/?p=774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