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종 한국어 시리즈 중 한 권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해당 교재의 장단점을 제시하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과 교재 개발 현황
1.2.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재 개발
2. 세종 한국어 시리즈 1권의 특징
2.1. 외적 특징
2.1.1. 구성과 페이지
2.1.2. 문화 단원 구성
2.1.3. 웹 교재 서비스
2.2. 내적 특징
2.2.1. 한국어와 한국 문화 이해 목표
2.2.2. 의사소통 능력 향상 설계
2.2.3. 문화 상호주의적 관점
3. 세종 한국어 시리즈 1권의 장단점
3.1. 장점
3.1.1. 국가 기관 협력으로 인한 신뢰성
3.1.2. 한국어와 한국 문화 학습 균형
3.1.3. 온라인 교재 서비스의 편의성
3.2. 단점
3.2.1. 단문 중심의 학습 내용
3.2.2. 독학용 발음 학습의 어려움
3.2.3. 온라인 교재 다운로드 불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과 교재 개발 현황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과 교재 개발 현황은 다음과 같다.
한국 문화의 세계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사용자 수는 약 7,700만 명에 이르며, 언어 순위로도 14위를 차지할 정도로 그 위상이 높다. 전 세계에서 한국어학과 한국학 전공 강좌를 개설한 대학이 107개국 1,395개에 달하고, 특히 동남아시아 등 제3국에서도 한국학 및 한국어학과 개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한국어 보급 기관도 약 2,000개로 늘어났으며, 그 기관에 등록된 수강생도 25만 명을 넘어섰다. 이렇듯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에서 약 3,400권의 한국어 교재가 발간되었다.
이와 같은 한국어 교육의 수요 증가에 발맞추어 교재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국가 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주도하여 세종학당을 통해 표준 한국어 교재인 '세종한국어' 시리즈를 개발하였다. 이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전 세계 학습자들을 위한 범용 교재로,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처럼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를 고려한 교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1.2.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재 개발
세종학당은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이어받아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고 싶어 하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한국 문화를 알리는 기관이다. 세종학당은 한국어 교육을 좀 더 알차게 하기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에서 세종학당의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을 마련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11년부터 세종학당 표준 교재인 '세종한국어'를 개발하였다. 세종학당 재단이 이 교재를 국내외에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출판하게 되었는데, 이는 국외에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현지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위한 개방형 한국어 문화학교인 세종학당의 교육 여건에 맞추어 개발된 범용 교재라고 할 수 있다."
2. 세종 한국어 시리즈 1권의 특징
2.1. 외적 특징
2.1.1. 구성과 페이지
'세종 한국어 1'은 총 12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페이지 수는 186페이지로 무겁지 않은 휴대하기 불편함이 없는 교재이다. 일반 단원 세 개 뒤에는 한국인의 인사법, 한국의 화폐, 한국의 사계...
참고 자료
kofice.or.kr/국제 언어로서 한국어의 위상
양기웅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원장
유승금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글로벌한국학과 학과장
(출처 : 한류NOW 2020년 1+2월호)
해커스 원격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P49-57
김정숙.이해영.박선희.이준호.장미라.최은지, 2013, 세종한국어1, 도서출판하우
서종학 외 2017, 한국어 교재론, 한국문화사
김정숙, 이해영, 박선희, 이준호, 장미라, 최은지, 2013, 세종한국어1, 도서출판하우
세종학당 http://www.sejonghakdang.org/sjcu/home/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