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이돌이 대중문화에 미친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이돌 팬덤 문화와 대중음악시장
2.1. 최근 강세를 띄는 아이돌의 특징
2.1.1. 아이돌의 분류
2.1.2. 아이돌의 유닛 및 솔로활동
2.2. 아이돌 팬덤 문화
2.2.1. 아이돌 굿즈
2.2.2. 리얼리티 프로그램
2.2.3. 과 아이오아이
2.3. 아이돌 팬덤 문화의 대중음악시장에의 악영향
2.3.1. 아이돌 팬덤과 차트의 왜곡
2.3.2. 의도적 스트리밍과 앨범 사재기에 따른 부정적인 연쇄효과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아이돌의 전성시대다. TV든 라디오든 아이돌이 나오지 않는 프로그램이 없다. 최근 시청률 경쟁을 펼치며 종영한 두 판타지사극 드라마에는 모두 아이돌이 출연한다. 태양의 후예에는 아이유, EXO의 백현, 소녀시대의 서현이, 도깨비에는 B1A4의 진영이 활약했다. 연기에 도전하는 많은 아이돌들이 '발연기' 논란이 일지만 이들은 네임벨류만으로도 시청자 층을 확보할 수 있고, 첫 방송을 하기 전부터 드라마의 이름을 알리기 좋기에, 또 프로듀스 101의 정은지, 효리네 민박의 혜리와 같은 보석들도 숨어있기에 많은 드라마에 중요한 역할로 캐스팅된다. 그들의 주 종목인 음악시장에서는 그 영향력이 더욱 크다. 12월 4일 방영될 예정인 2020 KBS 가요대축제에서는 21팀의 출연진 중 19팀이 아이돌이다. 이는 90%가 넘는 수치로, 사실상 현대의 음악방송은 아이돌을 위한 것이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음원시장 역시 마찬가지이다. 현재 음원차트의 상위 10개 곡 중 7개 곡이 아이돌이 참여한 음원이며, 팬 투표를 기준으로 선정하는 '주간 인기상'은 TWICE가 5관왕을 달성하였다. 이 뿐만 아니다. 무한도전에서 활동하고 있는 헬로비너스의 나라, 1박2일의 양요섭, 프로듀스 X 101의 식스맨으로 선발된 제국의 아이들의 광희, 여유만만의 MC로 활약하고 있는 슈퍼주니어의 규현 등 아이돌들은 예능에서도 두각을 보이며 아이돌이 한 명도 나오지 않는 예능을 찾아보기는 어렵게 되었다. 이렇게 아이돌들은 언제부턴가 대중문화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들은 음악시장의 중심을 넘어서 모든 분야에서 2023년 현재의 대한민국을 쥐락펴락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 시점에서 이들이 보여주고 있는 다양한 양상들을 연구하는 것은 굉장히 유의미하다고 사료되어 아이돌의 음악, 예능, 연기 분야에서의 영향력과 그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2. 아이돌 팬덤 문화와 대중음악시장
2.1. 최근 강세를 띄는 아이돌의 특징
2.1.1. 아이돌의 분류
오늘날 활동하고 있는 아이돌을 두 가지로 분류한다면, 가장 확실하면서도 간단한 기준은 성별에 따라 나누는 것이다. 아이돌의 성별에 따른 분류는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 필요하다.
첫째, 팬덤의 문화가 다르다. 아이돌 팬들은 흔히 '화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아이돌에 대한 팬들의 관심의 정도와 팬덤의 규모를 지칭하는데 이는 앨범의 판매량으로 쉽게 가시화된다. 이러한 화력은 남자 아이돌의 팬덤에서 더 강한 경우가 대다수이다.
둘째, 컨셉이 다르다. 대부분의 아이돌은 컨셉을 가지고 활동한다. 소속사가 인위적으로 만든 그룹과 컨셉이 과연 음악적으로 올바른지에 대한 논의는 차치하고 생각해보자면, 아이돌의 컨셉은 음악적으로, 외모적으로 그룹의 이미지에 알맞은 멤버를 선별하여 그룹에 통일감을 줄 뿐만 아니라 팬층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한다. 여자 아이돌의 경우에는 컨셉이 주로 '청순'과 '섹시'로 나뉜다.
이처럼 아이돌은 성별에 따라 구분되며, 각각의 특성으로 인해 팬덤 문화와 음악 시장에서의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2.1.2. 아이돌의 유닛 및 솔로활동
아이돌의 유닛 및 솔로활동은 최근 음악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현상이다. 과거에도 슈퍼주니어 K.R.Y, GD&TOP, 소녀시대 태티서 등 다양한 아이돌 유닛들이 활동해왔지만, 대형 아이돌 그룹의 증가로 인해 유닛 활동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아이돌 유닛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첫째, 같은 그룹 내 멤버들로 구성된 유닛이다. 이는 국내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닛의 형태로, EXO-CBX, 슈퍼주니어 K.R.Y 등이 대표적이다. 대형 아이돌 그룹 내 멤버들이 모여 독자적인 이름과 음악 스타일을 보여주며 활동한다. 이를 통해 그룹 내 개별 멤버들의 매력을 부각시키고, 팬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진아, 「아이돌 중심 대중음악시장의 한계에 관한 연구 - 아이돌 가수 탄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 」,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논문, 2010
권태영,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석사논문, 2016
이수지, 「충성도 높은 장기 아이돌 팬덤의 활동 과정에 관한 연구 : 신화창조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석사논문, 2015
김민 외, 청소년문화, 창지사, 2023
장수한 청소년문화론, 공동체, 2020
백현옥, 청소년문화론, 박영스토리, 2022
BTS 일본 팬클럽 국방일보에 광고… 멤버들은 ‘빌보드 어워즈’ 후보에. 2023. 10. 27. 서울신문. 류재민 기자.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1027500216&wlog_tag3=naver
'디 아이돌' 제니→'스트립쇼' 리사…블랙핑크의 '19금' 행보 어떻게 보시나요. 2023. 09. 23. 텐아시아. 김세아 기자.
https://tenasia.hankyung.com/topic/article/2023092729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