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신성 당뇨 분만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신성 당뇨병과 유도분만
1.1. 유도분만
1.1.1. 정의
1.1.2. 준비사항 및 시술방법
1.1.3. 분만과정
1.1.4. 부작용 및 후유증
1.2. 임신성 당뇨병
1.2.1. 정의
1.2.2. 병태생리 및 원인
1.2.3. 증상 및 징후
1.2.4. 진단적 검사
1.2.5. 치료 및 관리
1.2.5.1. 자가혈당 측정
1.2.5.2. 케톤 검사
1.2.5.3. 인슐린 요법
1.2.5.4. 식사요법
1.2.5.5. 운동요법
1.3. 간호사정
1.3.1. 간호력
1.3.2. 신체검진
1.3.3. 임상검사 및 진단을 위한 검사
1.3.4. 기능적 건강양상의 사정
1.3.5. 치료과정
1.3.6. 분만 후 경과
1.4.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신성 당뇨병과 유도분만
1.1. 유도분만
1.1.1. 정의
유도분만(labor induction)은 자발적 분만 진통에 관련된 자궁 수축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프로스타글란딘, 옥시토신 등)을 부분적으로(자궁경부 숙화를 위한 질정 삽입) 또는 전신적으로(옥시토신 정맥 주입)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분만 진통을 유발하는 시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발적인 분만 진통은 만삭 분만의 경우 예측 불가능하나 임신 37주 이상이 되면 언제라도 발생 가능하다. 분만 예정일이 다가오게 되면 생기는 자발적인 분만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임신을 종결시키기 위해 인위적으로 자궁 수축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유도 분만이라고 말하며, 산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시도되는 시술 중 하나이다.
1.1.2. 준비사항 및 시술방법
유도분만을 위한 준비사항 및 시술방법은 다음과 같다.
태아의 크기와 태위를 확인하여 유도분만이 가능한지 평가해야 한다. 산모의 임신 주수, 자궁경관 상태, 태아의 전반적인 건강측정검사 등을 확인하여 유도분만의 성공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유도분만을 위한 시술방법으로는 옥시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 프로스타글란딘을 이용한 경관 숙성, 인공 양막파막술 등이 있다.
첫째, 옥시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은 자궁경관이 충분히 숙화되었으나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자궁수축제인 옥시토신을 혈관으로 투약함으로써 분만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둘째, 프로스타글란딘을 이용한 경관 숙성은 자궁경부 숙화를 목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을 분비되는 장치를 질 속에 투약하여 자궁경관의 연화, 개대, 소실의 과정을 거치게 하고 효과적인 자궁 수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셋째, 인공 양막파막술은 자궁경관이 부분적으로 확장되고 소실되었을 때 효과적인 유도분만 방법 중 하나로, 자궁경관 쪽에서 양막이 닿는 부위에서 양막을 절개하여 분만을 유도한다.
이처럼 유도분만을 위해서는 태아와 산모의 상태를 확인하고, 자궁경관 상태와 임신 주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술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1.1.3. 분만과정
분만 1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으로 시작하여 자궁경관의 완전거상과 개대에서 종료되며 잠재기(경관개대 3cm까지), 활동기(경관개대 4~7cm까지), 이행기(경관개대 8~10cm까지)의 3단계로 나누어진다.""
잠재기 동안 경관의 소실이 더 진행되고 하강이 약간 일어나며, 활동기와 이행기 동안 경관개대와 선진부 하강이 빠르게 진행된다.""
빈도, 강도, 기간에 있어서 증가를 보이는 진행적, 규칙적인 자궁수축, 자궁경부의 정맥마개가 탈락되었음을 암시하는 혈액 섞인 점액성 질분비물(혈성 또는 분홍색 이슬), 질에서 액체의 배출(자연양막파열)의 세 가지 현상 중 하나 이상의 현상이 나타날 때부터 분만 1기의 간호를 시작한다.""
분만 2기는 태아만출 단계로 자궁경부의 완전개대(10cm)와 완전거상(100%)에서 시작하여 태아만출에서 종료된다.""
이 때에 자궁수축, 중력, 산부의 힘주기 노력이 작용되며 이는 합병증 없이 자연 질식분만의 기대결과에 도달하기 쉽도록 한다.""
분만 2기는 잠재기, 하강기, 이행기의 3단계로 구성되고 이들 각 단계는 산부의 언어적·비언어적 행위, 자궁활동, 태아만출이 일어날 것 같다는 산부의 말, 태아 하강에 의해 구분된다.""
잠재기는 휴지기간이며, 비교적 조용한 시기이고 이 시기 동안 자궁수축이 계속되어 태아는 산도를 통해 수동적인 하강과 회전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여성은 조용하며 때때로 자궁수축 사이에 눈을 감은 채 휴식을 취한다.""
이 단계동안 여성이 휴식을 취하면서 힘주기 충동이 강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피로를 경감시키고 힘주기를 위해 에너지를 비축하며, 산부와 태아에게 최적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강기 또는 적극적으로 힘주기가 이루어지는 시기에 태아 선진부가 골반바닥의 신전 수용기를 압박할 때, Ferguson reflex가 활성화됨에 따라 힘주기 충동을 강하게 느끼며 이 시점에서 태아 하강도는 보통 1+이며, 태향은 전방이다.""
여성은 때때로 자궁수축의 시작에 대해 알리며, 아래로 힘을 줄 때 힘주는 소리가 동반되며 하강이 진행됨에 따라 힘주기 충동은 더 강해진다.""
이행기에서는 선진부가 회음부에 있으며, 분만촉진을 위한 힘주기 노력이 가장 효과적인 때이다.""
산부는 통증에 대해 더 많이 호소하며, 비명을 지르기도 하고 통제력을 상실하기도 한다.""
1.1.4. 부작용 및 후유증
태아 심박동의 변화 여부에 관계없이 적어도 2분 이상 지속되는 자궁 수축이나 빈수축, 즉 10분에 6회 이상의 자궁 수축이 유발될 수 있다. 심할 경우 태아 곤란증이 발생할 수 있고, 태반 조기 박리, 드물게는 자궁 파열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자궁 수축제로 이용되는 옥시토신의 부작용으로 저나트륨혈증, 저혈압 등이 생길 수 있다. 유도 분만에 실패할 경우 제왕절개술을 시행해야 한다.
1.2. 임신성 당뇨병
1.2.1. 정의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이전에 이미 당뇨병이 있던 경우와 달리, 임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이다. 즉, 임신 중에 당대사의 생리학적인 변화가 과장되어 나타난 결과로 임신 중 처음으로 인지했거나 발생한 당대사 장애로 정의할 수 있다.
1.2.2. 병태생리 및 원인
임신성 당뇨병의 병태생리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임신성 당뇨병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임신성 당뇨병은 태반락토젠, 난포호르몬, 황체호르몬 등의 태반 호르몬이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과, 태반 인슐린 분해 효소의 작용이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즉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면, 정상 임산부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한다. 하지만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임산부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인슐린이 충분히 분비되지 못하기 때문에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장애는 모두 임신성 당뇨병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췌장 베타 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자가 항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참고 자료
제5판 모성간호학 Ⅱ, 박영주 외 5명, 현문사 p115-172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 14명, 현문사 p638-567
박영주 외,「제 5판 여성간호학II」, 현문사, 2020, 154-164p
김소야자 외,「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수문사, 1990
이한기 외, 「기초병리학」, 수문사, 94-120p
김수진 외,「수정판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20, 162-218p
강남차병원 건강칼럼 ‘임신 후 스트레스 관리법’ https://gangnam.chamc.co.kr/health/guide/columnView.cha?menuCode=1740&idx=345
삼성서울병원 질환정보 ‘임신성 당뇨병’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cancer/info/disease/view.do?CONT_ID=2977&CONT_SRC_ID=09a4727a8000f311&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유은광 외.(2008).모성·여성건강간호학 Ⅰ.서울: 현문사
유은광 외.(2008).모성·여성건강간호학 Ⅱ.서울: 현문사
이경혜, 이영숙 외.(2010).여성건강간호학 Ⅱ.서울: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
서울아산병원. http://amc.seoul.kr/asan
대한당뇨병학회. https://www.diabetes.or.kr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18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8
김조자 외 공저,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서울: 수문사, 2017
Onaade, O., Maples, J.M., Rand, B. et al. Physical activity for blood glucose control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ationale and recommendations for translational behavioral interventions. Clin Diabetes Endocrinol 7, 7 (2021). https://doi.org/10.1186/s40842-021-00120-z
약학정보원 www.health.kr
널싱스킬 https://www.els-nursingskills.kr/Account/Login
MSD매뉴얼_일반인용: 임신 중 당뇨병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