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약물의 주의사항과 부작용
1.1. 정맥주사
1.1.1. 정맥염
정맥염은 정맥, 정맥벽의 염증성 침윤을 말한다. 피부 표면 정맥을 따라 연한 적색 부위가 서서히 나타나고 염증이 피상적인 정맥을 따라가면서 길고 얇은 붉은 부분을 볼 수 있다. 발생부위는 딱딱하고, 따뜻하고, 연하게 느껴지며 정맥 주위의 피부가 가려워 부어오를 수도 있다. 붉은색상의 확장과 압통, 말초부의 부종, 강직과 통증을 동반한다. 정맥의 염증이 1차적으로 발생하고 2차적으로 혈전 수반을 하는 경우와 다른 원인으로 혈전이 생겨서 2차적 염증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염증에 혈괴가 동반된다면 혈전성 정맥염을 유발할 수 있다.
정맥염의 원인은 혈관 카테터의 게이지(gauge)와 크기, 재질, 정맥내 카테터 유지기간, 주입 수액의 종류와 산도(pH), 혈액의 흐름이 비교적 느린 작은 혈관을 사용할 경우 등이다. 증상 발생 시 수액, 주사 주입을 즉시 중단하고 증상과 떨어진 다른 부위에 다시 주사한다. 매 근무조마다 정맥 삽입부위를 주의깊게 관찰해야 하며 주사후 72시간마다 주사부위를 교환한다. 약물은 잘 희석하고 수액 속도를 천천히 해야 한다. 자극적인 약물과 수액의 경우 중심정맥을 통해 주입한다.
정맥염의 증상은 피부 표면 정맥을 따라 연한 적색 부위가 서서히 나타나고 염증이 피상적인 정맥을 따라가면서 길고 얇은 붉은 부분을 볼 수 있다. 발생부위는 딱딱하고, 따뜻하고, 연하게 느껴지며 정맥 주위의 피부가 가려워 부어오를 수도 있다. 붉은색상의 확장과 압통, 말초부의 부종, 강직과 통증을 동반한다. 정맥의 염증이 1차적으로 발생하고 2차적으로 혈전 수반을 하는 경우와 다른 원인으로 혈전이 생겨서 2차적 염증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염증에 혈괴가 동반된다면 혈전성 정맥염을 유발할 수 있다.
정맥염의 치료는 수액, 주사 주입을 즉시 중단하고 증상과 떨어진 다른 부위에 다시 주사한다. 매 근무조마다 정맥 삽입부위를 주의깊게 관찰해야 하며 주사후 72시간마다 주사부위를 교환한다. 약물은 잘 희석하고 수액 속도를 천천히 해야 한다. 자극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