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체험: 중독의 특성들 발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 미디어 중독 현황 및 대책
1.1. 청소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현황
1.2. 청소년 게임 중독의 원인과 영향
1.2.1. 게임 중독 원인 분석
1.2.2. 게임 중독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1.3. 청소년 미디어 중독 예방 및 대책
1.3.1. 청소년 놀이문화 활성화
1.3.2. 상담 및 치료 지원 체계 구축
1.3.3. 미디어 기업의 자율적 안전장치 마련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 미디어 중독 현황 및 대책
1.1. 청소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현황
최근 발표된 보건복지부의 '2018년 아동 종합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9~17세 아동·청소년의 5.8%가 스마트폰 과의존(중독) 고위험군으로, 27.9%는 잠재적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발표한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유아동·청소년 등 저연령층이 가장 높았다. 전체 위험군 비율은 20.0%로, 전년 대비 0.9%p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위험군에 속한 만 3세~9세의 유아동 이용자는 22.9%, 만 10세~19세의 청소년 이용자는 30.2%로 성인(만 20세~59세) 18.8%, 60대 이상 고연령층 14.9%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다. 특히 유아동의 위험군은 전년 20.7% 대비 2.2%p 증가해 전연령대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지난 2018년 다소 주춤했던 청소년 이용자의 비율도 지난해 증가 추세로 전환됐다. 성인과 60대 이상 고연령층도 매년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1.2. 청소년 게임 중독의 원인과 영향
1.2.1. 게임 중독 원인 분석
게임 중독의 원인은 신경생리학적, 성격적, 심리학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신경생리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게임 중독은 다른 행위중독과 유사하게 뇌의 보상, 기억, 인지 조절, 동기 등을 담당하는 영역과 관련이...
참고 자료
홍봉선, 남미애 저, 청소년복지론, 공동체, 2018
이태희, 정재필 저 , 청소년복지론, 지식공동체, 2018
조성연, 유진이, 박은미 외 1명 저, 최신 청소년복지론, 창지사, 2016
전동일 저, 청소년복지론, 동문사,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한국보건사회통계연보 2020.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9).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서.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이, 영인. (2016). 담배와 건강. 서울: 의학문화사.
정, 명희. (2018). 흡연과 사회경제비용. 서울: 건강과 사회복지연구소.
정현진, 게임 중독의 원인은 뭔가요?, 2018.04.18., 정신의학신문
성윤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중독 예방 및 대책, 2005.12.14., 한국청소년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