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빈스룸 비효율적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화 <마빈스 룸>의 주요 내용
2.1. 등장인물 및 가족관계
2.2. 가족 문제와 갈등
3. 지역사회 간호과정 적용
3.1. 간호사정
3.2. 가족 강점 파악
3.3. 가족체계 분석
3.4. 간호진단 및 계획
4.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비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의 빠른 변화에 따라 가족 구조와 구성원의 역할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가정 내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지역사회 간호사는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가족을 도와야 한다. 또한 전문 분야 간의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지역사회와 가족 단위를 대상으로 최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화 "마빈스룸"은 이러한 현대 가족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영화를 통해 가족 구조의 변화와 구성원의 역할 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간호 문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 보건의료정책의 차이를 조사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영화 <마빈스 룸>의 주요 내용
2.1. 등장인물 및 가족관계
영화 <마빈스 룸>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및 가족관계는 다음과 같다.
베시는 만성질환자인 아버지 마빈과 치매가 있는 고모 루스를 20년 넘게 모시고 살고 있는 미혼 여성이다. 베시는 두 노인을 부양하면서도 자신이 행복하다고 여기고 있다. 동생인 리는 두 아들 행크와 찰리를 키우는 편부모 가정을 이루고 있다. 리와 베시는 20년 동안 서로 연락도 하지 않을 만큼 사이가 좋지 않았다. 행크는 정신적 문제로 인해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고, 찰리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을 겪고 있다. 루스는 노환으로 인해 기계와 연결된 채로 거동이 불편하고 치매 증상을 보이고 있다. 마빈은 마비되어 누워있는 노약자의 모습이다. 이처럼 <마빈스 룸>에서는 베시의 가족과 리의 가족이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2. 가족 문제와 갈등
영화 <마빈스 룸>에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다양한 문제와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첫째, 베시와 리의 관계 문제이다. 베시와 리는 20년 간 연락을 끊고 지내왔으며, 서로에 대한 이해와 유대감이 부족한 상태였다. 베시는 아버지와 고모를 부양하며 살아왔지만 리는 자신의 삶에 집중하느라 가족을 돌보는데 소홀했다. 이로 인해 두 자매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베시가 백혈병에 걸리자 리는 여전히 가족 부양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리와 아들들 간의 관계 문제이...
참고 자료
마빈스룸 기초로하여 가족사정도구 세밀하게 작성하였구요 진단이 5개나 된답니다.
차경미 외 (2017). 지역사회 보건간호학Ⅰ․Ⅱ 정문각 (JMK)
영화 ‘마빈스룸(1996)’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다이안 키든 주연
이성애(2007). 보건소이용자의 지역보건의료서비스 만족에 관한 연구 : 경북 칠곡군보건소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국립정신건강센터 (www.ncmh.go.kr)
강남구보건소(http://health.gangna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