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틸 알코올 연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증류 및 에틸 알코올 분리
1.1. 증류의 원리와 과정
1.2. 단순증류와 분별증류
1.3. 감압증류와 증기증류
1.4. 증기압과 끓는점
1.5. 끓는점오름
2. 화학 반응식 암기법
2.1. 반응식 구성요소 암기
2.2. 미정계수법을 활용한 계수 맞추기
2.3. 반응식 유형별 생성물질 파악
3. 바이오디젤 제조와 실험
3.1. 바이오디젤의 정의 및 특성
3.2. 바이오디젤 관련 국내외 동향
3.3. 바이오디젤의 장단점
3.4. 반응 메커니즘 및 영향요인
3.5. 실험 설계 및 방법
3.6. 실험 결과 분석 및 고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증류 및 에틸 알코올 분리
1.1. 증류의 원리와 과정
증류는 혼합물에서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증류의 원리와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증류는 기화와 응축의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혼합물을 가열하면 끓는점이 낮은 성분이 먼저 기화되고, 이렇게 기화된 증기를 냉각하여 응축시키면 순수한 물질을 얻을 수 있다. 끓는점이 높은 성분은 남아있게 된다. 이를 통해 혼합물의 주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증류에는 단순증류와 분별증류 방식이 있다. 단순증류는 끓는점의 차이가 큰 혼합물에 적용되며, 비휘발성 물질이 포함된 시료나 끓는점이 낮은 시료에 주로 사용된다. 분별증류는 끓는점이 비슷한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분리할 때 사용하며, 증류탑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단계적으로 분리한다. 정유 과정에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증류에는 감압증류와 증기증류 방식이 있다. 감압증류는 끓는점이 높거나 열에 민감한 화합물을 분리할 때 사용한다. 감압을 통해 끓는점을 낮추어 증류할 수 있다. 증기증류는 수증기를 주입하여 수증기와 함께 기화된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물과 반응하지 않고 열에 민감한 물질을 분리할 때 사용한다.
증류 과정에서는 증기압과 끓는점의 개념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기체가 고체 또는 액체와 평형상태일 때의 압력을 증기압이라 하며, 증기압은 온도가 높을수록 커진다. 끓는점은 액체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지는 온도를 의미한다. 압력과 물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끓는점오름은 순수한 액체에 비휘발성 용질을 녹일 경우 액체의 끓는점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로 인해 불순물이 포함된 액체의 기화과정에서 온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증류의 원리와 과정을 통해 혼합물에서 순수한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1.2. 단순증류와 분별증류
단순증류(Simple distillation)는 끓는점의 차이가 큰 혼합물을 가열한 후 특정 온도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냉각하여 액체로 얻는 방법이다. 물과 에탄올과 같이 끓는점 차이가 큰 물질의 분리에 주로 사용된다.
혼합물을 가열하면 끓는점이 낮은 물질부터 차례로 기화되어 응축기에서 액화되어 수집된다. 이렇게 해서 얻은 증류액은 끓는점이 낮은 물질이 농축되어 있다. 단순증류는 비휘발성 물질이 포함된 시료나 끓는점이 낮은 시료에 적용할 수 있다.
분별증류(Fractional distillation)는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분리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분별증류에서는 분별증류탑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한다. 분별증류탑은 여러 층의 정류판이 설치되어 있어 단순증류에 비해 더 정밀한 분리가 가능하다. 분별증류를 통해 더 순수한 성분을 얻을 수 있다. 정유 공정에서 많이 사용된다.
단순증류와 분별증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분리능력이다. 단순증류는 2-3개의 성분만 분리할 수 있지만, 분별증류는 여러 개의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별증류는 증류탑의 높이와 정류판 수를 조절하여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1.3. 감압증류와 증기증류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는 끓는점이 높거나 화합물이 열에 민감하게 반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증류 시 압력을 감소시켜 끓는 점을 낮추어 증류한다. 증기압이 낮은 물질의 경우 대기압 하에서는 높은 온도에서만 증류가 가능하지만, 감압 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증류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열에 민감한 물질의 증류나 고비점 물질의 분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증기증류(Steam Distillation)는 수증기를 주입하여 수증기와 함께 기화된 액체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물과 반응하지 않고 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물질을 분리할 때 사용한다. 수증기는 시료의 온도를 끓는점 이하로 유지하면서도 증발을 일으키므로, 물질을 분해하지 않고 순수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증기증류는 주로 정유, 향료, 약물 등의 추출 공정에 사용된다.
1.4. 증기압과 끓는점
증기압과 끓는점은 물질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증기압은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와 액체가 평형 상태에 있을 때의 기체 압력을 의미한다. 즉, 증기압은 액체 표면에서 기체상과 액체상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의 압력을 나타낸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기압은 증가한다. 이는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운동이 더 활발해져 액체 표면에서 기체상으로 넘어가는 분자 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물질마다 고유한 증기압 곡선을 갖는데, 이는 분자 간 인력의 차이에 기인한다. 분자 간 인력이 작은 물질일수록 기화가 더 쉽게 일어나므로 증기압이 높다.
끓는점은 외부 압력과 액체의 증기압이 같아지는 온도를 의미한다. 즉, 액체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을 이기고 기화할 수 있는 온도가 바로 끓는점이다. 따라서 외부 압력이 ...
참고 자료
Principles of General Chemistry Third Edition, McGRAW-HILL, Silberberg, p4-6, p660-680
네이버 지식 백과 “에탄올”,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0942&docId=1125541&categoryId=32273
네이버 지식 백과 “증류”,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02&docId=5663102&categoryId=62802
Woo, D.-G. (2020) “우지-해바라기유 오일혼합 바이오디젤의 전환 특성과 동점도 처리에 따른 오일혼합 바이오디젤의 동점도 변화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한국산학기술학회, 21(3), pp. 380–389. doi: 10.5762/KAIS.2020.21.3.380.
우덕감, 김태한. (2016). 우지와 식물성 유지를 이용한 바이오 디젤 제조.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 101-101.
Gam-duk Woo, Han Tae Kim. (2016). Bio-diesel production used tallow and vegetable oils.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 10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