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선박과 해양에서 일어나는 화학작용의 종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해양 오염의 정의 및 개념
2.1. 해양 오염이란?
2.2. 유입 경로
2.3. 해양 오염의 특성
3. 위협 받는 바다
3.1. 해양 오염의 원인들
3.1.1. 생활 하수로 인한 해양 오염
3.1.2. 농축산폐수로 인한 환경오염
3.1.3. 공장 폐수로 인한 해양 오염
3.1.4. 기름 유출로 인한 해양오염
3.1.5. 쓰레기로 인한 해양오염
3.1.6. 산업폐수로 인한 해양오염
3.1.7. 중금속 및 유기성 독성 물질
3.2. 위협 받는 바다
3.2.1. 손상되는 해저
3.2.2. 황폐해진 섬
3.2.3. 부영양화와 적조
3.2.4. 그밖의 원인들
3.3.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3.3.1. 해양, 수산종사자의 바다사랑 실천하기
3.3.2. 바다 이용자의 바다사랑 실천하기
3.3.3. 해양 쓰레기 zero운동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들어 화석연료의 가채년수가 매년 줄어듦에 따라 화석연료를 대신할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바다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바다를 보호하고자 해양오염에 대해 조사하게 되었다. 해양오염은 생물자원 및 해양상태에 유해하고 인간의 건강에 위해하며 어업 및 정당한 해양의 이용을 포함한 해양활동을 저해하고 해수이용에 적합한 수질의 악화 및 쾌적도의 감소 등 유해한 환경을 초래하거나 초래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에너지를 인간이 해양환경 내에 반입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대기오염과 달리 여러 형태의 간접적 피해로 나타나며, 그 피해는 배출물질의 종류와 양, 배출해역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해양오염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사후 처리가 아닌 사전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다.
2. 해양 오염의 정의 및 개념
2.1. 해양 오염이란?
'해양 오염이란' 환경의 오염 상태가 해양 생물 자원과 해양 상태에 유해하고, 인간의 건강에 위해하며, 어업 및 정당한 해양 활동을 저해하고 해수 이용에 적합한 수질의 악화 및 쾌적도의 감소 등 유해한 환경을 초래하거나 초래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에너지를 인간이 해양 환경 내에 반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 오염과 달리 해양 오염은 여러 형태의 간접적인 피해로 나타나는데, 그 피해는 배출되는 물질의 종류와 양, 배출되는 해역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주된 피해 형태로는 해양생물과 서식 환경을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경우와 오염된 생물을 사람이 섭취함으로써 피해를 입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2.2. 유입 경로
해양 오염물질은 주로 육상과 해상에서 발생한 후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해양으로 유입된다. 육상에서의 주요 유입 경로는 생활폐수, 농축산폐수, 공장폐수 등이며, 해상에서는 기름유출, 선박배출 등이다.
육상에서는 하수관거나 하천을 통해 다양한 오염물질이 해양으로 유입되는데, 특히 생활하수와 농축산폐수에 포함된 유기물, 질소, 인 등이 해양으로 흘러들어가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공장폐수와 산업폐수에는 중금속, 유기성 독성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어 해양 생태계를 위협한다.
해상에서는 선박 사고나 운항 중 배출로 인한 기름유출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해양생물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며 해안 서식지를 파괴한다. 또한 선박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기물들도 해양 오염의 주요 원인이다.
이처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된 해양 오염물질들은 해양 생태계와 인간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육상과 해상의 오염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규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3. 해양 오염의 특성
해양 오염은 대기 오염과 달리 여러 형태의 간접적인 피해로 나타나며, 배출물의 종류와 양, 배출 해역의 특성에 따라 그 피해 양상이 다르다. 주된 피해 형태로는 해양생물과 서식환경을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경우와, 오염된 해양생물을 사람이 섭취함으로써 피해를 입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해양은 대부분의 오염 물질이 최종적으로 도달하여 모이는 장소가 되며, 오염 물질 중 잔류성이 강한 물질의 경우 환경 매질 또는 생물체 내에 고농도로 축적되는 경향을 보인다. 해양은 3차원으로 이루어진 규모가 방대한 개방형 환경이며, 접근성이 낮아 해양오염의 처리가 불가능하거나 일부 가능한 경우에도 육상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사후 처리보다는 사전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다.
3. 위협 받는 바다
3.1. 해양 오염의 원인들
3.1.1. 생활 하수로 인한 해양 오염
생활 하수로 인한 해양 오염이란 생활이나 사업 활동으로 발생된 하수가 하수관거를 통해 하천이나 강, 바다로 방류되어 발생하는 오염이다. 생활하수의 주요 오염물질은 음식찌꺼기, 합성세제, 분뇨 등이다. 생활하수 중 부엌에...
참고 자료
한국수자원공사블로그–워터피디아, “바다의 물결 ‘해류’는 지구의 온도조절장치‘, https://blog.naver.com/waterpedia/100174507675
네이버지식백과-해양학백과, “자정작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84910&cid=64516&categoryId=64516
ZUM학습백과, “해양자원”, http://study.zum.com/book/14221
해양수산부-연안포털, “해양생태계서비스”,
http://coast.mof.go.kr/coastAdmin/research/aspect.do
네이버지식백과-해양자원, “해양자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7097&cid=46637&categoryId=46637
R.B.CLARK, <해양오염>, 윤이용, 동화기술교역(2003), 1장 전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부, <경기도 수산물 유해물질 연구조사 통계보고서>, (2018), 15-70면
네이버지식백과-물리학백과, “방사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37041&cid=60217&categoryId=60217
네이버뉴스, “해양쓰레기 종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308&aid=0000019483
이해국,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11 시즌9>, 동아엠엔비(2020), 미세플라스틱의 습격 3장
보고서- 해양수산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합뉴스,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재미있는 바다 이야기
사진- 게티이미지, 이미지클릭, 네이버이미지, 네이버블로그, 연합뉴스, 아주경제, 국민일보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친환경소재 연구동향, 문성민 외 3명, 한국공업학회, 2019
미세플라스틱의 현황과 대체제 연구동향 및 저감대책, ㄹ광현, 김현중, 한국공업학회,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