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제해결능력] 타인과 학업 또는 업무를 진행하던 중에, 예상치 못하게 다른 사람의 역할을 대신했던 경험에 대해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부모와 자녀 관계의 변화
1.1. 전통사회의 부모와 자녀 관계
1.2. 현대사회의 부모와 자녀 관계
1.3.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한 해결방안
2. 상담이론을 통한 자기분석
2.1. 정신분석 이론
2.2. 개인심리학 이론
2.3. 인간중심이론
2.4. 합리적 정서치료 이론
2.5. 게슈탈트 이론
2.6. 인지치료 이론
3. 자원봉사자의 권리와 책임
3.1. 자원봉사자의 권리
3.2. 자원봉사자의 책임
3.3. 자원봉사자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개인적 의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부모와 자녀 관계의 변화
1.1. 전통사회의 부모와 자녀 관계
전통사회에서 부모와 자녀 관계는 부모의 역할과 자녀의 도리가 강조되었다. 농업 사회였던 전통사회에서 자녀는 부모의 재산으로 여겨져 많은 자녀를 두는 것이 중요했다. 이에 따라 자녀 수가 많아지면서 부모의 기대와 사랑이 한 자녀에게 고루 미치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부모의 역할보다는 자식의 효, 예절, 부모에 대한 공경과 같은 유교 사상에 기반한 자식의 도리가 강조되었다. 부모는 자식이 인성과 사람됨이 바른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에 집중했고, 자녀의 학업, 취업 등 미래에 대한 기대보다는 기본적인 인성 교육에 더 주력했다. 이 시기 부모와 자녀 관계는 권위적인 부모와 이에 충성하는 자녀의 모습이 보편적이었다. 부모의 말을 거역하는 자녀는 '불효자식'이라 불리며 사회적 비난을 받았다.
1.2. 현대사회의 부모와 자녀 관계
현대사회에서 부모와 자녀 관계는 전통사회와는 많이 달라졌다. 도시화, 현대화, 산업화 등이 진행되면서 부모가 되는 일은 자연적인 일이 아니라 개인의 선택과 권리의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수도 과거에 비해 크게 줄어 핵가족화되었고, 자녀의 출산과 양육, 교육은 온전히 부부의 몫이 되었다.
과거에는 자녀를 많이 낳고 대가족을 꾸리는 것이 보편적이었지만, 현대에는 경제적인 부담 때문에 대부분의 부부가 한두 명의 자녀만을 선택하고 있다. 심지어 딩크족을 선택하는 부부도 많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자녀 한 명에게 거는 기대감과 사랑, 관심의 크기가 늘어났다.
현대사회의 부모와 자녀 관계는 마치 태아가 모체에 연결된 듯 한 긴밀한 관계이다. 부모 세대가 겪은 자본주의의 무한 경쟁이 영향을 미쳐, 부모들은 자식이 사회에서 성공하기를 바라며 학업이나 전문 분야에서의 성과를 지나치게 강요한다. 이에 부모들은 자녀의 일상생활과 학교생활까지 간섭하고 관여하는 경향이 크다. 마치 자신의 제2의 인생을 자녀가 살아주기를 바라는 것 같은 모습이다.
이처럼 현대사회의 부모와 자녀 관계는 전통사회에 비해 동질화되어 있어, 자녀가 독립적이고 주관적인 가치관을 지니는 데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캥거루족'이라 불리는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의 품 안에 머무르는 집단이 등장하기도 했다.
따라서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해서는 부모가 자식을 자신의 전유물이 아닌 완전히 다른 타인으로 인식하고 존중해야 한다. 부모의 과도한 기대와 간섭에서 벗어나 자녀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1.3.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한 해결방안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한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자녀가 태어나는 순간 모체와 연결된 탯줄을 자르는 것은 비록 자식이 부모의 도움을 받아 태어났을지라도 부모와는 다른 타인임을 구분해주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해서는 부모와 자식은 혈연으로 맺어진 타인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공유해야 한다. 최근 갈등을 빚는 가족의 문제를 살펴보면 자식에게 너무 많은 기대와 강요, 간섭, 관여 등을 하여 이에 미치지 못하는 자식을 보며 부모가 힘들어하고, 자식은 부모의 이러한 모습 때문에 힘들어한다. 타인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해결될 갈등이 '내 새끼, 내 자식, 내 것'이라는 생각에 더욱더 집착하고, 포기하지 못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부모 밑에서 성장하면 자식이 독립적이며, 주관적인 가치관을 지닌 객체로 성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 결과 '캥거루족'이라 불리는, 독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의 품 안에서 살아가는 집단이 등장한 것이다. 물론 이들이 부모에게서 독립하지 못한 데는 정...
참고 자료
연합뉴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 1.1명으로 3년 연속 '세계 꼴찌'. 22-07-20.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0146500530?input=1195m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자세, 사회복지통계연구소
자원봉사론, MBC아카데미원격평생교육원
한국자원봉사자연합회 홈페이지 (http://www.volunteer.or.kr/index.php)
자원봉사자의 권리와 의무, 우리미래신문, 2019.11.4.(http://www.ourfuture.or.kr/924)
한국 노인자원봉사의 의미와 실태, 한국노인복지학회, 이인수, 2001. 6
충청남도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고승희, 김성운, 2007. 6
대학생 자원봉사단 교육자료집,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20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