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구매자재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구매관리
1.1. 구매관리 일반
1.2. 구매 집중을 통한 구매력 강화
1.3. 공급업자와의 동반관계 구축
2. 재고수준통제
2.1. 경제적 주문량(EOQ)
2.2. 재고유지비용과 주문비용
2.3. POS(Point of purchase system)
2.4. 적기배달 시스템(JIT)
3. 자재소요계획
3.1. 자재소요계획(MRP) 시스템
3.2. 자원 소요계획(RRP)
3.3. 공정계획, 간트차트, PERT/CPM
4. 품질관리
4.1. 서비스 산업의 특징
4.2. 서비스 산업의 품질관리 어려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구매관리
1.1. 구매관리 일반
구매 자재 관리는 기술발전의 심화, 소비자 니즈의 고도화, 글로벌시장의 확대, 저성장의 시대, 아웃소싱 증가 등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구매 자재 관리에는 구매관리(협의), 외주관리(용역, 서비스), 협력회사관리(SCM), 소요관리, 저장관리, 분배(운반물류) 관리 등이 포함되며, 계속성과 경제성을 목표로 한다.
구매 자재 관리는 기업경영의 주요 기능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과거에는 소비, 현금개념의 부속적이고 종속적인 기능이었으나, 오늘날에는 기업이익의 원천이자 현금개념화, 이익창조(원가절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구매 자재 관리는 이익창출자, 구매기술자, 국제무역의 주역, 막중한 원가담당자, 기업창구 등의 다양한 책임을 지고 있다.
구매 자재 관리의 현대화를 위해서는 구매선과의 공동 CD(Cost Down)분석과 VE 기술 구매, 고품질화 전략, 정보구매와 체계적구매조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품질 Up, Cost Down을 동시에 실현하고자 한다. 또한 구매외주정책을 통해 거래선을 집약하고 재편성하여 Assembly 완성품, 일괄 발주 등 구매력을 강화하고 있다.
자재분류의 일반원칙으로는 자재 가감의 점진성, 분류집계의 포괄성, 해독성 또는 용이성, 기계 처리의 척부와 상호 배제성 등이 있다. 식별을 위한 분류방법으로는 일련번호 부여방식, Block번호 부여방식, Group번호 부여방식, 유의숫자 부여방식 등이 있다.
구매 자재 관리 관련 기법으로는 가치 공학(VE, Value Engineering)이 대표적이다. VE는 최저의 원가로 필요한 기능을 성취하기 위해 제품의 기능분석에 경주하는 조직적인 노력이다. 이를 통해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구매 자재 관리는 기업의 이익 창출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자재비 절감을 통해 직접적으로 이익을 높일 수 있으며, 적절한 구매 관리를 통해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등의 간접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매 관리는 기업 경영의 주요 기능으로 자리잡고 있다.
구매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구매 부문의 역할과 책임도 확대되고 있다. 구매 담당자는 이익 창출자, 구매 기술자, 국제무역의 주역, 원가 관리자, 기업 창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구매 담당자의 전문성과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
구매 관리의 현대화를 위해서는 구매 과정의 효율화와 전문화가 필요하다. 공동 원가 절감 활동, 체계적인 구매 정보 관리, 구매 외주 정책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를 통해 품질 향상과 원가 절감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자재 분류 및 관리 방식의 체계화도 구매 관리 현대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자재의 식별과 관리를 위해 다양한 분류 방식이 활용되고 있으며, 가치 공학(VE) 기법 등을 통해 최적의 구매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구매 자재 관리는 기업 경영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구매 관리 기능의 선진화와 전문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구매 집중을 통한 구매력 강화
구매 집중을 통한 구매력 강화는 기업에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대량구매의 이점을 얻을 수 있고, 구매선 즉 구입처 숫자를 줄임으로써 특별 할인 혜택이나 품질보장 또는 특별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구매 집중을 통한 구매력 강화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량구매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구매량을 늘려 대량으로 구매하면 단가할인, 배송 및 운반비용 절감 등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둘째, 구매선 즉 구입처 숫자를 줄일 수 있다. 소수의 공급업체와 거래를 하면 공급업체 입장에서도 특별 할인 혜택이나 품질보장, 특별서비스 등을 제공할 유인이 생긴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구매할 수 있다.
요약하면, 구매 집중을 통해 기업은 대량구매의 이점을 얻고 구매선을 줄여 보다 유리한 거래조건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기업의 구매력을 강화하여 구매관리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1.3. 공급업자와의 동반관계 구축
공급업자와의 동반관계 구축은 구매자와 공급자 간의 긍정적인 장기적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구매선과 관계가 발전되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기술개발이나 ...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