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물호르몬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1.2. 식물호르몬
1.2.1. 옥신
1.2.2. 브라시노스테로이드
1.2.3. 앱시스산
2. 식물 배양 및 호르몬 처리
2.1. 실험 재료
2.2. 실험 방법
2.2.1. 애기장대 씨앗 소독 및 배양
2.2.2. 애기장대 야생형 유식물 관찰
3. 실험 결과
3.1. 각 호르몬 별 배양 결과
3.2. 애기장대 야생형 유식물 관찰
4. 결과 분석
4.1. 호르몬별 효과
4.2. 애기장대의 특징
4.3. 씨앗 소독 및 춘화처리
4.4. 유식물 특성
4.5. 호르몬 반응과 생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는 식물 연구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식물이다. 애기장대는 쌍떡잎식물이면서 속씨식물이고 개화식물이다. 일년생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한 세대가 3-4개월 정도 지속된다"[1]. 애기장대는 Brassicaceae과에 속하며 근친종으로는 배추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애기장대는 잡초이며 농업적인 중요성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유전학과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매우 중요한 식물이다"[2].
애기장대는 발아해서 씨가 맺힐 때까지의 1세대 기간이 짧고, 유전자구성이 단순해 화학물질을 이용해 다양한 돌연변이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벼나 밀의 유전자와 공통된 유전자가 많아 식물 생물학 연구의 모델 식물로 널리 사용된다"[1].
1.2. 식물호르몬
1.2.1. 옥신
옥신은 식물의 생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호르몬 중 하나이다. 옥신은 세포벽을 신장시키고 굴광성과 굴중성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옥신은 식물체의 줄기와 곁뿌리, 부정근의 형성을 촉진하며 열매의 발달을 조절한다. 또한 정단우성(apical dominance)을 유도하는데, 이는 주아에서 생산된 옥신이 아래로 이동하여 곁눈의 생장을 억제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옥신의 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면 오히려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제초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옥신이 과량으로 처리되면 잎이 작아지고 뿌리가 짧아지며 캘러스가 생기는 등 비정상적인 표현형이 관찰된다. 이처럼 옥신은 식물의 전반적인 생장과 발달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호르몬이다.""
1.2.2. 브라시노스테로이드
브라시노스테로이드는 식물 생장에 전반적으로 관여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특히 줄기의 세포 신장 및 분열을 촉진시키고, 물관 형성을 촉진하지만 체관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종자의 발아와 꽃가루관의 신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뿌리의 생장은 저농도일 때 촉진되지만 고농도일 때는 억제된다. 브라시노스테로이드는 식물의 기공 발달에도 네거티브 조절에 관여한다. 이러한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은 식물이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다".
1.2.3. 앱시스산
앱시스산(Abscisic acid)은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호르몬이다. 앱시스산은 식물의 환경저항성 증진과 생장 억제에 관여한다.
앱시스산은 대부분의 식물에서 발견되며, 환경 스트레스 조건에서 생합성이 증가한다. 앱시스산은 종자의 휴면 유도, 발아 억제, 기공 폐쇄 등 다양한 생리 반응을 조절한다. 환경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앱시스산 농도가 증가하여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다. 또한 병원균 침입에 ...
참고 자료
Hillis, David, Principles of Life(U.S.A.: Sinauer Associates), 2011.
Campbell, Reece, "생명과학", 라이프사이언스 9th edition, p.821-830
Campbell, N,A. Biology(tenth edition) Pearson education: NJ, 870-888(2016)
Smith A. M, et al. Plant Biology(first edition) Garland Science: NY, 345-380(2010)
Koley, D., Bard, A.J. Triton X-100 concentration effects on membrane permeability of a single HeLa cell by 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y (SECM). Proc Natl Acad Sci USA 107, 16783-16787(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