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종성 체계의 특징
한국어의 종성 체계는 총 7개의 종성이 있으며, 이는 『발음법』 제8항에 따르면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자음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9항에 의하면 받침 'ㄲ, ㅋ'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ㄱ'으로, 'ㅅ, ㅆ, ㅈ, ㅊ, ㅌ'은 'ㄷ'으로, 'ㅍ'은 'ㅂ'으로 발음된다""
한국어의 종성 체계는 평폐쇄음화, 종성규칙, 음절 끝소리규칙, 음절 말 중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종성에 오는 발음들은 '불파음'의 특징이 있어, 뒤에 모음이 오지 않을 때 모두 닫음소리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cake'를 발음할 때, 우리의 발음은 '케이크'로 나타난다""
1.2. 모국어별 종성 발음 오류
중국어가 모국어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종성 발음에서 오류가 발생한다. 중국어에는 불파음이 없기 때문에 한국어 종성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대기업'을 [대기어], '저녁'을 [저녀]와 같이 받침소리를 발음하지 않는다".
일본어가 모국어인 학습자의 경우 종성 발음에서 다른 유형의 오류를 보인다. 일본어 학습자들은 'ㄹ'을 독립된 음절로 인식하여 '서울'을 '서우르'로 발음하는 오류를 범한다. 또한 자음 위치동화가 과잉 적용되어 '당시'를 '단시', '경제'를 '견제'로 잘못 발음하기도 한다".
2. 종성 발음 교육 과제 개발
2.1. 종성 목록 제시 및 발음 설명
종성 목록 제시 및 발음 설명이다. 한국어의 종성은 총 7개의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ㅇ'으로 구성된다. 받침소리인 이들 종성은 다른 언어에서 볼 수 없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선, 받침 'ㄱ, ㄲ, ㅋ'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발음될 때 모두 [ㄱ]으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학교"는 [하그요], "늑대"는 [느그대]와 같이 'ㄱ'으로 발음된다. 마찬가지로 받침 'ㅅ, ㅆ, ㅈ, ㅊ, ㅌ'은 [ㄷ]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