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상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구의 국채보상운동과 관련 유적
1.1. 서상돈과 국채보상운동
1.1.1. 서상돈의 생애
1.1.2. 서상돈 고택
1.2. 국채보상운동의 발원지
1.2.1. 광문사터와 국채보상운동기념비
1.2.2. 서문시장과 국채보상운동
1.2.3. 진골목과 국채보상운동
1.3. 국채보상운동의 복원 및 재조명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구의 국채보상운동과 관련 유적
1.1. 서상돈과 국채보상운동
1.1.1. 서상돈의 생애
서상돈은 1851년(철종 2년)에 태어났다. 서상돈의 가족은 천주교에 신앙심이 깊었는데, 그의 고조부인 서광수가 천주교를 받아들인 것은 1784년 전후였다. 하지만 이듬해에 천주교의 첫 박해인 을사추조적발사건이 일어나 서광수는 달성 서씨 문중에서 쫓겨나 전국으로 흩어지게 되었다. 서상돈의 조부 치보는 경북 문경 여우목으로 옮겨와 성 이윤일 가정과 함께 포교활동을 하였다.
서상돈은 20세부터 지물(紙物) 행상과 포목상을 시작하여 1886년에는 상당한 재산가가 되었다. 그 후에는 경상도시찰관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서상돈은 대구교구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면서 독립협회의 주요 회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07년에는 대구 광문사의 부사장으로서 국채보상운동을 제의하고 전국적 운동으로 추진하였다.
서상돈은 가톨릭 신자로서 신앙심이 매우 강하였다. 1895년 대구에 임시 성 요셉 성당을 지을 때 집 매입부터 수리까지 1000여 달러 이상을 봉헌하였고, 1897년 현 계산동 성당 터에 기와집 십자성당을 건축할 때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911년 대구대목구가 설립되고 드망즈 안세화 주교가 부임하자 서상돈은 주교관 부지로 현재 중구 남산동 교구청 자리 1만여 평을 교회에 헌납하기도 하였다.
서상돈은 일찍 죽은 장남과 병조, 병주, 병민 등 세 아들을 두었다. 또한 대구대교구 류흥모 신부의 동생인 류흥민을 데릴사위로 삼았다. 아들 병조는 아버지의 재산과 사회적 지위를 이어받아 교회활동을 계속해 나갔으며, 1899년 아버지가 헌납해 세운 대륜중고를 인수해 교장으로 재직하며 운영하는 등 교육 사업에도 관심을 가졌다.
1.1.2. 서상돈 고택
서상돈 고택은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 신성미소시티아파트 앞에 위치하고 있다. 2008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 복원되었으며, 이용시간은 10:00 ~ 17:30이다. 쉬는 날은 매주 월요일, 공휴일, 명절연휴이다. 고택에는 목조 3동과 대문이 존재하고 있다. 서상돈은 1851년(철종 2)에 태어났으며...
참고 자료
주형일, 2019,「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이진현, 2014,「1907년 2월 대구광문사의 위치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
국채보상운동(http://www.gukchae.com).
대구광역시 중구 문화관광(https://www.jung.daegu.kr).
오마이뉴스(http://www.ohmynews.com).
월간독립기념관(https://www.i815.or.kr).
중앙일보(https://news.joins.com).
주형일, 2019,「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이진현, 2014,「1907년 2월 대구광문사의 위치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
국채보상운동(http://www.gukchae.com).
대구광역시 중구 문화관광(https://www.jung.daegu.kr).
오마이뉴스(http://www.ohmynews.com).
월간독립기념관(https://www.i815.or.kr).
중앙일보(https://news.joins.com).